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제68회 콜로키움] 헬싱키선언 2024년 개정과 생명윤리 관점의 발전 (4/22(화), 15시)

제68회 콜로키움 웹초대장 001.png

 

 

(국가생명윤리정책원 CI 이미지)

 

제68회 콜로키움

 

헬싱키 선언: 2024년 개정과 생명윤리 관점의 발전

 

<참여일정>

연자: 김옥주 교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일시: 2025년 4월 22일(화) 오후 3시

참여 방법: ZOOM 온라인 참여(QR 코드 스캔)

(QR코드로 온라인 참여하기 / QR코드 이미지)

회의 ID: 821 3098 8454

암호: 250422

 * 참석을 원하는 분들은 QR코드 및 회의 ID를 통해 사전등록 없이 당일 참석해주십시오.  

 

<모시는 글>

헬싱키선언은 1964년에 제정된 이후, 연구 참여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국제적 기준으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총 8차례의 개정을 거쳐 의학 연구의 발전에 따라 변화하며 연구 윤리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최근 2024년 헬싱키에서 열린 제75차 세계의사회 총회에서 이루어진 제8차 개정 역시 연구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 제8차 개정에서는 의학 연구에 대한 윤리 원칙의 준수가 의사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동일한 원칙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명확히 강조되었습니다. 연구 대상자는 더 이상 단순한 ‘대상(subject)’이 아닌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주체인 연구 ‘참여자(participant)’로서 권리를 더욱 강화하고, 참여자의 취약성에 대한 판단 기준과 원칙을 통해 연구의 공정성과 포괄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식별 가능한 데이터 및 검체의 수집과 이용 등에서 타이베이 선언을 준수한 윤리적 관리가 요구되며, 임상시험 후 지원에 대한 사전 정보 제공 및 동의 과정 등에서 윤리위원회의 역할이 강조되었습니다. 임상에서 입증되지 않은 시술도 시행될 수 있으나, 그 후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 설계와 관련 전문가의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도 명시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윤리 기준의 개정은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이에 제68회 콜로키움에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김옥주 교수님을 모시고 2024년 개정의 의의와 주요 내용을 살펴보며, 현재 우리가 직면한 윤리적 고려사항과 그 의미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프로그램>

 

시간

내용

진행

15:00~15:10 (10분)

안내 및 연자소개

정은주 팀장

(정책기획실 국가위원회정책개발팀)

15:10~16:00 (50분)

주제 발표

김옥주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16:00~16:30 (30분)

토론 및 질의응답

백수진 실장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정책기획실)

 

<제68회 콜로키움 퀴즈>

(Q) 1964년 세계의사회(WMA)가 발표한 헬싱키선언은 무엇을 다루는 윤리 지침일까요?

A) 환자의 진료 권리

B) 임상 연구에 대한 윤리 원칙

C) 병원 감염 예방 지침

D) 의료인의 직무 수행 기준

 

■ 콜로키움 주제와 관련하여 사전 질의 및 퀴즈 정답을 받고 있습니다. 

참여를 원하는 분들은 국가위원회 정책개발팀 이메일(policy-research@nibp.kr)로 보내주세요.

 

■ 개인정보 수집, 이용 및 제3자 제공에 동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3가지 미션(1. 퀴즈  2. 사전질의  3. 만족도조사) 참여율을 종합하여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 3가지 미션을 모두 완수할수록 선정 확률 UP!

→ 미션 별 동일 정보(이메일, 전화번호 뒷자리 등) 참여 필요

 

■ 콜로키움 참여 후 만족도 조사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QR 코드

 2) 참여 링크(정책원 홈페이지-참여-KooNIBP설문)

https://www.nibp.kr/xe/konibp_survey?mid=konibp_survey&mode=apply&step=apply_survey&seq=220

 

■ 지난 콜로키움은 유튜브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채널을 통해 다시 볼 수 있습니다. 

■ 문의: 정책기획실 국가위원회정책개발팀

(Tel. 02-737.9448 / E-mail. policy-research@nibp.kr

(QR코드로 만족도 조사 참여하기/QR코드 이미지)

 

 

 

첨부파일
이미지 제68회 콜로키움 웹초대장 001.png (972.4KB / 다운로드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