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주최 「제7회 국가생명윤리포럼」자료집(2022.12.16)

안녕하십니까국가생명윤리정책원입니다.

   

다음과 같이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주최 " 7회 국가생명윤리포럼 "이 개최됩니다.

  

 

 일시: 2022 년  12월 16일 () 14:00 (서울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

 *  포럼 관련 문의이소현 주임연구원(02-737-9448, leesohyun@nibp.kr)

 **​ 행사 당일 주차가 불가하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와 같이 온라인 참여도 가능하오니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온라인 참여방법>

 

 

  포럼에 ZOOM을 통해 참여하시고자 하는 경우:

1) 초청장의 ZOOM QR  코드 스캔하여 참여

2) 아래 링크로 바로 참여

 https://us02web.zoom.us/j/82326221107

3) 웨비나  ID를 직접 입력하여 참여 : 823-2622-1107

 

 포럼에 유튜브를 통해 참여하시고자 하는 경우

1) 초청장의 유튜브 QR코드 스캔하여 참여

2) 아래 링크로 바로 참여

  https://www.youtube.com/watch?v=kxHlXNFzJAA

3)  유튜브에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채널 검색하여 참여

 

 

아래 첨부파일에서 자료집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제7회 국가생명윤리포럼

공중보건 위기,
부족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과제
- 코로나 19 팬데믹을 겪으며 알게 된 것들 -

| 일시 2022년 12월 16일(금) 14:00~17:00
| 장소 서울 글로벌센터 9층 국제회의장
온라인 동시진행

zoom

YouTube

웨비나 ID: 823-2622-1107
모시는 글
안녕하십니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 김봉옥입니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우리사회에 유래 없는 공중보건 위기를 경험하게 했습니다. 이제 서서히 일상 회복을
기대하고는 있지만, 제2 또는 제3의 위기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해 급증하는 감염환자에 대한 치료와 격리의 어려움, 오랜 기간 소진되는 의료 인력과
자원의 한계와 부족한 의료자원의 우선순위 등은 지금까지는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문제들이었고, 이로
인해 우리의 의료제도의 문제점과 한계 등이 드러나고 새로운 변화와 도전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기도 했습니다.
이에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제7회 국가생명윤리포럼을 통해 지난 3년의 경험을 되돌아보고 성찰하며,
3년의 경험이 남긴 과제를 점검하고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2.12.2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 김봉옥

프로그램
시 간

내용

발표

14:00~14:05

개회사

김봉옥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

14:05~14:10

환영사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발제 1 거버넌스

14:10~14:40
공공의료기관에서 보건의료자원 관리의 현실과 과제

임 준(국립중앙의료원

- 공공의료자원의 확충과 분배를 위한 거버넌스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장)

발제 2 집중치료

14:40~15:10
중환자실에서 겪는 의료자원 분배의 현실

문재영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의료인의 사회적 책무와 한계를 중심으로

중환자의학과 교수)

발제 3 의료전달체계

15:10~15:40
공중보건 위기에 필요한 의료전달체계 개편 방향

정형준 (보건의료단체연합

- 공공보건정책의 문제와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정책위원장)

15:40~15:50

Break Time

패널토의
박형욱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강희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장)

좌장

15:50~16:40
김계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이윤성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박대진 (데일리메디 편집장)

원장)

조은영 (한국YWCA 연합회 부회장)
박 향(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16:40~17:00

종합 토론

17:00

폐 회
※ 참석을 원하는 분들은 상단의 QR코드(zoom&유튜브) 또는 회의 ID를 통해 사전등록 없이 당일 참석해주십시오.
※ 문의 Tel. 02.737.9448/8452 E-mail. leesohyun@nibp.kr/joh0417@nib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