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92641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100492641
저자명 Hwa Shin Ryoo
학술지명 한국위기관리논집
권호사항 Vol.11 No.3 [2015] 
발행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발행처URL http://www.cemtp.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9-327(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본 논문은 선천성 장애아의 ‘원치 않은 삶’ 소송에 관한 연구이다. 원치 않은 삶 소송은 원고(장애아)가 (의사를 상대로) 선천성 장애를 갖고 태어날 가능성을 부모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과실로 인해 자신이 장애를 갖고 출생하게 되었다는 것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소송이다. 이 소송의 특징은 원고가 장애를 갖고 출생한 것이 인공임신중절로 출생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손해라고 주장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치 않은 아이’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소송의 유래와 정의를 살펴보고, 손해 및 손해액 평가의 문제를 인간 존엄과 가치의 침해 여부와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관련 국내 판례와 프랑스의 페르쉐(Perruche) 사건과 같은 외국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의사의 과실이 존재하는 한 원치 않은 삶 소송을 인정하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산전 진단의 목적과 장애아의 인간 존엄 및 복지 증진을 위해 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때 손해배상책임의 대상이 되는 손해는 부모의 낙태결정권의 침해로 인하여 장애를 동반한 출생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원치 않은 아이’ 의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의 정의
1. ‘원치 않은 아이’ 의 소송 원인
2. ‘원치 않은 삶’ 소송의 유래와 용어 정의
Ⅲ. 오늘날 ‘원치 않은 삶’ 소송에서의 의료과오책임 논쟁
1. 인간 존엄 위기 논의와 법률적 쟁점
2. 장애아의 손해배상청구 여부
3. 비교법적 고찰
Ⅳ. 프랑스의 ‘원치 않은 삶 소송’, 세칭 “페르쉐(Perruche) 사건”의 검토
1. 사실관계
2. 재판과정 및 판결요지
3. 세칭 반(反)페르쉐법의 제정
Ⅴ. 나오며: 원치 않는 삶 소송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주제어
Wrongful Life  , Unwanted child  , Responsi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 원치 않은 삶  , 원치 않은 아이  , 손해로서의 아이  , 의료과오책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428 12 낙태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 / 이연우 2015  386
1427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6
»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50
1425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6
1424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1423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1422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1421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5
1420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4
1419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1418 12 낙태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송현정 2016  443
1417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8
1416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1415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1414 15 유전학 유전검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전클리닉의 개설과 운영 / 이용화 외 2006  178
1413 15 유전학 산전검사의 유전상담 / 황도영 2007  188
1412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1992  139
1411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1410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1409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