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식품소재 개발/ 백현동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6.12.22

조회수  466

정보 안내 표
사업명 바이오그린21
주관연구기관 건국대학교
발행년 2011
키워드 AI,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 조류독감, 바이러스
관련링크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1100015864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식품소재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Preventing Avian Influenza


  • 사업명

    바이오그린21

  • 과제명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식품소재 개발(바이오그린21)

  • 주관연구기관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 연구책임자

    백현동 

  •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대한민국

  • 언어

    대한민국

  • 발행년월

    2011-02

  • 과제시작년도

    2010

  • 주관부처

    농촌진흥청

  • 사업 관리 기관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과제고유번호

    1395020544

  • DB구축일자

    2016-07-30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AI)는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이며,

양계업체와 축산농민에 경제적인 손실을 안겨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병원성이라 사람으로의 전염 때문에 사회적 관심을 끌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에 대한 사회, 경제적 관심은 점차 커지고,

선진국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경제 발달과 함께 이들에 대한 비용 지출 또한 커지고 있으며, 특

히 이러한 질병은 생산과 소비, 무역협정과 같은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이고,

인간에게 전파되어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인간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존을 위협하여 사회적인 불안도 야기한다.

인수공통전염병은 전염에 따른 가축 폐사와 같은 직접피해와 함께 관련 산업으로의 간접피해도 적지 않고,

인간에게 전파될 경우, 인명 피해로까지 이어짐.

이는 관광 및 무역에도 영향을 끼쳐 지역 간 또는 국가 간 교류의 장벽과 사회.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이러한 전염병을 사회경제적 질병(Socio-economic disease)라고 지정하고 있다



  1. 표지 ... 1
  2. 제출문 ... 2
  3. 요약문 ... 3
  4. SUMMARY ... 9
  5. CONTENTS ... 10
  6. 목차 ... 11
  7. 제 1 장 서론 ... 12
  8. 제 1 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 12
  9.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14
  10.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7
  11. 제 3 장 연구 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8
  12. 제 1 절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소재의 탐색 ... 18
  13. 1. 식품용 기능성 소재의 탐색 ... 18
  14. 2. 사료첨가용 기능성 소재의 탐색 ... 26
  15. 제 2 절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소재의 정제 및 물질특성 확인 ... 28
  16. 1. 식품용 기능성 소재의 정제 및 물질특성 확인 ... 28
  17. 2. 사료첨가용 기능성 소재의 정제 및 물질특성 확인 ... 32
  18. 제 3 절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소재의 대량생산시스템 확립 ... 32
  19. 1. 식품용 기능성 소재의 대량생산시스템 확립 ... 32
  20. 제 4 절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소재의 제조 및 평가 ... 34
  21. 1.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우유 제조 및 항균활성 평가 ... 34
  22. 제 4 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37
  23. 제 1 절 목표대비 대외달성도 ... 37
  24. 제 2 절 정량적 성과 ... 44
  25.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50
  26. 제 6 장 기타 중요 변동 사항 ... 51
  27. 제 7 장 연구장비 현황 ... 52
  28. 제 8 장 참고문헌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