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가족복지학(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87270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Child Welfare Policies for Children Separated from Their Birth Parent at an Age of Low Fertility

                                  

  • 저자명

    변미희 ( Mi Hee Byun ), 정혜선 ( Hae Sun Chung )                                             

  • 학술지명

    한국가족복지학(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 권호사항

    Vol.16 No.3 [2011]                                                           

  • 발행처

    한국가족복지학회(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 발행처 URL

    http://familywelfare.net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9-208(2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해 요구되는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문화, 체계화를 위해 먼저 전달체계 및 인력부분을 다루...
  • 본 연구는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해 요구되는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아동복지서비스의 전문화, 체계화를 위해 먼저 전달체계 및 인력부분을 다루었고, 두 번째 가정위탁보호, 입양, 그룹홈, 아동양육시설 등 현재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위한 보호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논의하였다. 전달체계 및 인력부분에서는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발생시 배치상담부터, 배치 후 사후관리 서비스, 퇴소할 때의 자립지원서비스까지 모든 과정에서 필요한 기관이나 서비스, 인력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연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동복지전달체계 및 인력부분에서는 가정보호중심으로 보호방법을 개선하고, 배치위원회를 설립하고, 위탁·입양가정지원센터의 통합운영, 대리보호체계 하 아동을 위한 자립지원센터의 통합운영, 아동복지전문가의 양성을 논의하였다. 친가족의 권리보장 및 재결합을 위한 정책 강화를 위해서는 위탁·그룹홈·시설아동의 친가정 복귀강화, 개방입양의 활성화, 친권종료제도의 현실화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탁·입양아동의 특성과 욕구에 따라 양육비 차등지원, 위탁부모와 입양부모의 역할과 자질 강화, 양육시설의 기능변화 및 청소년·치료적 그룹홈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88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at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 하아나 2016  137
1987 15 유전학 In vivo selective gene knockout through in situ delivery of RNA-guided Cas9 nuclease using lipidoid / 송명재 2014  122
1986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olden Syrian hamster related to human diseases by using CRISPR/Cas9 system / 이재익 2015  83
1985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2016  839
1984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법을 활용한 오브알부민 생산 유전자를 제거한 유전자 변형 닭 생산 / 한재용, 박태섭 2014  271
1983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90
1982 15 유전학 위암 조직에서 p53과 K-ras 유전자 돌연변이와 Helicobacter pylori감염과 IL-1B 유전자 다형성 사이의 관련성 연구 / 2005  146
1981 15 유전학 CRISPR-Cas9 사용이 제기하는 윤리적 질문들 / 전방욱 2016  751
1980 15 유전학 염색체 잘라내기: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특이적 염색체 결실 유도 / 김진수 2010  205
197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존재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비표적 염기서열 분석 방법 / 엄숭호 2015  110
1978 15 유전학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정창록 2016  244
1977 15 유전학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 박수연 1999  294
1976 15 유전학 맞춤의학 시대의 개인 유전체 서열의 해독과 스마트한 이용 / 김동민 2013  66
1975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기술의 경향과 윤리 / 이병욱 2010  89
197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 윤우일 2012  172
197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김성은 2012  63
»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
1971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1970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1969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