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3 건
총 3,203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4일]
□ 정부 "면역저하자 4차접종 검토 중, 일반국민 대상으로는 미정" 정부가 4일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을 마친 백혈병 환자 등 면역저하자에게 4차 접종을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 외 일반 국민의 4차 접종은 해외사례를 검토하고 있을 뿐 실행 여부를 결정할 단계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20104081800530?input=1195m □ 이스라엘, 코로나19 백신 4차접종 60세 이상 전체로 확대(종합) 이스라엘이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2차 부스터샷) 대상을 60대 이상 고령자 전체로 확대했다고 현재 언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스라엘 당국의 4차 접종 대상 확대는 감염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20103002551079?input=1195m □ 방역당국 "방역패스 유효기간, 불편하...
2022.01.04 조회수 1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3일]
□ 오늘부터 미접종자에겐 ‘딩동’…인권침해 논란 가열 3일부터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 혹은 2차 접종 후 유효기간이 지난 사람은 다중이용시설에서 ‘딩동’ 소리를 듣게 된다. 방역패스 필요성에 대한 갑론을박이 계속되는 가운데 ‘딩동’ 알림음에 대한 인권침해 논란도 가열되고 있다. ‘ 기사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103500002&wlog_tag3=naver □ "방역패스 취소돼야"…의사 등 1천23명 집단 행정소송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쳤거나 진단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음이 확인돼야 공중시설 출입을 허용하는 ‘방역패스’에 반대하는 집단 행정소송이 제기됐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조두형 영남대 의대 교수를 비롯한 의료계 인사들과 종교인, 일반 시민 등 1천23명은 보건복지부 장관과 질병관리청장, 서울시장을 상...
2022.01.03 조회수 1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31일]
□ 당국 "16세 중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사망' 신고 첫사례 나와"(종합) 16세 청소년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뒤 사망했다고 방역당국에 신고한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지금껏 신고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사망 신고 사례 중 가장 어린 나이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11230109351530?input=1195m □ 이스라엘, 면역 저하자에 코로나19 백신 4차접종 승인 이스라엘이 면역 저하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2차 부스터샷)을 승인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고령자 등에 대한 4차 접종 여부는 재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11231002400079?input=1195m □ “가짜뉴스-헌혈 감소 상관관계 있다”… 당국, 괴담 예의주시 ‘백신 미접종자의 피를 정부가 관리한다’는 등의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가 광범위하게 ...
2021.12.31 조회수 1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30일]
□ 정부, '마이크로바이옴'에 10년간 1조투자..임상 기준도 완화 정부가 ‘바이오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9개 부처가 의기투합해 마이크로바이옴(인체 서식 미생물 총칭)에 10년간(23~32년) 총 1조1506억원을 투자하고, 임상시험 대상자 기준 완화 등 제도 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기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22915041038756 보도자료 :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pageIndex=2&bbsSeqNo=94&nttSeqNo=3181241&searchOpt=ALL&searchTxt= □ 첨단재생의료 고위험 임상연구 절차 간소화…"승인기간 단축" 위험도가 큰 임상 연구에서도 당국의 추가 심의 절차가 줄면서 최종 승인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정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주재로 제4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정책심의위원...
2021.12.30 조회수 1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9일]
□ 코로나19·치매 등 환자 임상시험 참여 도울 '포털' 구축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환자 맞춤형 임상시험 현황과 정보를 한눈에 보여주는 ‘환자중심 임상시험포털’ 누리집을 신설·구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누리집은 환자들이 더 쉽게 국내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11229052100017?input=1195m 환자중심 임상시험포털 : https://www.findtrial.or.kr/ □ "인간 배아, 수정 직후 유전자 스위치 켜진다" 인간 배아(embryo)는 수정 후 2~3일이 지난 후가 아닌 수정 직후 1세포기(1-cell stage)때부터 유전자 스위치가 켜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세포기 유전자의 활동을 연구하면 비만 같은 유전적 특징이 부모로부터 어떻게 전해지는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기사 : https:...
2021.12.29 조회수 10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8일]
□ "명문대 정자" "난자 공여"…카톡방 판치는 불법 '불임 해결사들' 익명으로 대화가 가능한 카카오톡 오픈채팅에 불법 행위인 ‘#난자 공여’ ‘#자연 임신 정자 기증’ 등의 키워드가 판을 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금전적 보상을 노린 난자 기증은 엄연히 불법이다. 누구든지 금전 혹은 재산상의 이익을 조건으로 난자 혹은 정자를 제공하거나 이를 유인하는 행위는 금지돼 있으며, 적발 시 3년 이하의 유기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 기사 : https://www.news1.kr/articles/?4535917 □ 먹는 코로나 치료제, 부작용 없을까?…“투약지침 마련해야” 다음달부터 국내에도 먹는(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가 도입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7일 다국적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긴급사용승인을 결정했다. 다만 치료제들이 모든 환자에 안...
