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2 건
총 3,202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4일]
□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사업 급물살 〇 보건복지부는 ‘연구중심병원 육성사업(R&D)’이 KDI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음. 예비타당성 조사는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대규모 사업(총 사업비 300억원 이상)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기 위해 기획재정부가 미리 사업의 기술적ㆍ정책적ㆍ경제적 타당성을 조사해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임. 복지부에 따르면 이번 분석 대상은 총 사업비 1조2220억원(정부 9425억원, 민간 2795억원) 중 약 50%에 해당하는 10년간 6240억원(정부 4712억5000만원, 민간 1527억5000만원)의 1차 지원 사업임.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86684 □ 올해 임상시험 전문가 295명 배출…합격률 70% 〇 국가임상시험사업단 임상시험전문인력 인증제 합격 결과에 따르면 임상연구자, 임상연구코디네이터, 임상시험모니터요원, 임상연구약사 등 4...
2013.10.04 조회수 21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3일]
□ 골수기증등록자 56% 실제 기증안해 〇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현숙 새누리당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골수이식대기자는 최근 5년(2009년~올해 6월 현재)간 1만 3710명이었으나, 이식시행은 2173건(15.8%)이었음. 같은 기간 골수기증의사를 밝힌 사람 중 일치자가 나타난 1만 6699명 가운데 실제 기증의사를 물은 결과 절반이상인 9501명(56%)은 거부나 중단의사를 밝혔음. 골수기증거부 사유를 살펴보면 최근 5년간 5256건 중 본인거부가 3469건으로 66%를 차지했으며 가족반대가 1749건(33%)이었음. http://news1.kr/articles/1305570 □ 식약처 의료기기 허위·과대 광고 209건 적발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 들어 7월 말까지 신문과 인터넷에 실린 의료기기 광고 209건을 허위·과대 광고로 적발했다고 밝혔음. 의료기기의 경우 식약처에서 허가 받지 않은 효능·효과가 있다고 속이거나 허...
2013.10.04 조회수 22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2일]
□ 감염환자 인체조직, 다른 사람 이식 〇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 의원은 최근 3년간(2010~2012년) 인체조직을 기증한 뇌사자 및 사망자 620명의 질병내역을 확인한 결과 총 21명이 치매, B형간염, C형간염, 만성 바이러스 간염 등 이식이 금지된 질환을 가졌던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들로부터 총 377개(명분)의 인체조직이 채취된 것으로 드러났음.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이들 질환의 병력이 있는 조직은 분배·이식이 금지됐지만 식약처와 인체조직은행의 관리 부재로 인해 이식 금지대상 질환 병력이 있는 21명으로부터 기증받은 인체조직 377개 중 51개는 이미 환자에게 이식된 것으로 나타났음. http://www.hkbs.co.kr/hkbs/news.php?mid=1&treec=134&r=view&uid=272802 □ 혈액세포 단계적 생성과정 밝혀져 〇 일본 도쿄대 의과학연구소 나카우치 히로미츠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
2013.10.04 조회수 174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30일]
□ 인체조직 공적 관리 체계 강화 추진 〇 보건복지부는 인체조직의 기증 활성화와 기증된 조직이 공정하고 안전하게 이식될 수 있도록 인체조직 관리체계 개편을 추진 중에 있음. 주요내용으로는 기증자 등록제도․관리시스템 도입, 국립조직기증관리기관 신설(보건복지부 소속 국립장기이식기관 확대 설치) 및 인체조직기증지원기관 신설(기증 활성화 관련 비영리 민간단체 또는 병원 중에서 지정) 등이 있음. 기증부터 이식까지 통합 관리를 위한 공적 기관 및 제도 마련으로 기증 활성화와 안전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14695 □ 식약처, 세계 7대 바이오의약품 도약 위한 육성책 마련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7년 세계 7대 바이오의약품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음. 이번 방안은 바이오시...
