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 의과대학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01989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Optimal MR cholangiography in evaluation of hilar branching anatomy of living adult liver donors

 / 임준석



저자 임준석
형태사항 66장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Myeong-Jin Ki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Dept. of Medicine 2007.2
발행국 서울
언어 영어
출판년 2007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에 위해, 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담관 조영술 (Gd-BOPTA MRC)과 T2 강조 삼차원 자기공명담관조영술(volumetric T2-MRC)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 생체부분 간이식에 특화된 적정 자기공명영상기법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연구대상 및 방법:Part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D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88 간이식 후보자들이 조영증강 MRC를 시행 받았다 (Mn-DPDP MRC: n=36 과 Gd-BOPTA MRC: n=52). 질적 평가를 위해 두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MR영상을 판독하였으며 총담관, 우담관, 좌담관, 그리고 이차분지 별로 4점 척도로 점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양적 평가를 위해 Contrast to Noise비를 간실질과 총담관에서 측정하였다.Part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우간엽 절제술을 시행받은 11명의 공여자를 대상으로 한명의 영상의학과 의사와 한명의 외과의사가 모든 MR영상을 판독하였고 그소견을 수술 소견과 수술 담도조영술과 비교하였다. 또한 두명의 다른 영상의학과 의사가 두가지 영상 조합 (기존의 T2-single section single shot RARE sequence (conventional T2-MRC)와 기존의 검사에 Gd-BOPTA MRC를 같이 판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해석에서 간문계 해부학적 변이와 그 진단신뢰도를 기록하였다.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본 연구는 33명의 생체부분 간이식을 위해 우간엽 절제술을 시행받은 공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공여자는 세종류의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을 시행받았다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 세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각각의 검사에서 담도관의 visualization score와 artifact의 정도를 기록하였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Part 3와 동일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세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비조합형 영상 (conventional T2-MRC)과 조합형 영상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 conventional T2-MRC와 Gd-BOPTA MRC, 그리고 모든 검사의 조합)을 판독하였고, 각각의 영상에서 예상되는 담관구의 수와 진단 신뢰도를 기록하였다. 예상되는 담관구의 수는 수술소견과 비교하였으며 또한 각 영상의 평균 정확도와 그 신뢰도를 비교하였다.연구결과:Part 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Mn-DPDP MRC와 Gd-BOPTA MRC는 총담관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없는 visualization score를 보였다 (p = .380, Mann-Whitney U test). 또한 branching duct에서는 Gd-BOPTA MRC가 Mn-DPDP MRC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담관: p = 0.016, 좌담관: p = 0.014, 우측 이차분지: p = 0.006, 좌측 2차 분지, p = 0.003). 양적분석에서도, Gd-BOPTA MRC 총담관/ 간실질의 CNR (38.90±24.50) 이 Mn-DPDP MRC의 CNR(24.14±17.9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3, Student’s t test).Part 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전향적 분석에서 두 공여자에서 담도계 병이를 확인하였고 이는 수술 소견과 일치하였으며 후향적 분석에서는 조합영상의 진단신뢰도가 conventional T2-MRC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전체 담도의 평균 visualization score 는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가 Gd-BOPTA MRC보단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의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비교에 있어서는 volumetric T2-MRC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Gd-BOPTA MRC는 다른 두검사기법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artifact를 보였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조합영상간의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 정확도와 진단신뢰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조합형 검사는 conventional T2-MRC만을 시행한 경우보다는 높은 정확도와 진단신뢰도를 보였다.결론:Part 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Gd-BOPTA MRC는 담도 조영을 위한 기존의 Mn-DPDP MRC를 대체할 수 있다.Part 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Gd-BOPTA를 이용한 자기공명 영상은 간공여 후보자의 술전 진단에 있어서 혈관과 담관의 해부학을 같이 파악할 수 있는 포괄적 영상 기법이다.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volumetric T2-MRC는 담도계 조영에서 가장 높은 visualization score를 보이고 반면 Gd-BOPTA MRC는 가장 적은 artifact를 보인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기존의 conventional T2-MRC와 다른 두 영상기법의 조합은 생체부분간이식을 위한 공여자의 담도계 해부학의 술전 검사에서 적정 자기공명 영상기법으로 여겨 진다.


주제어
자기공명영상, 간이식, 담관, 담도조영술, 조영제, liver transplantation, bile ducts, cholangiography, magnetic resonance, contras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124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82
124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7
12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16
124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71
124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9
124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51
124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43
124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51
124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5
»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50
12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6
123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300
12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22
1235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30
123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7
123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3
123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40
1231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41
123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32
122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