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2 건
총 3,202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3일]
□ 중국, 연내 모든 장기 취득·분배 체계화 〇 중국 위생계획생육위원회는 올해 안으로 장기밀매를 없애고 모든 장기는 제공자 신원을 알 수 있도록 장기 기증 및 분배를 체계화하겠다고 밝혔음. 이 시스템이 마련되면 이 시스템 밖에서 이뤄지는 모든 장기 취득과 이식은 엄격히 금지하겠다고 덧붙였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255445 □ 미혼모 '홀로서기'에는 인색 〇 정부와 지자체는 저출산 위기를 강조하며 공공보육 정책을 앞다퉈 쏟아내면서도 미혼모들을 위한 지원에는 여전히 인색해, 사실상 자녀양육의 권리를 박탈하고 입양·낙태를 부추기는 게 아니냐는 지적임.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492127 □ "의료기기외 비품 받은 의사 면허정지 적법“ 〇 서울행정법원은 직무와 무관하게 부당한 금품 수수를 한 적이 없다는 ...
2013.05.13 조회수 228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0일]
□ 녹십자, 항암유전자치료제 美희귀의약품 지정 〇 녹십자는 미국 제네렉스사와 공동개발중인 항암 유전자치료제 'JX-594'가 미국 FDA로부터 간세포암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음. 'JX-594'의 희귀의약품 지정은 유럽의약품청(EMA)의 지정 이후 두 번째임. 희귀의약품은 적용 대상이 드물고 적절한 대체 의약품이 없어 신속한 허가와 공급 절차가 요구되는 의약품을 말함. http://news1.kr/articles/1128585 □ 식약처, 소아의약품 임상시험 평가 가이드라인 제공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아·신생아·미숙아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평가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고 밝혔음. 이번 가이드라인은 소아용 의약품을 별도로 개발하는 경우가 드문 국내 제약업계의 소아용 의약품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함임. 주요 내용은 소아용의약품 개발 시 고려사항, 적절한 임상연구시점 및 연령분류, 연구 시 고려사항,...
2013.05.10 조회수 298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9일]
□ 식약처, '의약품심사자문단' 확대 운영 〇 식약처는 의약품 허가심사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의약품심사자문단’을 확대 운영하며, 확대되는 분야와 인원은 피부과, 안과, 산부인과, 치과, 독성 및 약리시험 총 6개 분야 21명으로 ‘의약품심사자문단’은 총 20개 분야 102명으로 늘어나게 됨. 자문 내용은 ▲의약품심사 현안사항 ▲최근 심사지침 및 기법 ▲의약품 최신 기술 및 동향 등임.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163367 □ 장기기증 활성화, 의료인 인식부터 바뀌어야 〇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잠재적 뇌사자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하며, 이를 위해 의료인들에 대한 장기기증 교육 필요성과 장기기증 활성화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도입하는 방안 등 국가 중점 사업으로 돼야 한다는 의견을 주로 담고 있음.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
2013.05.10 조회수 277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8일]
□ HIV혈액 수혈자 329명 감염여부 '감감' 〇 보건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에 대한 종합감사를 벌인 결과, HIV 감염자가 과거에 헌혈한 혈액을 수혈한 사람들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인적사항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관련 기록물이 폐기돼 300여 건 넘게 감염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음.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3050801071127109002 □ 타이레놀 사건, GMP제도 개선 필요성 공감 〇 남윤인순 민주당 국회의원의 주최로 ‘타이레놀 시럽 리콜 사태로 본 GMP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있었음. 토론회에 참석한 연자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내 GMP운영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건당국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음.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162574&cp=em □ 유럽인 1000년전만 해도 '한...
2013.05.09 조회수 32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7일]
□ 한국, 생체간기증자, 절반이상이 자녀 〇 서울아산병원이 살아있는 사람의 장기를 이식하는 생체장기이식의 간 기증자를 분석한 결과, 총 3587명의 생체 간이식 기증자(기증자가 2명인 2대1 간이식 수술 기증자 734명 포함)에서 절반이 넘는 1903명의 기증자가 자녀로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 형제자매 412명, 배우자 224명 순으로 파악됐음.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774 □ 임상시험하며 부당 청구한 병원들, 경미한 처분 내려질 듯 〇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항암제 관련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진료비를 부당청구했다는 지적을 받은 일부병원들을 대상으로 최근 심평원이 전수조사를 진행 중이지만 이들에게 경미한 처분이 내려질 것으로 판단됨. 그 이유는 부당청구 비율이 낮으면 행정처분 대상에서 제외되고, 진료비 청구를 금지한 '연구목적'에 대해서도 명확한 규정이 정해져 있지 ...
