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3 건
총 3,203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6일]
□ 인체유래물 재활용 "안전성 선결해야" 인체유래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윤리성과 안정성 확보를 선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체유래물'이란 인체로부터 수집·채취한 조직 세포 혈액 체액 등 인체 구성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혈청 혈장 염색체 DNA 단백질 등을 말한다. 기사: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9308 보고서 원문: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155&brdSeq=38584 □ ‘패닉 바잉’ 의약품 부족에 시달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제재조치로 러시아에서 의약품 부족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러시아는 의약품의 70%를 다국적 제약사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들 제약사들은 인도적인 이유로 러시아에 필수 의약품을 계속 공급해왔다. 그런데도 의약품 부족 현상이 빚어진 것은 제재조치로 공급망에 차질이 빚어진 데다, 의약품 ...
2022.04.06 조회수 10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5일]
□ 재난의료 상황에서 중환자 병상 효율적 배정 시급 의료윤리연구회는 4월 4일 염호기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 위원장(서울백병원 호흡기 내과)을 초청해 '재난 의료 상황에서 윤리적 병상 배정'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이날 염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재난 의료 상황에서 중환자실의 입실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논의와 준비가 아직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기사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981 □ 낙태죄 대체 입법 3년째 답보…‘먹는 낙태약’ 불법거래 성행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후 3년이 흘렀지만 대체 입법이 마련되지 않은 가운데 ‘먹는 낙태약’ 마저 음지에서 마구잡이로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 기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2040458...
2022.04.05 조회수 9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4일]
□ 판 깔린 '비대면 진료', 넘어야 할 의료윤리 허들은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한시적 허용된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기 위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위해서는 넘어야 할 의료윤리 문제가 적잖아 보인다. - 기사: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468 - 관련 기사: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203271412001 □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는 보편적 인권”… 민‧관, 인식 확산 나선다 모든 개인의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를 보편적 인권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민·관이 손잡고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위원회)는 13개 기관·단체와 함께 지난달 31일 ‘성·재생산건강권리협의회’ 출범식을 열었다....
2022.04.04 조회수 12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일]
□ “생물학계 로제타스톤 풀었다”...20년만에 인간 유전체 완전 해독 인간 유전체(게놈)의 모든 염기 서열을 해석하려는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는 1990년에 시작돼 2003년에 완료됐다. 최근 국제 공동연구팀이 20년 만에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풀어내는데 성공했다. - 기사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331500140&wlog_tag3=naver □ 연간 전세계 임신의 48%인 약 1억 2100만건 의도하지 않은 임신 유엔인구기금(UNPF)은 2015년부터 2019년 사이 전 세계에서 연간 1억 2100만명의 여성들이 의도하지 않은 임신을 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전체 연간 임신의 절반 가까운 48%에 달하는 것이다. -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31_0001815034&cID=10101&pID=10100 - 보고...
2022.04.01 조회수 12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31일]
□ 보험사 의료데이터 제공 이해당사자 합의 초안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한화생명의 의료 데이터 제공과 관련하여 가입자(시민단체)·공급자·전문가 단체 등과의 비공개 순회 간담회를 최근 마무리 지었다. 이 과정에서 각 이해당사자의 입장을 토대로 ‘합의 초안’이 만들어진 사실이 취재 결과 확인됐다. 기사 : https://zdnet.co.kr/view/?no=20220330180333 (관련 기사 : https://www.fnnews.com/ampNews/202201251554207572) □ 보험사 헬스케어 진출 곳곳에 '허들'…규제 풀어야 '웰라이프’ 고령사회에 접어듦에 따라, 양질의 '헬스케어'·'노인요양'·'상조서비스' 등 '웰라이프'와 관계된 서비스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보험사들은 자회사 설립 등을 통한 적극적인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
2022.03.31 조회수 9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30일]
□ 중국 정부, 국민 유전자 정보 국가자원으로 관리 중국 당국이 국민의 유전자 데이터를 전략 자원으로 보고, 유전자 은행 등에 대한 국가 차원에서의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새로운 관련 지침을 발표해 자국민의 유전자 정보를 해외로 보내는 것을 금지시키고,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5년에 한 번씩 목록화하는 작업을 의무화했다.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30_0001813186&cID=10101&pID=10100 □ “40대 남성에 뇌사 기증자 손목 이식”…세브란스병원 두번째 수술 성공 작업 중 사고로 오른손이 절단됐던 40대 남성이 이식 수술을 통해 새로운 손목을 얻었다. 이는 지난 2018년 법제화 후 지난해 60대 남성에 수부이식을 처음 진행한 뒤 두 번째 수술이다. 기사 : https://biz.chosun.com/it-science/bio-science/2022/03/29/YXPHHV5N4RCCVO6ET...
