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6900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A study on mothering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 저자

    임승미                                       

  • 형태사항

    iv, 84 L.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혜영
    참고문헌: p. 75-8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 사회복지전공 2017.2

  • DDC

    360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현대사회 변화와 함께 가족 구성의 변화도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가족 형태의 출현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저출산 사회로 접어들면서 ‘여성은 어머니가 되어야하는 존재...
  • 현대사회 변화와 함께 가족 구성의 변화도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가족 형태의 출현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저출산 사회로 접어들면서 ‘여성은 어머니가 되어야하는 존재’의 암묵적 동의가 국가주도하에 용인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미혼모의 출산은 동의를 얻을 수 없는 사회적 분위기가 동시에 연출되고 있다. 다양한 가족 출현 속에서도 청소년 미혼모의 등장은 금기시되는 사항으로 여겨졌으며 여전히 우리 사회내 미혼모에 대한 시선은 엄격한 잣대가 적용되는 영역으로 치부되고 있다. 미혼모 중에서도 특히 청소년 미혼모는 곧 비행 청소년, 위기 청소년이라는 등호 관계를 묵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기혼 여성의 범주로 여겨졌던 ‘모성’의 영역을 청소년 미혼모에게서 찾고자 ‘청소년 양육 미혼모의 모성 경험’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4세 이하 청소년 미혼모 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8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어 녹취 전사하였다. 면담의 주요 내용은 성관계 경험, 임신 전, 임신 인지, 출산 경험, 양육 과정의 일련의 흐름 속에 등장하는‘모성’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양육 미혼모에게 있어‘원가족과의 관계’가 모성 실천 과정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원가족’중에서 특히 ‘친엄마’의 존재 여부 또는‘친엄마’의 양육 방식이 의미 있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둘째, 청소년 양육 미혼모에게 있어‘미혼부와의 관계’가 양육 태도에 유의미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셋째, 10대 청소년 미혼모와 20대 초반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 실천 과정 양상은 서로 다른 측면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육에 있어서도 성(性) 정체성 인지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 되지 않았던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에 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살펴봤다는 점에서 연구론적 함의를 지닌다. 주로 논의되던 청소년 미혼모의 연구와는 다른 심층적 접근을 통하여 이들의 ‘모성경험’을 보다 깊숙하게 살펴보고 관찰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는 데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제2절 연구문제 및 연구의의 = 4
  • II. 이론적 논의 = 5
  • 제1절 청소년 미혼모의 개념 및 특성 = 5
  • 1. 청소년 미혼모의 개념 = 5
  • 2. 청소년 미혼모의 특성과 발생요인 = 8
  • 제2절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 = 12
  • 1. 모성의 개념과 모성 논쟁 = 12
  • 2. 미혼모와 모성 = 14
  • Ⅲ. 연구 방법 = 17
  • 제1절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방법 = 17
  • 제2절 연구 참여자의 특성 = 21
  • Ⅳ. 연구 결과 = 24
  • 제1절 순조로운 모성의 수용과 실천 = 27
  • 1. 성관계와 임신에 대한 능동적 대처 = 27
  • 2. 출산과 양육의 주체적 선택 = 31
  • 3. 지지체계와 모성 실천 = 37
  • 제2절 불완전한 모성의 자각과 불안정한 모성 실천 = 40
  • 1. 강제적인 성관계 = 40
  • 2. 모녀관계의 불화와 임신 자각 = 44
  • 3. 불안정한 모성의 수용과 실천 = 46
  • 제3절 거부로부터 적극적 전개 = 54
  • 1. 해체된 가족과 타협적 성관계 = 54
  • 2. 결정의 지연: 의존적 성향 대 무반응 = 56
  • 3. 뒤늦은 모성 수용 = 60
  • Ⅴ. 결 론 = 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0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250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250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9
250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
250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250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25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250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2
25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24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54
2498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2497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4
249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100
2495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2017  188
2494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7
»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2492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2491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1
2490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2489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