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14 건
총 1,814 건
미국 버몬트주 의사가 아닌 의료인의 조력자살 처방 허용 예정
#1) 기사1: https://mindmatters.ai/2025/02/vermont-bill-would-allow-nondoctors-to-prescribe-assisted-suicide/ #2) 기사2: https://www.nationalreview.com/corner/vermont-bill-would-allow-nondoctors-to-prescribe-assisted-suicide/ #3) 참고1: https://vtethicsnetwork.org/palliative-and-end-of-life-care/medical-aid-in-dying-act-39 미국 버몬트주는 조력자살법(Act 39: Patient Choice and Control a the End of Life)을 2013년 처음 통과시킨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현재는 버몬트주 비거주자도 조력자살을 위한 치사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으며, Zoom 또는 Skype를 이용한 원격 처방도 가능하다. 버몬트주에 제출된 H.B.75 법안은 의사가 아닌 의료인(nondoctor clinician)이 조력자살을 위한 치사 약물을 처방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조력자살을 하고자 하는 환자는 의사를 직접 만나거나 대면상담 또...
연명의료 및 죽음 2025.02.21 조회수 13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 영국 최초 시민 배심원제를 통해 안락사에 대한 논의 진행
#1) 기사1: https://www.civilserviceworld.com/in-depth/article/gauging-public-opinion-on-the-assisted-dying-debate #2) 참고1: https://www.nuffieldbioethics.org/news-blog/project-to-explore-public-attitudes-towards-assisted-dying-in-england-reveals-some-of-the-key-factors-that-can-influence-someones-view-on-the-topic/ #3) 참고2: https://cdn.nuffieldbioethics.org/wp-content/uploads/EMBARGOED-0001-13SEP2024_NCOB-Assisted-Dying_interim-report_FINAL.pdf 영국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이하 NCOB)는 영국 최초 시민 배심원제(Citizens’ Jury) 운영을 통해 안락사에 대한 공공 의견을 조사한 바 있다. 안락사는 매우 복잡하고 민감한 윤리적 논란이 많은 주제로, 현재 영국에서 허용되진 않지만 이를 둘러싼 정치·사회적 논의는 지속적으로 활발하...
생명윤리 2025.02.14 조회수 39
영국 NHS 겸상 적혈구병 유전자 치료 급여 적용
#1) 기사1: https://www.bbc.com/news/articles/cx2yg9yny0ko #2) 기사2: https://www.bbc.com/news/health-67435266 #3) 기사3: https://www.bbc.com/news/articles/c4gzldll44lo 영국 NHS가 165만 파운드(약 27억 원) 상당의 유전자 편집 치료법 ‘Casgevy(Exa-cel)’를 겸상 적혈구병 환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으로 치료제 제조사 버텍스(Vertex)와 기밀 협정을 체결했다. 단 한 번의 치료로 병을 완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전으로 평가되며 매년 약 50명의 환자가 치료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겸상 적혈구병은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적혈구가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하면서 혈관을 막아 극심한 통증과 장기 손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주로 아프리카인과 흑인에게 영향을 주지만 영국에서도 약 1만 5천 명이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현재 치료법으로는 줄기세포 이식이라 기증자 확보의 어려움과 거부 반응에 대...
보건의료 2025.02.07 조회수 65
뇌 전극 이식을 통해 사지마비 남성 생각만으로 가상 드론 조종
#1) 기사1: 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2464080-brain-implant-lets-man-with-paralysis-fly-a-virtual-drone-by-thought/ #2) 참고자료: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1-024-03341-8 척추 손상으로 사지 마비를 앓고 있는 남성이 뇌에 이식된 전극을 통해 손가락을 움직인다고 상상하는 것만으로 가상 드론을 조종하여 장애물 코스를 통과시키는 실험에 성공했다. 미시간대학교의 연구팀은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상상으로 4개의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드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실험에 참여한 척수 손상으로 인한 사지마비 남성은 손 움직임을 제어하는 뇌의 영역에 전극을 이식하여 손가락을 움직이는 상상을 통해 가상 드론을 조종하는 기술을 익혔다. 이 실험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computer interfaces) 기술의 진전을 보여주지만, 복잡한 ...