2022.03.30 조회수 10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9일]
□ 유전자검사기관 평가 방식, '정확도'서 '숙련도'로 변경 유전자검사기관 평가 방식이 정확도 평가에서 숙련도 평가로 바뀐다. 이에 관련 고시 제명이 바뀌고, 숙련도 평가에 필요한 사항도 새로 규정된다. 기사 :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028 행정예고: http://www.mohw.go.kr/react/jb/sjb0407ls.jsp?PAR_MENU_ID=03&MENU_ID=030407 (「유전자검사의 숙련도 평가에 필요한 사항의 지정」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 □ 신경관 형성 모사하는 척수 오가노이드 개발 성공 선천성 발달장애 중 하나인 신경관 결손을 예측, 예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고려대학교 연구팀이 신경관 형성을 모사하는 척수 오가노이드 개발에 성공하고 오가노이드 기반의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 활용 가능성을 증명했다. 기사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1056663226...
2022.03.29 조회수 11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8일]
□ 착상 전 배아 유전체 진단으로 암 위험성 판독… 윤리적 논쟁은 여전 미국 과학자들이 체외수정(IVF)으로 만들어진 배아에서 심장질환이나 유방암 등 유전자 영향을 받는 질환의 위험을 99%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하면서 과학계에서 윤리논쟁을 촉발했다. 부모의 유전체 정보를 토대로 배아의 유전체를 정확히 읽어내면서 성인 대상의 유전자로 인한 질병 위험 분석을 배아에도 적용하는 게 윤리적인지에 대한 논리이다. 기사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327/112556505/1 □ 복지부 '디지털헬스'법안 박차…산자부와 주도권 경쟁 예고 디지털헬스케어 주도권을 두고 정부 부처간 물밑 경쟁이 예상된다. 우선 보건복지부가 디지털헬스케어 관련 법안 발의 준비에 돌입했다. 현재 복지부가 구상 중인 법안의 핵심 내용은 의료 마이데이터를 의료현장에 도입했을 때 당...
2022.03.28 조회수 12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5일]
□ 한의사 '신속항원검사' 시행 선언…의료계 갈등 심화 한의사들이 의료진이 자가진단키트로 시행하는 신속항원검사(RAT)를 시행하겠다고 공식 선언하자 의사들이 한의사의 신속항원검사를 불법 의료 행위이고 국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며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24_0001806150&cID=10201&pID=10200 □ 학부모 60% “5∼11세 자녀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향 없어” 5~11세 코로나19 백신 접종 예약이 시작됐지만, 학부모 10명 중 6명은 접종 의향이 없어 접종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사 : http://www.segye.com/newsView/20220324515340?OutUrl=naver □ 美 아이다호도 ‘임신 6주’ 낙태금지법 미국 아이다호주가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강력한 낙태 금지법을 제정했다. 현재 임신 6주 이후 낙태 금지...
2022.03.25 조회수 1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4일]
□ 의료데이터 '반쪽' 개방…韓보험사, 아직도 외국논문 찾는다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민간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됐고, 보험사들의 공공의료데이터 이용의 문이 다시 열렸다. 그러나 국내 보험사들은 여전히 새로운 상품 개발을 위해 외국 논문을 뒤진다. 기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32312004622615 □ 구멍 뚫린 피부임상센터 관리, 이대로 괜찮나 국내 사설피부임상센터에 대한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들 사설센터는 보통 임상수탁기관(CRO)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화장품은 물론 미용기기, 건기식에 이르기까지 의약품을 제외한 대부분 건강관련 제품의 안정성과 기능,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적용시험’을 하는 사설기관이다. 기사 : http://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8646 □ 코로나 백신 접종 후 ...