2021.12.28 조회수 13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7일]
□ “20일 지난 중환자는 병상 옮겨라”… 정부 전원 명령에 혼란 코로나19 중증 병상 확보를 위해 정부가 고육지책으로 꺼낸 ‘중환자 격리해제 20일 상한 기준’을 두고 상급종합병원 중심의 의료현장이 혼란 상황에 빠졌다. 일부 의료진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정부의 전원 명령서 전달을 거부하거나 중환자실 체류 연장이 필요하다는 소명서를 제출하는 등 반발 기류가 커지는 모습이다. 퇴실 예정 환자와 가족들은 자체적으로 다른 병원을 알아봐야 하는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기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24441&code=11132000&cp=nv □ "슬의생이 코로나를 이겼다" 급감했던 장기기증 서약, 올해 8만명대 회복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16년 만에 6만 명대로 추락했던 장기기증 서약자 수가 올해는 8만 명을 넘기며 반등했다. 대면 홍보가 어려워진 탓...
2021.12.27 조회수 1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4일]
□ 챗봇 '이루다' 재출시 예고…"AI 편향·개인정보 유출 없앴다" 올초 인공지능(AI)의 편향 및 개인정보 남용 논란이 나타나면서 서비스가 중단된 AI 챗봇 ‘이루다’가 2.0버전으로 재출시될 예정이다. 이루다 개발사는 과거 문제됐던 부분들을 해결했다는 입장이지만, 수집 과정에서 위법성이 지적된 데이터를 다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선도 제기된다. 기사 : https://zdnet.co.kr/view/?no=20211223113220 □ “미접종자 혼밥도 안 돼요”… 자체 ‘방역패스’ 내세우는 식당들 정부가 최근 방역패스 적용 대상을 확대한 뒤 미접종자 등의 편의를 위해 예외 조항을 남겨뒀지만, 이를 무시하거나 방역지침보다 과도한 규정을 적용하는 업체가 늘면서 미접종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기사 : http://www.segye.com/newsView/20211223514769?OutUrl=nave...
2021.12.24 조회수 10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3일]
□ 마이데이터, 미성년자 개인정보 보호 강화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정보제공 범위가 확대되고, 미성년자 보호도 강화된다. 개정안은 마이데이터 이용자 편의 등을 감안해 정보주체의 전송요구 대상 정보에 은행계좌 등의 적요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내용이 담겼다. *마이데이터: 여러 금융회사에 흩어진 개인 금융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22217132123692 □ WHO "부스터샷이 팬데믹 연장...백신불평등이 새로운 변이 만들어" 세계보건기구(WHO)가 선진국들이 잇따라 추진 중인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 계획이 전세계 백신불평등을 심화시킨다며 팬데믹(세계적대유행)을 오히려 연장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WHO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하루 백신 투여량의 20%가 부스터샷 접종분에 투입되고 있다. 기사 : https://view.as...
2021.12.23 조회수 1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2일]
□ 21만명 대상 미세먼지 건강 영향 연구 자료 공개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약 21만명의 대기오염 노출 농도 자료를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자료는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코호트 역학 자료와 시공간 대기오염 노출 농도를 연계한 것이다.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22_0001697296&cID=10201&pID=10200 보도자료 : https://nih.go.kr/board/board.es?mid=a40303010000&bid=0015&act=view&list_no=718019 □ 각국 팬데믹發 ‘원격낙태’ 폭증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임신중절약을 원격으로 처방해주는 ‘원격낙태’가 세계 각국에서 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이동의 제약, 재정적 불확실성 증가와 함께 출산 기피 현상이 늘면서 ‘원격낙태’가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
2021.12.22 조회수 10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1일]
□ 유전자검사기관, 30일부터 복지부장관이 지정한 기관 인증 받아야 오는 30일부터 소비자를 대상으로 직접 시행하는 유전자검사를 하려는 유전자검사기관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고시한 전문성 있는 기관으로부터 인증받아야한다. 보건복지부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2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기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1221000208 보도자료 :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69012 □ 정부 "미접종자 '혼밥' 거부한 식당·카페에 과태료 부과 못한다"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들이 일부 식당과 카페에서 ‘혼밥’(혼자 밥을 먹는 것)을 거부당했다는 사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미접종자 손님을 거부한 식당들에 ...
