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3 건
총 3,203 건
[7월 4일] "호스피스 제도, 인프라 부족에 국민 수요 충족 어렵다" 등
□ 낙태수술 병원 간 기록이 구글에? 신상정보 다 꿰는 빅테크 논란 구글이 1일(현지시간) "인공 임신중절 수술(낙태)을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우 그 내용을 이용자의 위치 기록에서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임신과 관련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한 '로 대(對) 웨이드' 판례를, 미국 연방대법원이 새로운 판결로 뒤집은 지 일주일 만이다. - 기사: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70310120005611?did=NA □ "호스피스 제도, 인프라 부족에 국민 수요 충족 어렵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는 2일 2022년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학술대회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황에 대한 진단과 발전방향 제시 △중환자실(ICU) 및 가정 등 특수상황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응급실에서 경험하는 연명의료결정 △임종기 환자에서 영양 및 수액공급 등이 주요 주제로 진행됐다. - 기사:...
2022.07.04 조회수 137
[7월 1일] '직접의뢰' 유전자검사, 인증제로 바뀐다…검사항목 확대될듯 등
□ '직접의뢰' 유전자검사, 인증제로 바뀐다…검사항목 확대될듯 소비자가 민간 유전자검사기관에 직접 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유전자 검사 항목이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은 1일 '소비자 직접 의뢰(DTC,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역량 인증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701036800530?input=1195m □ 플로리다법원도 낙태제한법 시행 저지…美 주법원서 제동 잇달아 플로리다 법원이 30일(현지시간) 낙태를 15주 이내로 제한한 주의 새 법이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한 플로리다 헌법에 위배된다며 제동을 걸었다. 연방대법원의 낙태권 폐지 이후 주(州) 법원 차원에서 낙태를 제한하는 주 차원의 입법을 저지하는 판결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와 CNN 등은 이날 레온 카운티 순회판사인 존 C. 쿠퍼...
2022.07.01 조회수 165
[6월 30일] 15~49세 여성 3.3% "낙태 경험"…위헌 판결 후 소폭 상승 등
□ 15~49세 여성 3.3% "낙태 경험"…위헌 판결후 소폭 상승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만 15~49세 여성 8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9년 4월 헌재가 낙태죄 처벌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처음 공개된 실태조사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30_0001926411&cID=10201&pID=10200 - 원문(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news/press/view?seq=47320 □ 면역 항암 걸림돌 'T세포 탈진', 유전자 '차단 스위치' 찾았다 미국 과학자들이 T세포 탈진을 제어하는 '유전자 스위치'를 찾아냈다. 연구팀은 T세포 탈진을 차단하는 방법도 알아냈다. 이 발견은 반응률이 높지 않은 면역 항암치료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증강하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 미국 글래드...
2022.06.30 조회수 153
[6월 29일] 미 낙태권 제한 후폭풍...루이지애나주 지방법원 '트리거 조항' 적용 한시적 중단 등
□ 미 낙태권 제한 후폭풍...루이지애나주 지방법원 '트리거 조항'* 적용 한시적 중단 미 연방대법원이 낙태권을 보장하는 근거가 되어온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으면서 낙태권 존폐는 각 주 정부와 의회가 판단하게 됐다. 보수 성향의 루이지애나주를 포함 13개 주가 대법원 판결 직후 낙태가 불법이라고 선언하고 관련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 기사: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1962235 □ '달팽이관 없는 귀' 인공와우 이식 금기 깨졌다 국내 의료진이 달팽이관(와우)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와우 전극을 달팽이관 옆에 있는 전정기관에 삽입하는 수술을 시도한 결과 달팽이관에 삽입하는 일반적인 인공와우 이식술과 수술 효과가 동등한 수준이라는 것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입증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9_0001924117&cID=10201&...
2022.06.29 조회수 163
[6월 28일] 국내 낙태죄 폐지 후 무죄판결 속속…'낙태약 판매'는 처벌 등
□ 국내 낙태죄 폐지 후 무죄판결 속속…'낙태약 판매'는 처벌 미국 연방대법원이 '낙태 합법화' 판결을 공식 폐기하면서 임신중절 관련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나온 법원 판결들에도 관심이 쏠린다. 국내에서는 2019년 4월 헌재가 임신 여성 및 의사에 대한 낙태죄 처벌 조항을 헌법불합치 결정한 이후 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입법 공백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7115400004?input=1195m □ 면역 손상 코로나19 환자, 돌연변이 '인큐베이터' 될 수 있다 최근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전파력이 강해진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 4, BA·5가 빠르게 퍼지는 것 같은데 이 문제를 풀지 못하면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이 언제 끝날지도 기...
