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48545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s a Prophylactic Measure Guarding Privacy - the Resulting Constitutional Limits on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

                                    

  • 저자명

    박경신(Kyung-Sin Park)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0 No.1 [2011]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9-162(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6                                                                                                                           

  • 초록 (Abstract)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에 심대한 영향을 준 EU디렉티브와 OECD가이드라인을 자세히 검토해보면 세계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그 핵심적인 보호법익으로 두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대규모집적 및 유통을 통해 프라이버시권 침해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과잉'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규범(prophylactic) 또는 적극적 규범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프라이버시권의 연혁을 워렌-브렌다이스 논문부터 프롯서 그리고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연혁을 검토해보면 나라마다 '사적인 정보'의 범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프라이버시권은 '자신에 대한 사적인 정보의 공개 및 취득'의 통제를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범위도 '사적인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가능성있는 정보'들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특별법인 위치정보보호법은 물건의 소유자를 식별해내지 않는 방법으로 그 물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행위까지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정 또는 축소해석의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권
  • Ⅲ. 프라이버시권의 의미와 개인정보보호권의 발전
  • Ⅳ.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 평가에의 적용 - 위치정보보호법을 포함하여
  • Ⅴ.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2188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8239
2187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63
2186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9
2185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87
2184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65
2183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56
2182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15
2181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6
2180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2007  2753
2179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3
2178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8
2177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16
2176 1 윤리학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규정과 개인정보보호법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황지은 2016  159
217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12
2174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이창범 2016  222
2173 1 윤리학 유럽연합과 미국의 잊힐 권리에 관한 입법 소고 / 김훈범 2016  171
2172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300
2171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42
2170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2016  273
»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