2013.10.04 조회수 205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9일]
□ 복지부, 이식의료기관 시설·장비·인력 기준 정비 〇 보건복지부는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를 통해 이식의료기관 시설·장비·인력 기준을 정비한다고 밝혔음. 복지부에 따르면 장기이식 필수 검사에 핵의학과 시설·장비·인력이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안구만을 이식하는 기관에서 진단검사의학과 및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를 반드시 해당기관 소속으로 두는 것은 이식의료기관 운영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의료 환경에 맞게 이식의료기관 지정요건을 정비해 이식의료기관 운영과 관리의 합리성 제고를 기대한다고 설명했음. http://www.mdtoday.co.kr/mdtoday/?no=228886 □ 오스트리아 연구진, 배아줄기세포로 미니 두뇌 만들어 〇 오스트리아 연구진이 배아줄기세포로 미니 인간 뇌를 만드는 데 성공했음. 뇌의 초기 발달단계를 재현한 것으로 실험실에서 배양시킨...
2013.10.04 조회수 189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8일]
□ "복지부, 제주 영리병원 승인 거부해야" 〇 의료민영화저지와 무상의료실현을 위한 운동본부(무상의료본부)는 보건복지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보건복지부는 의료비 폭등을 유발하는 제주 영리병원 승인을 거부해야한다"고 주장했음. 지난 2월 보건복지부에 중국 의료기업 CSC그룹의 싼얼병원 사업계획 승인 요청하고 지난달 27일 줄기세포 시술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변경사업계획서를 제출한 바 있음.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지난 22일 허술한 외국인 의료인력관리 방안 등의 문제점을 지적 싼얼병원 설립 승인을 잠정 보류했음. http://news1.kr/articles/1297078 □ 중국 6살 소년 납치해 안구적출 "불법장기매매상 소행 추측" 〇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들은 지난 24일 산시성 린펀시의 한 교외 들판에서 A군(6)이 마취약에 취해 피투성이로 발견됐다고 전했음. A군은 이날 집 밖에서 놀다가 실종됐는데 부모들...
2013.10.04 조회수 19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7일]
□ 신의진 의원 "적십자사, 감염병 발생 알고도 단체 헌혈 받아" 〇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은 지난 2010년부터 2013년 7월말까지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이 전염성이 강하고 수혈감염 우려가 있는 폐결핵,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A형간염, 수두, 말라리아가 발생한 학교에서 총 20차례에 걸쳐 단체헌혈을 받고 감염된 혈액 중 일부를 유통까지 시켰다고 밝혔음. 연도별로 12년 5건, 11년 2건, 10년 8건으로 매년 같은 문제가 반복되는 실정임.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벌써 볼거리 2건, 폐결핵 2건, 수두 1건 등 총 5건의 법정 감염병 발생학교 단체헌혈이 있었음.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8721 □ 국가 비상 상황시 '신속한' 의약품 생산·수입 가능해진다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입법예고하고 10월28일까지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음. 이번 개정안에 따르면 위탁제조판매업 신...
2013.10.04 조회수 199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6일]
□ 장기이식센터 3곳중 2곳, 신장이식 대기자 관리 미흡 〇 서울대학교병원은 전국 35개 장기이식센터를 조사한 결과, 신장이식 대기자를 정기적으로 추적관찰하고 있는 곳은 35%에 불과했다고 밝혔음. 암ㆍ심장병 같은 합병증과 관련된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각각 63%, 17%에 그쳤음. 신장이식 대기자는 심장질환이나 감염, 암 등의 발생 위험이 일반인 보다 높으며, 최근에는 대기자 가운데 당뇨병 환자와 고령자가 늘고 있어 여러 합병증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음.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82615193770706 □ 제대혈은행 부적합 판정 시 허가취소 등 행정제재 〇 복지부는 '제대혈관리업무 심사평가 규정'(안)을 제정하여 행정예고했음. 제정안은 법률개정으로 새로 도입된 제대혈은행 평가제의 심사, 평가 등의 세부기준을 규정하기 위해 마련됐음. ...