2022.03.24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3일]
□ 약 대신 전기로 질병 치료… ‘전자약’, 이젠 암·당뇨도 잡는다 약 대신 전기나 빛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약이 늘고 있다. 약품은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화학반응에 따른 부작용도 있지만, 전자약은 인체에 한 번만 삽입하거나 필요할 때마다 착용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기사 :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3/23/JWBO7GUYL5GXDM3PH2MHYGEQL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코로나치료제 '라게브리오' 도입 앞두고 효과·부작용 우려도 코로나19 위중증환자와 사망자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가 두 번째 먹는 코로나 치료제 도입을 결정했다. 그러나 허가 당국인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소 급하게 도입을 결정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사 : https://www.etoday.co.kr/new...
2022.03.23 조회수 15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2일]
□ 인공지능(AI) 활용 '과다·부적정 진료행태' 감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과다·부적정 이용 등 이상 진료경향 감지 모델에 인공지능(AI) 등을 적용해 고도화에 나선다. 최근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거시적 진료경향 모니터링을 활용해 심사 등 관리영역 전방위적 발굴 및 연계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사 :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81763&thread=22r01 □ 실적 쌓는 분산형 임상…전통 임상 대체 과제는?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 이하 DCT)이 전통적 임상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어렵다 하더라도 신약개발 실적을 쌓아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임상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사 :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46307&ref=naverpc □ "한의원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
2022.03.22 조회수 22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1일]
□ “무료 유전자검사 해드려요”… IT기업들의 이유있는 ‘외도’ 핀테크, 통신 등 건강과는 관계없어 보이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잇따라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뛰어들고 있다. 고객 신청을 받아 유전자검사기관에 직접 검사를 의뢰하는 ‘DTC 유전자 검사’가 대표적이다. 기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36543&code=11161100&cp=nv □ 자가검사키트 유통 1년 돼 가는데 여전히 성능검증은 사각지대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가 국내에서 유통된지 1년이 다 돼가는 가운데 제품의 성능이 들쭉날쭉한데도 사후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정부는 새로운 원리가 적용된 의료기기가 아니라서 재심사 대상이 아니고, 오랜 시간이 지나 과학기술의 발달 등을 반영하기 위한 재평가 대상도 아니라고 설명하고 ...
2022.03.21 조회수 24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8일]
□ 코로나에 밀려난 암환자 '웰다잉'…호스피스 기관 '태부족'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말기 암환자 등 완화의료를 필요로 하는 이들이 입원 가능한 호스피스 병동을 찾지 못하고 있다.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기회마저 박탈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사 : https://mdtoday.co.kr/news/view/1065611683488667 □ "5만원에 코로나 옮겨드림"…'양성 마스크'도 판매하는 시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하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30만 명을 넘어서고 있는 가운데, 중고 거래 사이트에 한 확진자가 자신이 착용했던 마스크를 판매한다는 글을 올렸다. 기사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98806632264632&mediaCodeNo=257&OutLnkChk=Y □ "英, '가정 낙태’ 즉각 중단해야" 수백 명의 의료 전문가들이 영국 전역에서...
2022.03.18 조회수 39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7일]
□ 은행·보험 "쇼핑·의료 데이터 개방해달라" 은행, 보험, 증권, 카드, 저축은행, 핀테크 등 주요 금융회사들은 차기 정부가 ‘손톱 밑 가시’ 같던 각종 금융 규제를 완화하고 공정한 시장 경쟁 환경을 조성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사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31699611 □ 코로나 확진자, 임상시험포털서 먹는 치료제 임상 참여 가능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경구용 치료제(먹는 약) 임상시험 참여 신청을 ‘코로나19임상시험포털’에서 할 수 있게 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에는 확진자가 임상시험 참여지원 상담센터 유선전화로 임상시험 참여 의향을 밝혀야 했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6059600017?input=1195m □ 글로벌 제약사 러 철수 잇따라…릴리·노바티스·애브비 동참 글로벌 제약사들...
