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26035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The Secret of Pinpin Korori”: The Biopolitics and Ethics for the Self of the Old in Super-Aging Japan


  • 저자 : 김희경
  • 형태사항 : 248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순영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2015. 8
  • DDC : 301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생명정치, 자기윤리, 통치성, 주체, 핀핀코로리, 인구고령화, 노년, 일본


초록 (Abstract)

1990년경 일본사회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척박한 삶의 조건으로 인해 노인을 갖다 버릴 수밖에 없었다는 전설의 무대이기도 했던 나가노현의 이미지는 죽기 직전까지 건강하게(핀핀하게) 자신의 일을 하며 살다가 한 순간에(코로리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노인들이 많이 사는 ‘건강장수도시’로 변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푸코의 이론적 성찰을 비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나가노현 사쿠시의 이미지가 이처럼 변화한 데 어떠한 방식으로 생명정치가 작동하였는지를 규명하는 한편, 노년의 건강, 수명,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 노인들이 자기와 맺는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일본정부가 나가노현 노인들을 ‘성공적인 노년모델’로 주목하게 된 거시적인 맥락을 규명하였다. 초고령화가 진전되면서 일본정부는 고령인구에 소요되는 비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가족이 노인을 보호하는 전통과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치고 싶어하지 않는 문화적 경향성을 일본적인 것으로 규정하기 시작했다. 일본정부는 이러한 전통적인 삶의 양식을 실천하는 사례로서 나가노현 노인들을 주목했다. 정부보고서에서 나가노현 노인들은 노화와 질환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의료에 의존하는 것을 사치로 여기는 것처럼 묘사되고 있었다. 또한 나가노현의 경우, 가족을 비롯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이 노인들을 잘 보살피고 있는 것처럼 그려지고 있었다. 일본정부는 나가노현 노인들의 삶의 방식을 이상적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병원을 자주 드나드는 여타의 노인들을 비난하였다. 이처럼 나가노현 모델은 어떻게 늙는 게 ‘성공적인 노년’인가에 대한 일종의 도덕모델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핀핀코로리가 좋다”라는 가치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는 모든 종류의 담론과 실천들을 핀핀코로리 프로젝트로 명명하였다. 그리하여, 핀핀코로리 프로젝트가 나가노현 사쿠지역에서 유난히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지역 내부의 맥락을 규명해 보았다. ‘건강장수도시’라는 지역의 이미지는 각종 통계들과 그래프에 기반하여 만들어질 수 있었는데, 이는 사쿠지역의 사례를 과학적인 데이터로 치환하여 자신들의 성과를 증명하고자 했던 의사들의 이해관계와 그렇게 해서라도 희소한 의료자원을 확보하고자 했던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가 결합한 결과 탄생할 수 있었다. 지역의 정치가들은 ‘건강장수도시’라는 이미지가 지역민들에게 도쿄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사쿠 역시 살만한 곳이라는 설명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있다는 점을 집권을 이어나가는 데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초창기 의사들과 함께 지역사회 의료활동에 참여했던 보건사 및 병원직원들은 농민-주체를 만들고자 노력했던 경험 및 기억을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 자연스럽게 이식시키고 있었다. 은퇴 후 사쿠에 정착한 노인들은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은 문제적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자기 자신에게,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증명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의 상인들은 외부인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 ‘건강장수도시’라는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핀핀코로리 프로젝트가 가진 한계를 노인들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노인들은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해서 핀핀코로리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또한, 스스로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 자체를 가지고 있지 못한 노인들(치매노인들, 저소득 노인들)은 처음부터 배제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이 같은 한계들은 곧바로 프로젝트의 소멸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사쿠지역의 병원 및 노인복지시설 관계자들, 상인들은 핀핀코로리를 달성하지 못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이해관계를 모색하고 있었다. 이처럼, 노인들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각종 전문가들은 노인들을 핀핀코로리하게 만들어주지도 못할 뿐 아니라 더 이상 이득을 보지 못할 것 같다고 판단하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떠나버리는 영악한 존재에 지나지 않았다.
넷째, 핀핀코로리 프로젝트가 노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노인들의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노인들은 통치를 실행하는 행위자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통치의 유약함을 비웃거나 통치를 자기들 나름의 방식으로 변형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노인들은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넨넨코로리(와상상태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모습)한 자신이 나타나는 걸 저지해야 한다는 사실 역시 알고 있었다. 이에 노인들은 엔딩노트라는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 양식을 통해 넨넨코로리한 자신이 나타날 상황을 미리부터 대비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인들의 실천은 단순히 넨넨코로리한 자기를 자신으로 인정해주지 않는 담론의 영향을 받은 수동적 선택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 자신이 추구했던 윤리적 가치에 기반하여 넨넨코로리한 자기 역시 자신으로 통합시키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들은 옳고 그름의 문제로 논의되고 있는 죽음의 문제를 윤리의 영역으로 회복시켜 자신을 완성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사쿠지역에서 생명정치는 노인들을 에워싸고 있는 외재적인 어떤 것이 아닌, 노인들의 삶에 견고하게 엉겨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생명정치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류학적 현장연구를 통해 생명과 통치가 어떻게 뒤얽혀 있는지를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핀핀코로리 프로젝트가 노인들에게 일종의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노인들이 자신과 맺고 있는 관계에까지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경제학적 언어로 구성된 인구고령화 담론이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류학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2. 이론적 검토?4