2022.06.28 조회수 180
[6월 27일] '美대법원, '낙태합법화 판결' 공식폐기…"州별로 낙태금지 가능" 등
□ '美대법원, '낙태합법화 판결' 공식폐기…"州별로 낙태금지 가능" 미국 연방 대법원이 24일(현지시간) 임신 6개월 이전까지 여성의 낙태를 합법화한 이른바 '로 대(對) 웨이드' 판결을 공식 폐기했다. 낙태에 대한 헌법상 권리가 인정되지 않으면서 낙태권 존폐 결정은 각 주 정부 및 의회의 권한으로 넘어가게 됐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4160352071?input=1195m □ 감염 이후 폐렴 막아주는 면역세포 찾았다 국내 연구팀이 폐에 존재하는 호중구를 분리해 RNA 염기서열분석과 세포 표면에 어떤 단백질이 있는지 알아내는 유세포 분석을 통해 골수나 혈액에 있는 호중구와의 차이점, 폐 염증질환에서 호중구 역할을 파악했다. - 기사: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627500152&wlog_tag3=naver □ "첫 국산 코로나19 백신" … AZ보다 ...
2022.06.27 조회수 162
[6월 24일] 임신 중 아내 사망…英법원 "남은 배아 사용해 대리모 출산 허용" 판결 등
□ 임신 중 아내 사망…英법원 "남은 배아 사용해 대리모 출산 허용" 판결 영국에서 아이를 임신한 여성이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그 남편이 이전 불임 시술 과정에서 냉동시켰던 아내 배아로 대리모를 통해 아이를 낳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남편의 손을 들어줬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3_0001917564&cID=10101&pID=10100 □ 코로나19 장기화로 ‘우울증·불안장애’ 환자 증가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해 우울증과 불안장애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사: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4372 □ 美 대법원 낙태권 판결 임박에 긴장고조…바이든, 대응수단 고심 미국 연방 대법원이 낙...
2022.06.24 조회수 204
[6월 23일] 돼지심장 이식환자 2개월 생존…이종장기이식 연구 지속 뒷받침 등
□ 돼지심장 이식환자 2개월 생존…이종장기이식 연구 지속 뒷받침 사상 최초로 심장병 환자에 돼지의 심장을 이식하는데 성공했지만 환자가 2개월 뒤 숨지면서 이종장기이식이 유효한 치료법인지에 대해 회의론이 일부에서 제기돼 왔다. 미 식품의약청(FDA)은 이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종이식연구는 사례별로 평가해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3_0001917983&cID=10101&pID=10100 □ 경남연구원 "초고령 사회 대비, 간병부담 완화정책 확대해야" 초고령 사회에 대비해 간병부담을 완화하는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은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에 박선희 연구위원과 강명진 전문연구원이 이러한 내용의 연구글을 게시했다고 23일 밝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3066200052?input=1195m...
2022.06.23 조회수 216
[6월 22일] 의료정보 활용하려면 법·제도 명확히 정비해야 등
□ 의료정보 활용하려면 법·제도 명확히 정비해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의료정보와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명확한 법과 제도부터 명확히 정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 기사: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077 □ 원숭이두창 확진자 관리 어떻게…딱지 떨어질 때까지 격리입원 원숭이두창 의심자가 국내에서 확인되면서 원숭이두창 확진자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침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지난달부터 미국, 유럽 등지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잇달아 발생하자 해외 유입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원숭이두창을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는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해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2045100530?input=1195m □ 시범사업 '약 자판기' 어떻길래…약사들, 들고 일어났다 정부의 승인으로 10년 가까이 ...
2022.06.22 조회수 235
[6월 21일] "조력존엄사 논의? 돌봄체계 해결 없어 우려 심각" 등
□ "조력존엄사 논의? 돌봄체계 해결 없어 우려 심각"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가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조력 존엄사(의사조력자살)' 법안과 관련해 "호스피스 확충 등 사회복지제도 문제 해결에 소극적인 채 시도되는 사회적 논의가 심각히 우려된다"며 정부와 국회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1_0001914753&cID=10201&pID=10200 □ "낙태법 보수적 접근 필요, 의료진 신념도 존중돼야" 의료계 일각에서 낙태법 제정에 대한 견제 목소리가 나왔다. 이들은 임신 중단에 대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며, 시술하는 의사의 개인적 신념에 대한 존중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기사: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885356 □ 입국자 늘자 오미크론 변이 유입 증가…"차단·감시 철저" 일상회...