2013.10.04 조회수 187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3일]
■ 대리모 이용 자식 얻는 美 독신남성 증가…난자 제공자와 대리모에 10여만 달러 들어; 메디포스트, 줄기세포 치매 치료 관련 국제 특허 잇따라 취득; 국립암센터 ‘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완화의료’ 강좌 개최 □ 대리모 이용 자식 얻는 美 독신남성 증가…난자 제공자와 대리모에 10여만 달러 들어 〇 독신으로 살다 나이가 너무 많아진 노총각들은 일부 입양에 성공하는 사람도 있지만 자신의 진짜 혈육을 원하는 사람들은 10만 달러 이상을 써가면서 대리모를 통해 친자식을 얻고 있음. 정확한 통계 수치는 없지만,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그로잉 제너레이션'이라는 대표적인 영리목적 대리모 소개회사는 미혼 남성들의 신청이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으며 지난해에만도 25명에 달했다고 말함.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823_0012306481&cID=10104&pID=10100 □ 메디포스트, 줄기세포 ...
2013.10.04 조회수 231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2일]
□ 복지부 "제주도 내 중국계 국제병원 설립 잠정 보류" 〇 보건복지부는 제주도가 승인을 요청한 '싼얼병원'의 사업계획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검토하기 위해 승인을 잠정 보류했다고 밝혔음. 복지부 관계자는 "제주국제병원에서 진료 받는 해외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진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면서 "이를 위해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실효적인 보완책을 마련한 후 승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음. 국내 첫 사례가 될 투자개방형 외국의료기관인 만큼 향후 정책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보다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설명임.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82211521401757 □ 중국에 변종 AI 바이러스…사람 감염 늘어날 우려 〇 최근 역학조사에서 비슷한 계열의 H7N7 바이러스 발견됐음. 올해 H7N9 조류인플루엔자(AI)로 40명 이상 숨...
2013.10.04 조회수 260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1일]
□ 중국 장기이식 전산관리..사형수 장기 의존 탈피 〇 중국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는 9월1일부터 장기이식이 필요한 환자와 해당 장기를 전산으로 연결해 주는 시스템을 시행하기로 했음. 새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망을 통해 장기이식 수술이 허가된 중국 내 165개 병원에 필요한 장기를 배분하는 식으로 운영됨. 최소한 2년 이상의 임상경험을 가진 의사와 간호사가 전문자격증을 따야 장기기증 코디네이터가 될 수 있으며, 새 시스템이 아닌 다른 곳에서 확보한 장기를 이용해 시술하는 의사는 자격이 박탈됨. 중국 의료계는 새 제도도입으로 장기 취득과 분배체계가 투명해지면서 자발적 장기기증자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음. http://media.daum.net/foreign/newsview?newsid=20130821140308791 □ 복용 중단 '타시그나' 대규모 임상 시작 〇 한국노바티스가 차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약 ‘타시그나’에 대한 투약 중단 ...
2013.10.04 조회수 213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0일]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0일] □ 중국서 불법 '신장 이식 공장' 적발 〇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불법 신장이식 조직이 적발됐다고 후베이성에서 발행되는 추톈(楚天)도시보가 보도했음. 후베이성 공안은 지난 17일 우한시 교외의 한 별장을 급습, 불법 신장이식 수술 연루자 10여명을 붙잡았음. 쉬씨는 60만 위안(약 1억1천만원)을 들여 교외 별장에 간이 수술실을 만들어 놓고 의사와 간호사를 고용, 불법 이식 수술을 중개해온 것으로 밝혀졌음. http://news.hankooki.com/lpage/world/201308/h2013082010573922510.htm □ 복지부, 안전성·유효성 있는 ‘신의료기술’ 고시 〇 보건복지부는 13일 제7차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의 최종심의 결과, 안전성·유효성이 있는 의료기술로 인정된 신의료기술에 대해 평가결과, 사용목적, 사용대상 및 시술방법 등을 고시했음. 이번 고시에서는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안전성...