과학기술발전 2025.01.31 조회수 90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한 영아의 대사 장애 치료
#1) 기사1: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gene-editor-may-have-cured-infant-deadly-metabolic-disorder ARCUS 뉴클레이즈(nuclease)*를 사용한 새로운 유전자 편집 치료법이 1세 영아의 치명적인 대사 장애인 OTC(ornitine transcarbamylase) 결핍증(요소회로대사이상증)을 치료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ARC-Nucleases(ARCUS)는 뉴클레아제로 알려진 DNA 절단 효소로, CRISPR 플랫폼보다 유전적 대사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고려 OTC 결핍증은 노폐물을 무해하게 변화시키는 대사 과정에 유전적으로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증이다. ARCUS는 DNA를 자르는 효소로 유명한 CRISPR보다 더 단순하고 잠재적으로 더 나은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적 대사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치료법은 간세포의 "안전한 위치(기존의 DNA를 방해하여 암이나 다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
과학기술발전 2025.01.24 조회수 92
인공지능 기반 임신 상담(낙태) 교육 도구의 도입
#1) 기사1: https://www.politico.com/newsletters/future-pulse/2025/01/07/texas-turns-to-ai-abortion-training-00196787 #2) 기사2: https://www.nytimes.com/article/abortion-law-texas.html 참고자료) Texas Senate Bill 8: https://capitol.texas.gov/tlodocs/87R/billtext/pdf/SB00008F.pdf#navpanes=0 텍사스 의과대학(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의대생들이 미국 내 주(州)별 낙태 금지법에 따라 의사와 환자가 법적 위험에 처하지 않으면서도 임신 관련 상담 시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든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도구를 개발 중이다. 미국 내 3분의 1 이상의 주(에서 시행되고 있는 낙태 금지법은 의학 교육과 훈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텍사스를 비롯한 일부 주에서 낙태를 ‘조장하거나 방조’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생명윤리 2025.01.17 조회수 123
인공지능(AI)이 어떤 배아를 출생시킬지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우려
# 기사 1 https://www.nationaltribune.com.au/ethical-concerns-over-ai-choosing-which-embryos-may-be-born/ # 참고 1 https://pubmed.ncbi.nlm.nih.gov/39657965/ 모나쉬 대학교(Monash University) 연구진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난임 치료가 중요한 윤리적 문제를 동반하며,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도구는 배아 이식을 위한 선택 과정을 개선하여 성공적인 임신 가능성을 높이고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환자의 비인간화, 알고리즘 편향, 투명성, 공정한 접근성 등 다양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윤리적 우려가 머신 러닝 도구를 배아 평가에 사용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지만, 임상 결과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관리할지, 이러한 도구를 어떻게 모니터링할지, 그리고 그 사용을 환자들에게 어떻게 전달할지에 대한 신중하고 ...
생명윤리 2025.01.10 조회수 152
'얼굴 나이(Face age)'란 무엇일까? 이 혁신적인 AI 도구가 암과 같은 질병을 퇴치하는 데 도움이...
# 기사 1) https://www.business-standard.com/technology/tech-news/ai-driven-face-age-tool-cancer-treatment-predicts-biological-age-124122700536_1.html # 기사 2) https://san.com/cc/your-face-age-could-unlock-clues-about-your-health/ 셀카를 찍고, 자신의 생물학적 나이를 나타내는 숫자를 확인한다고 상상해 보라. 이는 달력에 적힌 나이가 아니라, 실제로 몸이 느끼는 나이를 보여주는 개념이다. ‘얼굴 나이(Face age)’라는 이 흥미로운 개념이 의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연구자들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얼굴의 노화 징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요한 의학적 결정을 내리고 있다. 이 기술은 암 치료 계획 수립부터 환자의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들을 돕고 있다. ‘FaceAge’라는 이 도구는 얼굴 특징을 분석해 노화의 징후를 포착하며, 의료 및 공공...
