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ㆍ당뇨병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인식에 관한 연구
기타서명 |
Study on the
Priority Perception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
저자 |
변도화 |
발행사항 |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
형태사항 |
ⅶ,158 L.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지도교수:장노순,참고문헌 : L.113-12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4. 8 |
KDC |
517.1 5 |
발행국 |
강원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고혈압ㆍ당뇨병의 지속가능한 관리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242002) |
초록 |
우리나라는 1990년대를 전후로
경제성장과 함께 인구노령화로 인한 감염병에서 비감염병 즉,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의 발생이 급격히 늘어나 막대한 국민의료비를
부담해야 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정부는 2006년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2007년 대구광역시를 시범으로 지역사회
의원과 약국을 통해 고혈압, 당뇨병 환자를 등록ㆍ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이후 2014년 현재 17개 시ㆍ도의 19개
시ㆍ군지역에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교육센터가 설치되어 민관협력체계(public-private partnership)를 통한 보건기관 및 대학에
위탁 운영되고 있다. 고혈압ㆍ당뇨병은 건강행태 개선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서만 관리될 수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국 19개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교육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고혈압ㆍ당뇨병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치료순응도(환자)와
치료지속성(시스템) 차원의 접근 전략으로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 우선순위 인식을 분석하였다. 2014년 4월중에 총 185명
조사대상자 중 140명이 참여(75.6% 응답률)하였고, 부적합한 일부 자료를 제외한 133개의 설문지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한 후
Expert Choice Desktop for academy의 90일 한정판 license를 사용하여 AHP분석을 하였다.
연구모형에 의한 분석결과, 고혈압ㆍ당뇨병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평가기준 간의 우선순위 인식 정도를 ‘시스템(보건의료체계) 차원’과 ‘환자(지역주민) 차원’으로 비교하였을 때 ‘환자 차원의 전략’이
더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환자 차원에서의 우선순위로는 ‘건강생활습관(금연, 절주, 영양, 운동 등)’(6.26점), ‘고혈압ㆍ당뇨병에 대한
위험(발병가능성/심각성) 인식’(6.23점), 그리고 ‘건강검진(혈압ㆍ혈당검사) 수진율’(6.14점) 순이다. 이는 모두 건강행태 영역으로
실무자들은 고혈압ㆍ당뇨병의 임상적 특성을 감안하여 환자 개인 차원의 예방적 관리방안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스템 차원의 전략으로는 사업과정평가의 센터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의 적절성 영역의 ‘담당인력의 전문성(역량)’(6.27점), ‘담당인력의
근무연속성’(6.23점), ‘보건교육 내용의 적합성’(6.19점) 등이 각각 상위 순위에 인식되었다. 즉, 이는 현재 시범 운영되고 있는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교육센터의 확대 설치 시 전담인력의 전문성에 근거한 보건교육 내용의 적합성과 실무자의 지속적 근무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결국 지역사회 내 만성질환 환자관리의 중요한 요소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혈압ㆍ당뇨병의 치료순응도
측면과 치료지속성 측면에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혈압ㆍ당뇨병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보건교육을 통한
건강행태의 개선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어야 한다.
둘째, 집에서 가까운 일차보건의료기관을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이 시범사업의 활용을 통해 의사-환자 간의 관계 형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국가(중앙정부/지방정부)는 보다 더 근거중심의
보건정책(evidence-based health policy)을 수립 추진하여야 한다. 그동안 환자 개개인에게만 맡겨져 있던 질병관리정책을
보건의료체계 강화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여야 한다.
넷째, 만성질환관리 전담인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역량 강화가 지속되어야 한다.
다섯째, 일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에서
강조되었던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민관협력체계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
목차 |
목 차
제Ⅰ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1. 연구범위 4
2. 연구방법 4
제Ⅱ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만성질환의 지속관리를 위한 두 가지 관점 6
1. 우리나라 만성질환 환자의 의료이용 및 지속관리
현황 7
2. 환자 차원의 치료순응도 관점 9
3. 시스템 차원의 치료지속성 관점 11
제2절 치료순응도 관련 이론모형 13
1. 치료순응도의 정의 및 측정방법 13
2. 치료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향상
방안 13
3. 치료순응도 이론모형의 논의 14
제3절 치료지속성 관련 이론모형 20
1. 치료지속성의 개념 및 유형 20
2. 치료지속성 이론모형의 논의 22
제4절 만성질환 환자의 지속관리 관련 선행연구 검토 및
시사점 26
1. 선행연구 검토 26
2. 시사점 31
제Ⅲ장 우리나라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현황분석 33
제1절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필요성 33
제2절 우리나라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35
1.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비전 및 실천전략 35
2.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추진체계 및
운영 38
3. 시·군·구 보건소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표준모형 40
제3절 국내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시범사업의
내용분석 41
1.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의 인력 구성 및 예산
현황 41
2. 보건의료기관의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참여
현황 43
3.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등록 및 상담
현황 44
4. 고혈압·당뇨병 환자에 대한 교육 현황 51
5.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시범사업의 내용분석에 따른
시사점 54
제Ⅳ장 연구설계 57
제1절 연구모형 및 변수 57
1. 연구모형 개발과정 : AHP 평가
연구모형 57
2. 연구모형에 따른 주요 변수의 조작적
정의 58
제2절 조사설계 및 설문지 개발 71
1. 조사설계 71
2. 설문지 개발 71
3. 자료수집방법 72
4. 설문분석을 위한 AHP 기법 73
제Ⅴ장 실증적 분석 75
제1절 설문조사 대상자의 특성 75
1. 지역별 설문응답자의 분포 75
2. 설문응답자의 주요 특성별 분포 76
제2절 AHP모형에 따른 우선순위 인식에 관한
설문분석결과 78
1. 치료순응도와 치료지속성 항목의 중요도
분석 78
2. 치료순응도 및 치료지속성 항목 간 이원비교를 통한
우선순위 인식 81
3. 치료순응도(환자) 차원과 치료지속성(시스템) 차원의
대안 선호도 90
제3절 AHP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우선순위 인식 논의와 정책적
제언 100
1. 우선순위 인식의 결과에 대한 논의 100
2. 정책적 제언 102
제Ⅵ장 결 론 106
제1절 연구결과 107
제2절 연구 한계와 향후 과제 110
1. 연구의 한계점 110
2. 향후 과제 111
참고문헌 113
1. 국내문헌 113
2. 국외문헌 119
부 록 : 설문지 129
Abstract 15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