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44650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기타서명

    Development of a protocol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in consultation-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저자

    허윤정                                       

  • 형태사항

    v, 79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수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종양간호전공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초록 (Abstract)

  •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용 병상 없이, 주치의가 요청하는 자문에 따라 학제간 팀이 환자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한 유형으로 최근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용 병상 없이, 주치의가 요청하는 자문에 따라 학제간 팀이 환자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한 유형으로 최근 종합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저변 확대를 위한 대안으로 대두되면서 정부에서 제도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주요 팀원인 전문간호사를 위한 업무 표준이나 프로토콜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병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의 전문간호사를 위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전문간호 수준의 실무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토콜 개발 과정은 첫째 통합적 문헌고찰을 시행하고, 둘째 National Consensus Project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하여 국내 완화케어팀 돌봄 범주, 일본 완화의료팀 업무 분류,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직무기술서 역할 및 35편의 문헌을 각 범주에 따라 내용을 확인하고 프로토콜 기본범위를 선정하였으며, 추가로 호스피스 실습교육지침서, 간호 관련 교재, 보고서, 학술대회 자료집 등을 참고하여 초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프로토콜 초안을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가 7인이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이를 수정, 보안하여 최종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의 전문가적 간호 실무 영역은 신체적 측면 간호항목 30개, 정신심리적 측면의 간호항목 14개, 사회문화적 측면의 간호항목 11개, 실존적?영적 측면의 간호항목 3개, 임종기 간호 항목 9개, 윤리적?법적 측면의 간호항목 4개, 돌봄 장소 결정에 관한 지원의 간호항목 4개, 가족지지간호항목 7개, 사별가족 돌봄 간호항목 11개와 각 간호항목의 세부사항으로 확정하였다. 자문 및 협동 영역은 의료진과 의사소통, 의료진 지원, 팀 내 조정, 지역사회 관리의 4개 간호항목과 12개의 세부사항으로 확정하였다.2. 전문가 패널 조사에서는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전문가적 간호 실무 영역의 정신심리적 측면의 간호, 의사결정 지원(윤리적?법적 측면의 간호), 돌봄 장소 변경에 관한 의사결정 지원, 가족지지와 자문 및 협동 영역의 전문간호가 주요한 역할로 조사되었다. 또한 말기 암 진단 후 의사결정의 쟁점이 가장 첨예한 상황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팀에 의뢰되므로 환자, 가족, 의료진의 다양한 요구를 확인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적극적 치료에서 완화적 돌봄으로 목표를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였다.이상과 같이 개발된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에 기반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전문간호 제공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저변 확대와 향후 제도화 과정에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암 치료가 주로 진행되는 종합병원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대상자를 말기 암환자로 제한하지 말고 진행기 암환자를 포함하고, 암 치료 과정 중 환자, 가족 교육 및 상담을 전담하고 있는 종양전문간호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과 훈련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868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분화능의 비교 / 김한준 2013  201
1867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에 있어서 성장인자의 작용기전 / 허정선 2007  241
1866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2017  1046
1865 18 인체실험 전이 유전자의 삽입을 배제한 돼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수립 / 최유정 2012  154
1864 18 인체실험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정은정 2011  364
1863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2011  350
1862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5
1861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186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시범사업 일당정액제 도입이 재원일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완화의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신지연 2013  151
1859 20 죽음과 죽어감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 유민영 2016  242
»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185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가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 함혜영 2013  207
1856 20 죽음과 죽어감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 장호영 2016  152
1855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7
185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환자의 증명책임의 완화에 관한 연구 / 전진용 2010  192
185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185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1851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병동 성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통증 관리에서의 약사의 역할 : 통증 관리와 진통제 사용 적절성 / 금민정 2015  213
185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 유선희 2014  613
184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 강진아 2010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