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6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간호전공 2016. 8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4146647 |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The Perceptions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http://www.riss.kr/link?id=T14146647
55 ; 26 cm
지도교수: 김은하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간호전공 2016. 8
부산
한국어
2016
초록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100병상 이상 규모의 요양병원 10개소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5개월
이상인 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4일부터 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정희[30]와 이은자[31]의 측정도구를 김명숙[32]이 수정․보완한 호스피스인식 도구, Frommelt[34]가
개발하고 조혜진과 김은심[35]이 번역, 수정․보완한 임종간호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9.4%, ‘연령’은 평균 46,1세이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77.6%, 최종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62.8%로 가장 많았다. 병원경력은 평균 14.6년으로 145개월 이상이 50.6%, 요양병원경력은 평균 4.6년이며 3년 이상이 50.6%이였다. 종교는 ‘무교’가 41.7%이었다. 가까운 지인의 임종경험은 69.9%가 있었고, 임종경험횟수는 평균 6.8회이다. 호스피스와 관련된 교육경험은 60.9%가 없었고, 호스피스 관련 교육을 받은 시간은 평균 7.8시간이었다. 임종간호의 필요성은 100%가 ‘필요하다’로 응답하였으며, 필요한 이유는 통증 및 증상 관리(88.4%)가 가장 높았다.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정보습득은 59.0%가 병원(의료진을 통해)이었고, 호스피스제도 도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로는 병원의 경제성(타산이 맞지 않으므로)이 72.9%로 가장 많았고, 92.3%가 호스피스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호스피스완화간호 필요성은 ‘필요하다’가 67.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정도는 평균 3.24점(1-4점), 하위영역별로 보면, 정의·철학영역(3.39점), 대상자영역(3.25점), 서비스 내용영역3.29점), 윤리 및 심리영역(2.98점),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 영역(3.21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수준은 평균 3.61점(1-5점), 하위영역별로 보면, 개인에 대한 태도영역(3.49점), 가족구성원에 대한 태도영역(3.96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의 정도는 연령(t = 10.72, p< .000), 결혼상태(t = 2.28, p< .023), 병원 경력(t = 3.85, p= .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연령(t = 8.63, p<.000), 병원경력(t = 5.17, p< .007), 요양병원경력(t = -1.98, p= .049), 가까운 사람의 임종경험 유무(t = 2.30, p< .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 = .555, p< .001)로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이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사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가까운 지인의 임종경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이며, 설명력은 32.5%로 나타났다(F= 15.921, ρ<.001). 이상과 같이 요양병원 간호사는 지인의 임종경험이 있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높고, 호스피스 간호인식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를 위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임종간호와 관련된 직무교육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간호사들이 근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임종경험을 나눌 수 있는 전문적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3
II. 문헌 고찰 5
1. 요양병원간호사 5
2.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6
3. 임종간호태도 8
III. 연구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2
4. 자료수집방법 및 기간 13
5. 자료 분석방법 13
6. 연구의 제한점 13
7. 윤리적 고려 14
IV. 연구결과 15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5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수준 18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수준 21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24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 26
6.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 28
7.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29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34
Ⅶ. 참고문헌 36
설문지 45
영문초록(Abstract)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