    3. 선행연구검토?11

    1) 일본의 노년 및 노년기 자아에 대한 연구?11

    2) 일본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연구?14

    3) 일본의 지역사회에 대한 연구?16

    4. 연구지역 소개?17

    5. 연구과정 및 연구방법?20

    6. 논문의 구조?24


    Ⅱ. ‘일본형’ 인구고령화 복지체제의 구성과정 및 나가노현 모델의 등장?25

    1. 이에(家)와 메와쿠(迷惑)

    : ‘일본형’ 인구고령화 복지체제의 구성?27

    1) 가족주의 전통 강조?27

    2) 메와쿠에 대한 경고?31

    2. 일본식 성공적 노년모델로서 등장한 나가노현의 사례?44

    1) 현대 일본사회에서 노년에 대한 학문적 담론의 변화?45

    2) 정부보고서에서 재현된 나가노현의 이미지?46

    3. 통계로 구성된 지역의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간극?51

    4. 소결?60


    Ⅲ. 우바스테야마에서 ‘건강장수도시’로

    :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의 실천양상?63

    1. “농민과 함께”

    : 농민-주체를 만들고자 했던 시도와 한계??64

    1) 도쿄대 출신 의사들의 시도?64

    2) 지역주민과 의료진이 맺어왔던 관계의 변화?73

    2. 농민에서 노인으로: 핀핀코로리 프로젝트로의 계승?79

    1) 정치적 자원으로서 ‘건강장수도시’의 이미지?79

    2) 고령자 생활협동조합 및 사쿠병원 관계자들의 시도?95

    3) 은퇴 후 사쿠지역에 정착한 노인들의 시도?101

    3. ‘건강장수도시’의 연행과정: 외부인들과의 상호작용?108

    4. 소결?117


    Ⅳ. ‘건강장수도시’의 이면

    :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의 균열, 그리고 그 틈새?120

    1. 핀핀코로리 프로젝트 실행자들이 느끼는 한계와 딜레마121

    1) 프로젝트 참여를 거부하는 노인들의 문제?121

    2) 교정 불가능한 노화의 문제?126

    3) 노인들로부터 멀어지는 노인복지정책?129

    2. 우바스테야마의 그림자

    : 주체화가 불가능한 존재들의 문제?135

    1) 치매노인들을 주체화하려는 시도와 한계?135

    2) 저소득 노인들의 문제?145

    3. 넨넨코로리한 노인들을 찾아나선 행위자들?151

    1) 내과에서 노인병원으로: 타마병원의 사례?152

    2) 산부인과에서 노인복지법인으로

    : 마루야마병원의 사례?155

    3) 백화점에서 노인홈으로: 아쇼카시설의 사례?158

    4) 쇠락한 상점주인에서 구조대원으로

    : 오타베 상업지구의 사례?159

    4. 소결?166


    Ⅴ. 핀핀코로리와 넨넨코로리 사이에서

    :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 대한 노인들의 비판적 성찰?167

    1. 노인들이 핀핀코로리를 희구하는 맥락?168

    1) 가족들과의 관계?168

    2) 집, 이웃들과의 관계?170

    2.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에 대한 노인들의 대응양상?174

    1) “형광등의 인간” 과 “태양광의 인간”

    : 전문가들과 거리 두기?174

    2) “차라도 한 잔 마시면서”: 통치술에 흠집 내기?178

    3) 문제적 존재에서 어른으로

    : 사업장을 변형시키려는 시도?183

    3. 핀핀코로리 프로젝트의 자기장

    : 죽음의 일상적 소환?185

    4. “내가 죽는다면”

    : 자기에의 윤리를 정립하려는 시도?189

    5. 소결?198


    Ⅵ. 결론: 나라야마로의 여정??200


    <참고문헌>?207

    <부록>?226

    <Abstract>?227

    <日文抄?>?2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708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7
    707 18 인체실험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김대건 2015  362
    706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2
    705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73
    704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69
    703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55
    70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30
    »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52
    70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6
    69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5
    698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주병철, 주민석 2013  237
    697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6
    69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6
    6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9
    694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7
    69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8
    692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84
    691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이해정, 이성화 2014  166
    690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300
    68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