과학기술발전 2025.01.03 조회수 197
줄기세포, 임상으로 향하다: 암, 당뇨병, 파킨슨병 치료가 곧 실현될 수도 있다
# 기사 1)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4160-0 # 기사 2) https://theconversation.com/stem-cell-therapy-reverses-type-1-diabetes-in-world-first-240250 앤드류 캐시(Andrew Cassy)는 2010년 파킨슨병 진단을 받고 은퇴할 때까지 통신 연구 부서에서 근무했다. 그는 자신의 질병을 공학적 문제로 바라보며 질병에 대한 호기심이 생겨 임상시험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2024년, 그는 혁신적인 임상시험에 참여하게 되었다. 2024년 10월, 스웨덴 룬드에서 외과 의사들이 그의 뇌에 인간 배아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한 뉴런을 이식했다. 이 세포들이 손상된 조직 일부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담긴 시술이었다. 이 연구는 암, 당뇨병*, 간질, 심부전, 일부 안과 질환을 포함한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서 조직을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줄기세포의 잠재력을 탐구하는 100건 이상의 ...
보건의료 2024.12.27 조회수 241
과학자들, 세계 최초로 혈액 생성 심장 오가노이드 개발
#기사 1 https://medicalxpress.com/news/2024-12-scientists-blood-generating-heart-organoid.html #참고 1 https://www.nature.com/articles/s44222-024-00268-0 #참고 2 https://www.livescience.com/59675-body-parts-grown-in-lab.html 인간의 장기는 어떻게 발달하고 질병에 걸리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이른바 “오가노이드”에 점점 더 주목하고 있다. 이 미니 장기들은 실험실에서 배양된 세포 집합체로, 몇 밀리미터 크기의 기관 유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배아 발달 과정과 유사하게, 오가노이드는 3차원 공간에서 세포 간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대사 과정이나 질병 메커니즘 연구에 유용하다. 오가노이드를 생산하는 과정은 까다롭다. 필요한 영양소, 성장 인자, 신호 분자는 특정 순서와 시기에 맞춰 정확히 추가되어야 한...
과학기술발전 2024.12.20 조회수 242
생물학을 위한 ‘구글 지도’ 구축: 인간 세포 지도, 의학을 혁신하다
#기사) https://scitechdaily.com/building-a-google-maps-for-biology-human-cell-atlas-revolutionizes-medicine/ #참고) https://www.nature.com/immersive/d42859-024-00060-5/index.html 인간 세포 지도(Human Cell Atlas, 이하 ‘HCA’)*의 새로운 연구는 세포 발달, 질병 메커니즘 및 유전적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인간 생물학과 건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있다. *전 세계 102개국 3,600여 명의 과학자들이 모든 유형의 세포에 대한 상세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로,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전 세계 지형 지물을 찾아보듯 인간 세포의 모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됨 HCA 컨소시엄*은 건강과 질병 상태에서 인간 세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하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최근에는 네이처 등의 저널에 40편 이상의 논문으로 구성된 컬렉션을 발표했다....