2013.10.04 조회수 197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9일]
□ 줄기세포치료 부작용 '종양' 제거기술 찾았다 〇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연구진이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 치료 시에 생성, 종양으로 발전될 수 있는 미분화 만능줄기세포를 제거함으로써 치료 부작용을 극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음. 질병 치료에 필요한 분화세포는 살리는 반면 기형종 즉, 종양을 형성할 수 있는 잔류 미분화 만능줄기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화합물을 찾아낸 것. 이번 연구는 향후 줄기세포치료 실용화에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됨.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435093 □ 독일의 골수기증 부럽다, 부러워 〇 독일의 골수기증등록자 수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음. 혈액 관련 난치병 환자에게 골수이식이 필요하다는 판정이 나면, 의사들은 골수기증등록자들의 혈액정보가 ...
2013.10.04 조회수 311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6일]
□ "30가지 암, 21개 유전자 변이 때문에 발생" 〇 영국 일간 가디언은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거연구소가 주축이 된 국제 연구진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30가지 암의 97%가 21개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보도했음. 연구진이 뇌·폐·췌장암 등 각종 암 환자 7042명의 유전자를 5년간 분석한 끝에 나온 결과임. 연구 결과는 국제 과학 전문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됐음. 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3/08/16/11950277.html?cloc=olink|article|default □ 정부 차원 ‘뇌조직 은행’ 세운다… 치매·파킨슨병 연구에 기증받은 뇌 지원 〇 미래창조과학부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부설 한국뇌연구원에 뇌의 전체나 일부, 척수 등을 적출해 보관하는 뇌조직은행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음. 뇌연구원은 최근 신경과학, 의학 등 관련 전문가로 이뤄진 자문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구성...
2013.10.04 조회수 241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4일]
□ 정자기증자의 양육권논쟁 한가운데에 선 美배우 〇 대리모 출산, 정자 기증 출산 등이 윤리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가운데 미국 배우 제이슨 패트릭이 정자기증자의 친권과 양육권 논쟁의 한가운데에 섰음. 그는 16년간 알고지낸 여자친구와의 사이에서 인공수정을 통해 2009년 아들을 낳았고, 둘은 결혼하지는 않았음. 그러나 그녀는 그를 단순한 '정자 기증자'로 규정하면서 거스에 대한 친권, 양육권을 부정하고 나선 것. 그는 정자기증자의 권리를 주장하고 나섰음. 캘리포니아주 상원의원 제리 힐이 관련 법안을 만들어 입법화하려고 있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6427655 □ 인간줄기세포로 쥐 심장 만들어 〇 미국 피츠버그대학 의과대학 발달생물학교수 레이 양 박사는 인간의 피부세포로 만든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심장조직을 구성하는...
2013.10.04 조회수 248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3일]
□ 식품안전처, 의료기기도 수사권 확보 〇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기존의 식품·의약품은 물론이고 화장품·의료기기에 대해서도 수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예정임. 식약처는 특별사법경찰 부서인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의 집무 범위를 화장품, 의료기기로 넓히는 내용을 담은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하 특사경법)`을 법제처 심사 후 국무회의에 올릴 예정이라고 밝혔음. http://www.etnews.com/news/telecom/telecom/2813214_1435.html □ 법정감염병 환자 혈액 수혈용으로 공급 충격 〇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 연구자들의 연구모형과 이 대학 병원 환자의 진료정보를 서울대학교 치과대와 분당서울대병원 연구자들이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강릉원주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문제제기한 데 대해,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문제없음' 결론을 내렸음. 그러나 강릉원주대 쪽은 “제...