2022.03.17 조회수 43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6일]
□ 신약 임상, 집에서 참여한다면?…국내 도입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임상시험 환경에서 비대면으로 임상을 진행하는 ‘분산형 임상시험(DCT)’*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감염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넘어서 시험 대상자와 연구기관에게 모두 효율적인 방식으로 평가돼 국내에도 빠른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 DCT)’이란 원격임상, 비대면 임상으로도 불린다. 웨어러블 기계 또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험약을 우편 배송하는 등 임상시험 대상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임상시험이 가능한 방법을 말한다. 기사 :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230834&category=D □ '일부러 검사 회피' 경향 우려…“고위험군 안전도 생각해야” ...
2022.03.16 조회수 44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5일]
□ 복지부,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로 27개 기관 첫 인증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평가·인증제를 도입한 후 처음으로 27개 기관을 인증했다고 11일 밝혔다. 기관생명윤리위원회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연구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구의 윤리적·과학적 타당성을 자율적으로 심의하는 기구로 올해 2월 기준 923개소가 운영 중이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1128600530?input=1195m 보도자료 :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0570 □ 기피부서 된 'DTC'…떠나는 유전자 전문가들 유전자 분석 서비스 기업에서 소비자 직접 의뢰(DTC,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 전문가들의 퇴·이직 사례가 늘고 있다. 국내 도입 후 6년...
2022.03.15 조회수 44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1일]
□ 돼지심장 이식 환자 사망…생명윤리 논란 재점화 세계에서 처음으로 돼지 심장을 이식받았던 환자가 수술 두 달만에 사망하자 의료계에선 이식용 장기 부족 문제 해결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임상 적용이 시기상조였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10_0001788839&cID=10201&pID=10200 □ 인공장기에 사용 가능한 세포외박막 개발 성공 국내 연구진이 동물실험을 대체하기 위한 인공장기 개발에 필요한 세포외 박막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세포외기질에 나노섬유를 씌워 인체 조직과 비슷하면서도 튼튼한 세포외기질 박막을 만들었다. 기사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310500133&wlog_tag3=naver □ "멸종 매머드 복원은 불가능"…쥐 복원 조차 5% 부족 약 120년 전 인도양의 크리스마스섬에서...
2022.03.11 조회수 47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0일]
□ 세계 첫 '돼지 심장' 이식 받은 美 남성, 두 달 만에 숨져 세계 최초로 돼지 심장을 이식받았던 환자가 두 달 만에 결국 사망했다. 병원측은 환자 상태가 며칠 전부터 악화했으며, 사망 전 몇 시간 동안 가족들과 마지막으로 대화했다고 밝혔다. 기사 : https://www.news1.kr/articles/?4610929 관련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1015352009?input=1195m (사람 몸에서 '돼지 심장' 뛴다…미국서 첫 이식 수술) □ 의료데이터 제공 고민하는 건보공단...의견 수렴 후 향배는? 민간보험사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 제공을 다시 신청한 가운데, 건보공단은 이해관계자들과 순차 간담회를 이어가며 새롭게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있다. 보험업계는 이번 심의에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지만 건보공단 내부 직원들의 정서는 반대 의견이 대다수인 것으로 보인다. 기사 : http://www.mone...
2022.03.10 조회수 43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8일]
□ 정자 없이 난자만으로 생쥐가 태어났다 정자 없이 난자만으로 자손을 낳는 단성생식이 포유류인 생쥐에서 처음으로 실현됐다. 난자에서 태어난 생쥐는 나중에 자라 새끼까지 낳았다.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태아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인간에게 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현재로선 가능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기사 :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3/08/BPQBXY6UXFBU7CUS6FNF7LNZI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관련 논문 :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115248119 □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확진 판정' 금주 시행계획 발표 방역당국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내리는 방안을 이번 주 중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검사 양성률이 굉장히 많이 올라갔고, ...
2022.03.08 조회수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