2013.05.07 조회수 237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6일]
□ “환자 개개인에 맞춘 다양한 치료 환경 필요” 〇 지난 4월 16일 ‘중증질환 치료제의 환자 접근성 강화-실효성 있는 위험분담제도 도입 방안과 적용 기준 모색’을 주제로 열다섯 번째 고품격 건강사회만들기 토론회를 개최했음. 이번 토론회는 위험분담 계약제도 도입 방법과 대상, 적용기준 등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음.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7152830&cp=nv □ 장기 기증 저조...특별도 지원 조례 제정 무색 〇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제주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장기기증 희망 등록자는 6915명으로, 전체 인구(57만명) 대비 1.2%에 머물고 있음. 꺼져가는 생명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는 장기 기증희망등록자가 다른 지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해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요구되고 있음. http://www.jejunews.com/news/a...
2013.05.07 조회수 404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일]
□ '은서의 기적' 멈춰버리나 〇 ‘은서의 기적’은 지난해 12월 더 많은 장기를 합법적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은서법’이 마련되는 계기가 됐음. 하지만 시행 5개월이 다 되도록 합법적으로 다(多)장기 이식이 이뤄진 사례는 아직 한 건도 없으며, 이는 선진국에 비해 소아 뇌사자의 장기 기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이해됨.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3/05/03/11013491.html?cloc=olink|article|default □ 매출 1조, 한 곳도 없어 … 신약 개발 엄두 못 내 〇 일본 다이이찌산쿄 R&D 부서 총괄책임자 아카하네 고우이치 박사는 한국은세계 30대 임상시험 시설 가운데 세 곳이나 보유하고 있지만, 그는 “200여 개에 달하는 한국 내 제약회사 중 매출 1조원을 넘기는 곳이 한 곳도 없다 보니 자체 신약 개발을 위한 대규모 임상시험은 한 건도 하기 힘든 구조”라고 말했음. http:...
2013.05.03 조회수 33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일]
□ 줄기세포 이용한 인공기도 이식…2살 ‘하나의 미소’ 〇 미국 abc 뉴스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보고 사례가 50건에 불과한 선천성 기관 무형성증을 앓고 있는 해나가 미국 일리노이주 어린이병원에서 자신의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기도 이식 수술을 받았음. 인공기도 이식으로는 세계 최연소 기록임.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5/h2013050203344821950.htm □ 천연물 신약, 전세계 의약품 허가 기준 따라 임상시험만 3∼5년 〇 천연물 신약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이 요구하는 허가 기준에 맞춰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다른 신약들과 마찬가지로 엄격한 기준에 의해 개발됨. 식약처도 천연물 신약 성분프로파일 도입 등을 통해 품질 과학화와 표준화, 규격화 등을 유도해 약효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음.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
2013.05.02 조회수 277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30일]
□ 우루과이 낙태허용 국민 투표 시행 〇 우루과이 일간지 엘 파이스(El Pais)에 따르면 낙태 허용을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거의 7만명이 서명한 국민투표 요구 청원서를 선거법원에 제출했음. 선거법원은 낙태 허용법령에 대한 국민투표 요건이 충족됐다며 이르면 45일 안에 국민투표 절차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음.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801961 □ 대법 "실수로 안락사시킨 애완견에 위자료 줄 수 없다" 〇 대법원은 애완견 주인이 '동물사랑실천협회가 실수로 안락사 시킨 애완견 2마리에 대한 위자료를 지급하라'며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민법 등에는 동물의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규정이 없고 이를 인정하는 관습법도 존재하지 않아 동물 자체는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이라고 해도 위자료 청구권의 귀속주체가 될 수 없다"고 판결내림.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
2013.05.02 조회수 253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9일]
□ 민간단체 '장기 기증' 중개 불법 논란 〇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열린 장기 기증 활성화 협의회 회의에서 다수의 위원들이 민간단체나 병원이 장기 기증자와 장기이식 대기자(환자)를 연결시켜 주는 관행이 불법이라는 지적이 제기됐음.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4/h2013042920264421950.htm □ 덴마크, 에이즈 완치방법 임상시험 중 〇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병원 연구진은 에이즈 바이러스를 세포 표면으로 끌어내 영구적으로 파괴하는 방법을 개발했음. 개발한 치료법은 암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HDAC억제제를 이용해 환자의 감염된 면역세포 DNA로부터 HIV를 세포 밖으로 끌어내며, 시험관 실험에서 효과가 확인되어 현재 HIV 감염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 중임.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29113 □ 유전자 특허시대 올까..6월에 결판 〇 미국 대법원...
