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국 제약산업을 움직인 사람들…학계·업계 설문조사

국내 제약산업은 2012년 한 해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그 양상은 강력한 규제와 자발적인 혁신 사이에서 절박한 생존의 길을 찾는 것이었다. 이제 한 해를 마감하고, 새로운 정권의 출범을 앞둔 시점에서 조선일보 산업부 제약바이오팀은 국내 제약산업을 결산하는 설문조사를 했다. 주제는 '지난 10년간 한국 제약산업을 움직인 사람과 기관, 신약은?'.

설문조사는 '국내 제약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문항 등 총 7개 문항마다 1위부터 3위까지 추천을 하도록 했다. 1위는 3점, 2위는 2점, 3위는 1점으로 계산해 합계를 내는 방식으로 순위를 정했다. 설문 대상은 매출액과 연구개발(R&D) 투자 규모 등을 기준으로 한 국내 10대 제약사 최고경영자(CEO)와 연구소장으로 정했다. 학계를 대표해 서울대 약대 정진호 학장과 경희대 약대 정서영 학장도 참여했다. 참여 제약사는 동아제약·녹십자·대웅제약·유한양행·한미약품·종근당·JW중외제약·LG생명과학·일동제약·보령제약이다.

제약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이 압도적인 1위로 꼽혔다. 지난해 9월 장관직에 올라 올해가 임기 2년차지만, 제약업계 관계자들은 지난 10년을 통틀어 가장 영향력이 강한 인물로 주저 없이 임 장관을 꼽았다. 임 장관은 지난 4월 1일 정부가 약값을 일괄적으로 15~17% 인하하는 초유의 '약가 인하'를 단행했다. 이 여파로 올해 제약업계는 유례없는 역(逆)성장을 기록할 만큼 몸살을 앓았다. 내수시장은 거의 폭격을 당한 처지였다. 이번과 같은 일괄적인 약가 인하는 제약업계 역사상 전례가 없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아예 제약산업의 씨를 말리려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반면 제약시장이 투명해지고 제약사들이 판에 박은 복제약 일변도 전략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생존전략을 개발하는 등의 긍정적인 면도 나타났다. 실제로 올해 제약사들은 약가 인하로 내수시장에만 기댈 수 없게 되자 해외시장에 눈을 돌려 수출이 급증했다. 임 장관의 전임자인 진수희 전 복지부 장관과 제약시장 투명화 방안을 강력하게 추진한 이명박 대통령이 각각 영향력 2, 3위에 올랐다.

제약산업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기관

예상대로 보건복지부가 압도적 1위,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위였다. 규제산업인 제약산업의 특성상 두 기관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눈에 띄는 것은 LG생명과학이 공동 2위에 오른 점. LG생명과학은 매출 순위로는 8~10위권 제약사에 불과하지만, 매출 대비 R&D 지출이 20%로 국내 제약사 중 독보적인 1위를 유지하는 연구개발 중심형 제약사다. 응답자들은 한국 제약업계 역사상 첫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인 '팩티브'(항생제)를 개발, 신약 역사를 개척한 도전정신에 높은 점수를 줬다. 2003년에 미국 FDA 승인을 받은 팩티브는 비록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우리도 세계 최대 시장을 직접 공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제약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CEO

한미약품 임성기 회장, 동아제약 김원배 사장이 1위를 놓고 접전을 벌였으나 근소한 차이로 임 회장이 1위에 올랐다. 임 회장은 의약분업 이후 복제약과 개량신약을 앞세운 공격적인 경영으로 2001년 당시 10위권 밖이던 한미약품을 2007년 2위 제약사로 급성장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미약품은 200개의 제품 중 수입 약은 3.2%인 7개에 불과할 정도로 제조 비중이 높다. 임 회장은 국내 제약시장의 이슈를 선점하고 리드해왔다는 평가도 나왔다. 반면 임 회장이 제약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도 있었다. 공격적인 영업으로 제약시장을 교란했다는 평가들이 나왔다.

2위에 선정된 김원배 사장은 연구소장 출신으로 가장 성공한 CEO로 꼽힌다. 김 사장에 대해서는 "전문경영인으로 업계 1위인 동아제약을 8년간 이끌어 왔으며 연구소장 때는 '스티렌'과 '자이데나' 등 시장성이 큰 신약을 개발한 공로가 크다"는 평가가 나왔다. 3위는 셀트리온의 서정진 회장이 꼽혔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을 국내 대표적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업으로 이끌고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램시마'의 상용화에 성공했다.

