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An Application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to Protective Behavioral Intention
against the MERS : Examining the Moderated Effect of Subjective Knowledg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저자 |
유성신(Sungshin
You),박현선(Hyunsun Park),진범섭(Bumsub Jin) |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권호사항 |
Vol.18No.2[2016]
|
발행처 |
한국광고홍보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37-273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6 |
주제어 |
병행과정
확장 모델,주관적 지식,정부 신뢰,메르스,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subjective knowledge,trust in government,MERS,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
초록 |
본
연구는 메르스 예방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고자 병행과정 확장모델(EPPM)의 네 가지 변인에 개인적 특성 변인인
‘주관적 지식’과 ‘정부에 대한 신뢰’ 변인을 추가하여 설문 조사(N = 206)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병행과정 확장 모델(EPPM)의
변인인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 ‘자기 효능감’, ‘반응 효능감’이 메르스 예방 행위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메르스에 대한 주관적 지식이 예방 행동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병행과정 확장
모델(EPPM) 변인과 개인적 변인인 주관적 지식의 상호작용 결과, ‘반응효능감’과 ‘주관적 지식’이 상호작용을 통해 예방 행동 의도에
대해 조절 효과를 보여 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지식수준과 반응 효능감이 높을 때 메르스 예방 행위 의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신뢰’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초록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ritical variable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protect against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These
variables include 1) self- and response efficac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2)
subjective knowledg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as individual factors, and
3) demographics. The study asked 206 (N=206) adults to respond to a survey
that used convenience sampling in Daejeon C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rotective behavioral intention against the MERS would be more likely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high levels of self- and response efficac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and subjective knowledge.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response efficacy and subjective knowledg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Specifically, when
subjective knowledge and response efficacy were highly perceived, the
behavioral intention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However, the significant
moderated effect of trust in the government did not occur. |
목차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