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명
김정은 ( Kim Jeong Eun ), 최해경 ( Choi Hae Kyung )
- 학술지명
한국가족복지학(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권호사항
Vol.55 No.- [2017]
- 발행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fsw.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57-187(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손상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주보호자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손상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주보호자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치매, 뇌졸중, 파킨스병 등의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의 부모 또는 배우자를 6개월 이상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이며, 일대일 대인면접의 서베이 방식으로 총 18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주보호자의 주관적인 신체건강은 5점 만점에 평균 2.81점(SD=.93)의 부정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돌봄 활동 요인 중 건강 책임(β=-.244, p<.01), 신체적 활동(β=.198, p<.05)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CES-D로 측정된 주보호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26.38점(SD=10.53)으로서 임상적으로 매우 심한 우울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 돌봄 활동의 영적 성장(β=-.409, p<.001)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보호자의 신체·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자기 돌봄에 대한 인식 개선, 적극적인 자기 돌봄 여건 마련 등을 강조하는 실천적,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primary caregivers who were caring for their spouses or par...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primary caregivers who were caring for their spouses or parents with functional impairment at home in Daejon. SPSS 21.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primary caregivers reported their physical health status as poor (2) the domains of health responsibility, physical activity in their self-ca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physical health level (3) primary caregivers reported very high level of depression (4) their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piritual growth among self-care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policy sugges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