2013.10.04 조회수 271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2일]
□ 정부 “올해 줄기세포분야 1004억 투입” 〇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지난 6월 발간한 2013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통해 정부 부처별 투자 비중을 발표했음. 이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투자비중이 448억원(44.7%)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미래창조과학부 422억(42.1%), 농림축산식품부 55억(5.5%), 산업통상자원부 32억(3.2%), 교육부 23억(2.3%), 식품의약품안전처 23억(2.2%) 순으로 나타났음. http://www.mdtoday.co.kr/mdtoday/?no=228160 □ 서울대 "연구윤리 문제없음"…강릉원주대 "조사절차 인정 못해" 〇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 연구자들의 연구모형과 이 대학 병원 환자의 진료정보를 서울대학교 치과대와 분당서울대병원 연구자들이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강릉원주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문제제기한 데 대해,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문제없음' 결론을 내렸음. 그러나 강릉원주...
2013.10.04 조회수 237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9일]
□ 中 의료계, '신생아 매매' 등 불량의사 '블랙리스트' 만든다 〇 중국 경화시보는 중국의사협회가 국가위생 및 계획생육위원회의 위임을 받아 현재 200여만 명에 이르는 의사들에 대해 의료수준, 의료윤리이행 등에 대한 점검 중이며, 이를 통과하지 못한 의사를 공시키로 했다고 전했음. 최근 의사의 신생아 매매와 다국적 제약회사와 의사간의 '뇌물 게이트' 등이 드러나면서 의료계에 대한 사회적 불신이 커진데 따른 것임.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81114072521815 □ 유효성 논란 락테올, 제네릭까지 재평가하는 이유는? 〇 동화약품은 락테올 허가 당시 제출된 균주(틴달화락토바실루스아시도필루스)와 현재 실제 제품 생산에 쓰이는 균주(퍼멘텀 균주와 델브뤼키 균주 혼합물)가 다름에도 이를 신고하지 않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6개월 제조업무정지 등의 처분을 받았음. 식약처는 락테...
2013.10.04 조회수 371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8일]
□ '불멸의 세포' 헬라세포 가족 동의 받고 연구하기로 〇 미국 국립보건원은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첫 인간 세포주인 헬라세포를 남긴 헨리에타 랙스의 가족들이 헬라세포 유전자 데이터 활용을 허용했다고 밝혔음. 접근이 제한된 국립보건원 데이터베이스에 유전자 정보를 저장하고 연구를 원하는 학자는 가족 대표 2명이 포함된 패널의 사전 승인을 받는 조건임. 헬라세포는 31살에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넉 달 만에 숨진 흑인 여성 헬리에타 랙스의 이름에서 유래됐음.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923894 □ 장기 매매 빌미 신종 보이스피싱 등장 〇 서울 서초경찰서는 장기 매매 사전 검사비를 명목으로 수 백만원을 받아 챙긴 보이스피싱 일당을 쫓고 있다고 밝혔음.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장기매매를 암시하는 문자 메시지와 전단지를 배포하고 이를 보고 연락해온 피해...
2013.10.04 조회수 237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7일]
□ 동산의료원 조원현 교수 ‘이식인경기연맹’ 집행위원 〇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조원현 교수가 ‘세계 이식인 경기연맹’ 총회에서 전 세계 12명의 위원 중 한명으로 선출됐음. 조 교수는 2017년까지 집행위원과 의무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장기기증과 이식문화의 위상을 알리게 됨. 조원현 교수는 “세계이식인경기연맹대회는 장기이식을 받은 수혜자들의 건강한 삶을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대회인 만큼 장기기증자들의 숭고한 사랑과 희생에 대해 감사한 마음으로 앞으로 새 생명 찾기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알리며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8071249512&code=900303 □ 차병원그룹, 미국 내 '차움' 설립 〇 차병원그룹은 미국 10대 대학·병원 그룹으로 유명한 웨이크 포레스트 그룹과 미국 내 차움 설립과 이노베이션센터 설립에 대한 ...
2013.10.04 조회수 2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