2022.06.21 조회수 254
[6월 20일] '조력존엄사' 논의 시작…치료 중심 의료계, 할일 태산 등
□ '조력존엄사' 논의 시작…치료 중심 의료계, 할일 태산 말기 환자가 원하면 의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 존엄사(의사조력자살)' 법안이 지난 15일 발의된 가운데 법안의 취지를 살리는 키를 쥔 의료계는 아직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입법 과정을 거쳐야 하겠지만, 법이 실제 의료현장에서 잘 작동하려면 오남용을 방지할 의료서비스 체계 구축, 환자를 곁에서 돌보는 의료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등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18_0001912147&cID=10201&pID=10200 □ 서울대,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맞춤형 약물’ 개발 가능성 제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군 내 여러 군집의 존재가 발견되고, 원인 메커니즘이 규명돼 환자 맞춤형 약물 개발의 가능성이 제시됐다. 서울대학교는 의과대학 ...
2022.06.20 조회수 220
[6월 17일] “안락사 합법화? 못 가진 사람의 원치 않는 결정 초래할 것” 등
□ “안락사 합법화? 못 가진 사람의 원치 않는 결정 초래할 것” 안락사 또는 의사조력자살을 합법화하는 데 찬성하는가.’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지난해 3~4월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에게 물어봤더니 76.3%가 그렇다고 답했다. 성인 10명 중 7, 8명이 안락사 제도화에 긍정적이라니, 놀라운 수치다. 현재 국내에선 안락사도 의사조력자살도 모두 불법이다. - 인터뷰 전문: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61614560000821?did=NA □ 혈액세포, 조혈모세포만 만드는 게 아니었다 지금까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모든 혈액세포는 조혈모세포가 만든다고 알려졌다. 최근 미국과 브라질 연구진이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또 다른 세포군을 찾아냈다. - 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4915 □ 이탈리아서 사상 첫 합법적 '조력자살'…전신마비 40대 남성 가톨...
2022.06.17 조회수 28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6일]
□ 국내 첫 ‘조력 존엄사법’ 국회 발의… “고통 큰 말기 환자, 본인이 원해야” 극심한 고통을 겪는 말기환자에게 의사가 약물 등을 제공해 스스로 삶을 종결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존엄사법이 국내 최초로 발의됐다.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동대문갑)은 15일 이 같은 내용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조력존엄사법)을 대표 발의했다고 16일 밝혔다. - 기사: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06/16/6XJMBFZIMVGX3NUYHDGHYTVYBY/?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16_0001909024&cID=10201&pID=10200 - 관련 일일언론동향: http://www.nibp.kr/xe/board2_3/228371 □ 유전자 변이, ...
2022.06.16 조회수 25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5일]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노인복지관에서도 등록 가능…30기관 신규 지정 보건복지부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30개의 노인복지관을 새롭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으로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신규 지정된 노인복지관은 6월 15일부터 상담사 교육 이수 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 및 등록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 기사: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96491427144 - 관련 정보: https://blog.naver.com/konibp/222774180794 □ 먹는 낙태약, 약국에서 팔겠다고? 의료계 "위험한 발상" 경구용 임신중절의약품 이른바 '먹는 낙태약'의 국내 도입을 앞두고, 약계가 낙태약 약국 판매에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의료기관 내로 약물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주장인데, 의료계는 임...
2022.06.15 조회수 2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4일]
□ 질병세포만 찾아 치료하는 '유전자가위시스템(CRISPR-Cas9)' 개발 국내 공동연구진이 질병세포에서만 핵 내 유전자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전자가위시스템(CRISPR/Cas9)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포 내 마이크로RNA가 특정 서열을 인식해 절단한다는 특성을 활용, 질병세포에서 과발현되는 마이크로RNA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링커를 연결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설계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14_0001906674&cID=10807&pID=10800 □ 이스라엘 연구팀, 면역 B세포 이용해 HIV 항체 개발 이스라엘 연구팀이 체내 면역세포 유전자를 조작해 만든 항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항체를 동물시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B세포 조작을 통해 향후 HIV 등 감염질환에 대한 항체뿐 아니라 암이나 자가면역질환 등 비감염성질환 치료에도 확...