2013.04.30 조회수 369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6일]
■"환자 존엄사, 대리인에 의한 결정도 인정" 의견 접근; 미국NIH 개발 AIDS 백신, 후기 임상 실패; 식약처, 2012년 제네릭의약품 심사현황 자료 공개 □ "환자 존엄사, 대리인에 의한 결정도 인정" 의견 접근 〇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존엄사 제도화의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국가생명윤리위원회 특별위원회는 최근 4차 회의를 열고 대리제도의 도입을 인정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음. 회의에서 다수의 위원들이 원칙적으로 대리제도 도입에 찬성했고, 어떤 조건에서 누가 환자를 대리해 존엄사를 결정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까지 논의됐음.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4/h2013042603333221950.htm □ 미국NIH 개발 AIDS 백신, 후기 임상 실패 〇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던 AIDS백신이 HIV감염을 예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대규모 임상시험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짐. 개발중이던 AIDS백...
2013.04.26 조회수 289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5일]
□ 복지부 "병원 기부금 리베이트 여부 검찰에 의뢰" 〇 보건복지부는 고대안암병원과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일부 대형병원들이 제3자를 통한 병원기부금을 받은 것에 대해 쌍벌제 적용 여부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음.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2988 □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 등장 2년..시장 반응은? 〇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가 승인을 받은지 2년 가량 지났지만 아직까지 시장에 안착하지 못하고 있음. 고가의 치료 비용과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효능 및 안전성을 이유로 더딘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임.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21&newsid=02076246602779728&DCD=A00302&OutLnkChk=Y □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법' 나올까 〇 이달 23일 ‘동물보호법 개정을 위한 종합토론회’에서 개정안의 구체적인 내용이 ...
2013.04.26 조회수 357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4일]
□ 22개 질환 시험 중 성체줄기세포 치료제 3개는 판매허가 완료 〇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내 임상시험은 22개 질환 치료를 위해 10개 병원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21개 질환은 성체줄기(AS)세포를 이용, 나머지 한 질환은 배아줄기(ES)세포를 쓰고 있음. 국내에는 메디포스트의 무릎연골 결손 치료제 '카디스템' 등 3종류의 AS치료제가 시판 허가를 받은 상태임. http://news.hankooki.com/lpage/it_tech/201304/h20130425033350122310.htm □ 임상시험 피해 환자, 부작용 합의금 받고 소송에서도 승리 〇 서울고법은 임상시험 약을 복용한 이후 부작용이 발생했다며 의료기관으로부터 합의금을 받아낸 후 다 시 민사소송을 청구한 환자에 대해 일부 승소 판결했다고 밝혔음. 재판부는 "원고가 합의서를 작성할 당시 발기부전 증상이 호전될 것이라는 병원 측의 말을 믿고 합의했고 발기부전 증세가 지속될 것을 예상...
2013.04.25 조회수 365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3일]
□ 눈앞에 다가선 줄기세포 실용화 〇 줄기세포의 실용화가 점점 가시화되고 있음. 현재 성체줄기(AS)세포에서만 치료제가 개발됐지만 배아줄기(ES)세포와 유도만능줄기(iPS)세포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고, 예정돼 있기 때문임. 게다가 2015년에는 15개 이상의 줄기세포 치료제가 나올 것으로 기대돼 난치병 치료에 새로운 장이 열릴 전망임. http://news.hankooki.com/lpage/it_tech/201304/h20130424033258122310.htm □ 인간 배아줄기세포로 기억장애 쥐 치료 성공 〇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대 의과대학 신경과전문의 장쑤춘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쥐에 이식해 기억장애를 치료하는 실험이 성공했다고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했음.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423025019 □ “내 자식 맞나” 불법 친자확인 유전자 검사 판친다 〇 채널 A 프로그...
2013.04.24 조회수 296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2일]
□ 불임환자에 대한 정자 기증, 실비차원 보상돼야 〇 김정구 서울의대 산부인과 교수는 최근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보고서를 통해 불임환자에 대한 정자 기증자 확보가 어려운 현 상황에서 정자 제공자에게 최소한의 실비는 보장해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음. 또 예상치 않은 근친혼 등의 문제 예방을 위해 시술횟수 제한의 필요성도 강조했음.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cul&arcid=0007106764&cp=em □ '서프라이즈' 인체 조직 기증의 충격적인 진실 〇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 인체조직 이식으로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 사건을 다뤘음. BTS(인체조직 은행)를 설립한 전직 치과의사가 수요에 비해 시신 공급이 부족하자 묘안을 생각해 낸 것이 시신이었고, 30여명에 달하는 장례업자들과 거래하며 시신들을 몰래 빼돌린 그는 현재 시체절도와 문서위조 혐의로 징역 27년의 ...