생명윤리 2024.12.13 조회수 193
조력 사망이 전 세계로 확산된 방법과 법률의 비교
#기사 1 https://www.bbc.com/news/articles/c1dpwg1lq9yo #기사 2 https://www.bbc.com/news/uk-47158287 거의 10년 만에 처음으로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하원의원들은 말기 환자들에게 조력 사망(assisted death)을 선택할 권리를 부여하는 법안에 대해 투표할 예정이다. 조력 사망이 여전히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으로 남아 있지만, 현재 3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조력 사망을 합법화한 국가에서 살고 있다.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는 모두 2015년 이후로 조력 사망법(assisted dying laws)을 도입했으며, 이는 영국의 하원의원들이 이 문제에 대해 마지막으로 투표했던 시점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말기 환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조력 사망을 허용하고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제안된 법안은 지지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규칙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
생명윤리 2024.12.06 조회수 273
뉴럴링크의 뇌 칩, 캐나다로 향하다
#1) https://www.theregister.com/2024/11/21/neuralink_canada/ #2) https://clinicaltrials.gov/study/NCT06700304 #3) https://www.fastcompany.com/91029453/unpacking-the-ethical-issues-swirling-around-neuralink 일론 머스크의 뇌 칩 사업체인 뉴럴링크(Neuralink)가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CAN-PRIME 연구 참여자 모집 승인을 받았다. 뉴럴링크는 수개월 동안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 환자를 모집해 왔으며, 자사 웹사이트에 등록 링크를 제공하고 있다. CAN-PRIME 연구는 신경 기술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무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시험으로, 개인의 신경 활동을 해석해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장치는 뉴럴링크 로봇에 의해 삽입된 1,000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한 실(thread)로 구성되어 있다. CAN-PRIME 연구는 뉴럴링크의 N1 임플란트와 R1 로봇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팔과 다...
인간대상연구 2024.11.29 조회수 384
미국 보조생식술 시장, 혁신적인 치료와 새로운 트렌드로 미래를 변화시키다
#1 기사: https://www.whatech.com/og/markets-research/medical/902653-us-assisted-reproductive-technology-market-transforming-the-future-of-fertility-with-innovative-treatments-and-emerging-trends.html #2 참고자료: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49548 미국 보조생식술 시장은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7.8%로 성장하여, 2031년에는 시장 가치가 113억 달러(원화 약 15조 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은 난임이나 임신이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의학적 치료를 의미한다. 체외 수정(In vitro fertilization, IVF)에서부터 유전자 검사에 이르기까지, 보조생식술은 난임을 겪는 부부, 부모가 되기를 희망하는 개인, 그리고 가족 구성을 모색하는 LGBTQ+ 집단에 희망을 제공한다. 보조생식술 ...
보건의료 2024.11.22 조회수 246
COP16, 디지털 서열 정보(DSI)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 공유 메커니즘 승인
#1) 기사1: https://www.bezosearthfund.org/news-and-insights/digital-sequence-information-framework-secured-at-cop16 #2) 기사2: https://www.renewablematter.eu/en/COP16-DSI-mechanism-for-benefit-sharing-from-the-use-of-digital-sequence-information-approved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린 COP16*에서 디지털 서열 정보(Digital Sequence Information, 이하 “DSI”)**의 공정한 사용과 이익 공유에 대한 역사적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돌파구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노력을 크게 진전시키며, 보전 자금을 조달하고 중요한 생태계를 보호하는 국가, 원주민,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준다.1) *COP16은 “Conference of the Parties”의 약자로 생물다양성 협약(CBD)에 가입한 국가들이 모여 생물다양성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임. COP16은 이 회의의 16번째 세션으로, 2024년 콜...
생명윤리 2024.11.15 조회수 264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인간 유전체 편집을 허용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까?
#1) 기사: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3643-4 #2) 참고: https://theconversation.com/south-africa-amended-its-research-guidelines-to-allow-for-heritable-human-genome-editing-241136 #3) 참고: https://www.health.gov.za/wp-content/uploads/2024/05/NDoH-2024-Health-Research-Guidelines-3rdEdition-v0.1.pdf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이 최근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과 관련된 조항을 추가하여 보건 연구 윤리지침(health-research ethics guidelines)을 개정한 것에 대해 연구자들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기술이 정자, 난자 또는 배아의 유전자를 변형하여 다음 세대에 전달되도록 하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법임을 지적하며, 남아공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우려한다. 이번 연구 윤리지침 개정은 지난 5월에 이루어졌지만, 이 사실이 널리...
생명윤리 2024.11.15 조회수 273
주요 글로벌 생명윤리 지침이 ‘극적’으로 개정되었다.