2022.06.14 조회수 23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3일]
□ "성염색체 이상 남성, 당뇨병 등 일반 질병 위험↑" 성염색체 이상을 지닌 남성은 500명에 한 명꼴이며 당뇨병, 동맥경화, 혈전 등 일반적인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이 성염색체가 정상인 남성들보다 상당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13027800009?input=1195m □ 포르투갈, 대통령 2번 거부에도 '안락사 합법화' 또 추진… 포르투갈 의회가 두 차례의 대통령 거부권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안을 다시 통과시켰다. 법으로 제정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 것으로 보이지만, 다시 안락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는 모양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9일(현지시간) 포르투갈 국회는 '특정 조건에서 의료 보조 사망을 합법화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707559 □ 열악한 실험쥐 사육환경이 '엉터리' 연구 ...
2022.06.13 조회수 17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0일]
□ "의료데이터, 관건은 규제와 활용의 균형"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주한덴마크대사관은 지난 8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2년 보건의료 빅데이터 미래포럼'을 열었다. “법은 기술보다 느리다. 관건은 규제와 활용을 어떻게 적절하게 균형시키느냐다.” 주한덴마크대사관 랜디 멍크 보건의료 참사관의 말이다. - 기사: https://zdnet.co.kr/view/?no=20220610131925 □ "품위있게 죽고 싶다" 130만 명이 선택했지만…아직 갈 길 먼 '웰다잉' 2018년 2월 연명의료 결정제도가 시행된지 4년 3개월 여 동안 130만 8938명이 '사전 연명의료 의향서'를 썼다. 건강할 때 연명치료 거부에 관한 본인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일종의 서약서다. - 기사: https://www.sedaily.com/NewsView/2676GWUWFF - 관련 일일언론동향("남은 삶 무의미"…국민 76%, 안락사 입법화 찬성): http://www.nibp...
2022.06.10 조회수 21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9일]
□ '약물대사 기능 개선 인공 장기유사체 개발…"대량 증식 가능"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충남대 김상겸 교수 연구팀과 함께 약물대사 기능이 개선된 간 독성평가용 오가노이드(인공 장기유사체) 모델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오가노이드 배양 기술은 기존 기술보다 제작·배양 방법이 간단하고 장기간 배양, 대량 증식, 동결·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9075900063?input=1195m □ 獨 “장기기증자 유가족-수혜자 소통 허용하라” 여론에 찬반논쟁 ‘팽팽’ 독일 뉴스전문채널 ntv는 5일(현지시간) 장기 기증자의 가족 ·친지로 구성된 단체 ‘기증자 가족 네트워크(NSF)’가 전날 열린 장기기증의 날 행사에서 사후 장기 기증자 가족과 수혜자간의 접촉을 엄격하게 막는 ...
2022.06.09 조회수 19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8일]
□ '암세포 체외배양' 치료제 반응 미리 예측…'미세유체칩'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체외 배양해 항암 치료제 반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미세유체 칩'을 개발했다. 기존 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난치암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704778 □ 만성골수성 백혈병치료제 슈펙트, 효과있다…울산대병원 국내 연구진이 만성기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알려진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의 다발골수종 약효 효과를 분석,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 슈펙트는 RPMI-8226, MM.1S, U266B1 및 IM-9 세포 등 다양한 다발골수종 세포주에서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고 증식을 억제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08_0001900543&cID=10814&pID=10800 □ 코로나19 예방용 항체...
2022.06.08 조회수 2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7일]
□ 인제대 연구진, 전신 면역 손상없이 장기 염증 제어 치료법 개발 인제대학교는 의과대학 서수길 교수팀이 전신 면역 손상 없이 점막 장기의 면역 병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새로운 염증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서 교수팀은 이번에 염증 조절과 조직 치유에 핵심 역할을 하는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의 새로운 염증 제어 기전을 밝혀내, 전신 면역 약화 없이 폐, 장기조직의 GVHD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면역조절 AHR 작용제'를 개발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7056400052?input=1195m □ 임신중절 엄격 제한한 폴란드, 이번엔 '임신 등록제' 정책으로 논란 AP통신은 6일(현지시간) 폴란드 정부가 임신 등록제로 여성들의 임신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려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담 니에지에스키 보건부 장관은 지난 3일 알레르기, 혈...
2022.06.07 조회수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