2013.04.22 조회수 30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9일]
□ 법원 "임상시험 부작용…병원에 배상책임" 〇 서울고등법원은 임상시험의 부작용으로 발기부전 증상을 얻은 A씨가 병원 측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2천만 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음. 재판부는 병원 측이 임상시험 동의서를 받을 때, 신약의 부작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고, 발기부전 증상이 나아질 거라고 설명하면서 합의에 이른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음. http://www.ytn.co.kr/_ln/0103_201304191522342850 □ BT·NT·에너지 등 선택과 집중 통해 성장 동력 육성 〇 미래부의 비전 실현을 위한 두 번째 전략은 ‘국가 연구개발 및 혁신역량 강화’임. 이를 위해 과학기술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국가 R&D기초체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장 동력을 육성함. 출연연구소를 세계 일류 연구기관으로 육성하기 ...
2013.04.19 조회수 244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8일]
□ 법원, 황우석 줄기세포 '단성생식 여부' 판단 안할 듯 〇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황 박사가 질병관리본부를 상대로 낸 줄기세포주 등록반려처분 취소소송 항소심에서 원ㆍ피고 양측은 해당 줄기세포를 제3자에게 맡겨 단성생식 여부를 감정 받는 방식에 합의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음. http://news.nate.com/view/20130418n06744 □ 식약처,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 요건 등 정비 〇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의약품 등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에 관한 규정’ 전부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밝혔음. 이번 개정은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 업무 수행 중 나타난 일부 미비사항을 정비해 지정요건, 지정절차 등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됐음.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2630 □ 장기기증 활성화 나선 '도너사운드', 20일 홍대서 첫 콘서트 〇 한국장기기증네트워크와 한국노바티스는 20일 오후 6시...
2013.04.19 조회수 319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7일]
□ 세계의사회 "의권 수호" 긴급 결의 〇 세계의사회(WMA)가 의학적 의사결정을 불법화·유죄화 하고 있는 각국 정부의 의료행위 통제 움직임에 대해 '의권 수호'에 관한 긴급결의문을 통해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음.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272 □ 한국 공공의료비중 OECD 꼴찌 불구 '후퇴 지속' 〇 민주통합당 남윤인순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진영 장관을 상대로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의료 비중이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임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공공보건의료를 확충하기는커녕 지속적으로 뒷걸음질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함.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1&nid=162625 □ "아시아 최대 규모 동물실험기관 오픈 반대한다" 〇 동물보호단체 회원들은 서울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촌 세브란...
2013.04.17 조회수 23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6일]
□ 신의료기술 가이드라인 개발 첫 걸음 디뎌 〇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체외진단검사를 시작으로 유전자검사, 처치 및 시술까지 올해 내 신의료기술 가이드라인 만든다는 계획임. 보의연은 신의료기술평가 절차 및 세부 기준을 명확히하고 예측가능성과 일관성을 제고하고자 가이드라인 개발에 착수했음.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16309&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국립보건연구원, 임상연구정보 모바일웹 서비스 제공 〇 국립보건연구원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이하 CRIS)'에 대한 모바일웹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음. CRIS는 국내에서 수행되는 임상시험 등 임상연구의 정보를 등록, 검색하는 온라인 등록시스템으로서, 임상연구에 대한 정보 공개 및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 http://www.docdocdoc.co.kr/news/ne...
2013.04.16 조회수 222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5일]
□ 美 대법원, 인간 유전자 특허권 유효 여부 오늘 판결 〇 미국 연방 대법원이 인간의 세포에서 추출한 유전자에 대한 특허권을 특정 기관이 보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결함. 이번 판결의 쟁점은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 위치한 생명공학기업 '미리어드 제네틱스(Myriad Genetics·이하 미리어드)'가 특허권을 보유한 BRCA1, BRCA2 유전자가 자연의 산물인지 인간의 발명인지 여부에 달려있음. http://news1.kr/articles/1091135 □ 세계 최초로 자궁 이식수술을 받은 여성 임신도 성공 〇 세계 최초로 자궁 이식수술을 받은 여성이 임신 2주차에 접어들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보도했음. 자궁 없이 태어난 서트는 2011년 같은 병원에서 자궁 이식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18개월간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음. 연구팀은 서트의 난소에서 채취한 난자와 남편 무스타파의 정자로 시험관 수정을 시도했고, 수정란...
2013.04.16 조회수 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