#1) 기사: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key-global-bioethics-guidelines-get-dramatic-update #2) 참고: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2825292 의학 연구에 대한 국제 윤리 원칙을 설명하는 기본 문서인 '헬싱키 선언'이 1964년 채택된 이래 가장 광범위한 개정 중 하나를 거쳤다. 이 문서는 처음으로 건강한 지원자(healthy volunteers)를 보호하고 의학과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을 고려하기 위한 의학 연구를 촉구하고 있다. 또한 의사뿐만 아니라 의학에 관련된 모든 연구자의 규정 준수를 요구한다. 10월 19일 JAMA(미국의사협회저널)에 발표된 이 개정안은 선언문에 대한 10번째 개정이다. 세계의사회(WMA) 워킹 그룹의 의장인 잭 레스넥(Jack Resneck)은 개정안에 대해 “가장 극적인 선언”이라고 말하지만, 일부에서는 보다 전면적인 변화를 기대했다. 2024...
생명윤리 2024.11.08 조회수 340
유전자 예측이란 무엇이며, 실제로 배아를 ‘IQ를 위해 선별’ 할 수 있을까?
1) 기사 1: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4/oct/18/what-is-genomic-prediction-and-can-embryos-really-be-screened-for-iq 2) 기사 2: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4/oct/18/us-startup-charging-couples-to-screen-embryos-for-iq 지능이 부분적으로 유전된다는 점과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에는 과학계에서 널리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특성에 특정 유전자가 얼마나 기여하는지 정확히 규명하는 것은 훨씬 더 까다로운 과학적 과제이며, 배아 선별을 통해 의미 있는 IQ “향상(gains)”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과학적 논쟁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스타트업 헬리오스펙트(Heliospect)는 부모가 체외 수정(In vitro fertilization, 이하 “IVF”)을 통해 여러 개의 배아를 얻었을 때, 키나 IQ...
생명윤리 2024.10.30 조회수 271
정자 및 난자 기증자에게 지급되는 금액이, 기증자 ‘부족 현상’ 속에서 13년 만에 처음으로 인상...
#기사 1: https://www.msn.com/en-gb/health/familyhealth/money-paid-to-sperm-and-egg-donors-increases-for-first-time-in-13-years-amid-shortage/ar-AA1rvCsx?apiversion=v2&noservercache=1&domshim=1&renderwebcomponents=1&wcseo=1&batchservertelemetry=1&noservertelemetry=1 #기사 2: https://www.bbc.com/news/articles/cm24vd6ldypo #참고: https://civio.es/medicamentalia/2022/03/07/egg-sperm-donors-financial-compensation-europe/ 잉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에서 정자 및 난자 기증자에게 지급되는 금액이 13년 만에 처음으로 인상되었다. 영국 생식 규제 기관인 인간생식배아관리국(Human Fertilisation & Embryology Authority, 이하 “HFEA”)에 따르면 영국에서 태어나는 아이들, 170명당 1명 가량이 정자 또는 난자 기증을 통해 태어났다. HFEA는 BBC와...
생명윤리 2024.10.25 조회수 520
웨스트버지니아는 투표용지에 의사조력사망 금지에 관한 헌법 개정안을 포함했다.
#1) 기사 : https://wvmetronews.com/2024/10/06/west-virginia-ballots-will-include-a-constitutional-question-on-prohibiting-physician-assisted-death/ #2) 참고자료 1 : https://ballotpedia.org/West_Virginia_Amendment_1,_Prohibit_%22Medically-Assisted_Suicide,_Euthanasia,_and_Mercy_Killing%22_Measure_(2024) #3) 참고자료 2 : https://www.cardus.ca/research/health/reports/from-exceptional-to-routine/ 다가오는 총선에서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민들은 주 헌법을 명시적으로 수정하여 의사조력사망(physician-assisted deaths)을 금지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된다. 개정안은 주 헌법에 "웨스트버지니아 주에서는 어떤 개인, 의사 또는 의료 제공자도 의학적 조력자살(medically assisted suicide), 안락사(euthanasia) 또는 자비로운 살인(mercy killing)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
생명윤리 2024.10.18 조회수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