R&D에서 가장 혁신적인 사람

한미약품은 신약과 복제약이라는 두 가지 선택밖에 없었던 국내 제약시장에 개량신약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미약품의 R&D를 대표하는 인물이 이관순 사장이다. 국내사는 글로벌 제약사 100분의 1 수준의 개발비로 신약 개발이 요구하는 막대한 비용과 그에 따른 리스크를 감당할 여유가 없다. 그렇다고 복제약에만 매달려 좁은 국내 시장을 나눠 먹자니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길은 사라질 게 뻔했다. 이 사장은 신물질 개발보다는 제품의 형태나 복용법 등을 달리해 효능을 더욱 높이는 개량신약 기술을 개발하자는 '한국형 R&D'를 주창했다. 동아제약 김원배 사장과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업체인 메디포스트 양윤선 대표가 공동 2위에 뽑혔다. 의사 출신인 양 대표는 올 초 국내 최초로 다른 사람의 줄기세포로 만든 치료제를 허가받았다.

영업에서 가장 혁신적인 사람
‘영업의 한미’로 불리는 한미약품 특유의 공격적 영업문화를 만든 임선민 전 한미약품 사장이 압도적인 1위에 올랐다. 임 전 사장은 말단 영업사원으로 시작해 CEO 자리에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 응답자들은 “임 전 사장이 국내 제약사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임 전 사장은 그러나 정부의 반(反)리베이트(약품 채택 대가로 제공하는 금품)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난 2010년 사장직에서 물러났다. 제약업계 트렌드가 연구개발(R&D) 중심으로 바뀌는 시점이었다. 당시 그의 퇴임을 두고 제약업계에서는 “이제 영업의 시대는 갔다”는 말까지 나돌았다.

가장 혁신적인 연구자
서울대 약대 김성훈 교수(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가 단연 1위였다. 김 교수는 거대한 자본과 인력이 필요하고 실패 확률도 높은 고위험·고비용 구조를 대체할 신약 개발 모델을 만들고 있다. 임상시험 전(前) 연구의 세 단계를 한 다발로 묶어 동시에 진행하는 ‘융합형 개발’로 보통 12년이 걸리는 개발기간은 7년 반~9년으로 줄이고, 개발비는 5분의 1로 줄이자는 것이다. 

김 교수는 획기적인 신약 타깃(target·약물 적용 대상)을 찾는 부문에서도 큰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2005년 세계 최고의 생명과학 학술지인 ‘셀(Cell)’에 발표한 ‘p18’이라는 유전자는 세계 암 학계를 놀라게 했다. 인체는 몸속 세포가 고장 나면 문제가 생긴 세포의 성장을 중지시키고 DNA를 수리하여 재가동하거나, 수리가 어려운 세포에는 ‘자살 명령’을 내린다. 김 교수는 이런 항암작용을 좌우하는 p18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의사 집안 출신인 그는 ‘명의(名醫)는 평생 수천 명을 살리지만 뛰어난 약은 수백만 명을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해 서울대 약대에 진학했다. 2018년까지 매년 100억원 이상을 지원받는 초대형 연구단인 혁신형 의약 바이오 컨버전스 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2위는 마이크로RNA 연구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사진 오른쪽>가 선정됐다. 김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으로 선정됐다. 3위에는 길리어드 재직 당시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한 김정은 카이노스메드 수석부사장이 뽑혔다.

가장 기대되는 신약 파이프라인
동아제약의 수퍼항생제 ‘DA7218’과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가 1, 2위를 차지했다. 수퍼항생제는 기존 항생제가 듣지 않는 병원균을 치료하는 약으로,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국내 첫 발기부전치료 신약인 자이데나는 효능을 전립선 비대증과 고혈압 치료제로 넓혀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3위는 LG생명과학의 당뇨병 치료 신약인 ‘제미글로’가 뽑혔다. 경쟁 제약사들도 “안전하고 효과 좋은 당뇨병 치료제”라고 후하게 평가했다.

관련 기사 : http://news.nate.com/view/20121220n03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