2021.12.21 조회수 1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0일]
□ “의사가 맞지 말라고 했는데”… 방역패스 적용에 갈 곳 없어진 백신 미접종 임신부 정부가 코로나19 방역 대책의 하나로 내놓은 ‘접종증명 음성확인제(방역패스)’ 대상에 임신부도 포함되면서 임신부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임신부는 방역패스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백신 접종을 위해 오는 산모들을 받는 의사들도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기사 :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1/12/19/SSWJ4J74EFG2DFDSEHHYF5BNRU/?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방역패스 5만원에 빌려요”…당근마켓에 등장한 암거래 전국적으로 방역패스(접종증명서·음성확인서)가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서 ‘방역패스’를 거래하려는 시도가 포착돼 ...
2021.12.20 조회수 11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7일]
□ 방역패스 유효기간 적용시점, 내년 1월 3일로 연기 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방역패스 유효기간 적용 시점을 내년 1월 3일로 연기했다. 정부는 앞서 3차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방역패스에 6개월의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오는 20일부터 적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기사 :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39160 □ 코로나 이후 장기기증 줄어… “8개월째 심장이식 대기, 희망 잃어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장기 기증을 받지 못하는 대기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타인에게 새 삶을 선물하는 장기 기증자 역시 줄어들고 있다. 장기조직기증원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의료기관의 기증 관련 관심 저하가 장기 기증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사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217/110828427/1 □ EMA "화이자 코로나 치료알약, 중증위험 성인에 사용...
2021.12.17 조회수 10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12월 16일]
□ 로봇이 번식을? 세계 최초 세포로봇 자가복제 성공 세계 최초의 생체로봇인 ‘제노봇(xenobots)’이 스스로 번식하는 ‘자가 복제’에 성공해 놀라움을 안겨주고 있다. 반면 한편에서는 제노봇이 기계냐 아니면 살아 있는 유기체냐를 두고 윤리적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기사: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687100012&ctcd=C08 □ "머크 '먹는 치료제' 임신부·태아에 위험"…FDA 최종 승인 지연 미국 제약사 머크의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몰누피라비르'가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에 위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자문위원회의 승인 권고에도 최종 승인을 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추정된다.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15_0001689330&cID=10101&pID=10100 □ 식당·카페 ...
2021.12.16 조회수 13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5일]
□ “연명치료 포기해야 입원”… 코로나 중환자 병상대란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현장 곳곳에서 ‘의료 붕괴’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서울의 한 보건소는 자택에서 병상 배정을 기다리다 상태가 나빠진 80대 여성 코로나19 환자 A씨에게 “DNR(심폐소생술포기)에 서명해야 빨리 입원할 수 있다”는 취지로 안내했다. 기사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214/110770005/1 □ "사망자 너무 많아 버티기 힘들다"…간호사들 '심리적 고통' 임계점 코로나19가 무서운 기세로 확산되면서 의료 현장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하는 간호사 등 의료진이 극한의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쓸쓸히 생을 마감하는 코로나19 환자들의 임종을 곁에서 지켜보고 시신 수습까지 맡으면서 ‘대리 외상’을 겪는 의료진도 늘어나고 있다. 기사 : https:...
2021.12.15 조회수 12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4일]
□ 잘사는 나라만 가능한 백신 접종?…'백신세' 해결 실마리 될까? 지난 8일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81억개 이상의 백신이 투여되었지만 접종 받은 사람들의 대부분은 고소득 국가의 사람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WHO는 고소득 국가의 백신 접종률은 64.94%에 이르지만 저소득 국가의 접종률은 불과 8.35% 밖에 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기사 :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6&nid=264266 □ 의료계 "일상회복 긴급 멈춤 필요…강력한 거리두기 해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잠시 멈추고, 일시적으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해야 한다는 의료계 성명이 나왔다. 이번 성명을 낸 이유는 최근 코로나19 감염자와 위중증 환자 숫자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의료 대응 체계가 감당 불가능한 수준이 됐기 때문이다. 기사 : htt...
2021.12.14 조회수 1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3일]
□ "환자 모집 갈수록 어려워"…코로나 임상 37건 중 13건 대기 중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관련 임상시험은 37건으로 이 중 13건은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고도 환자모집 단계로 쉽게 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등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도 불구하고 국내 백신 접종률이 80%를 돌파하면서 미접종자와 같은 임상시험에 적합한 환자를 찾기가 갈수록 어렵기 때문이다. 기사 : https://www.news1.kr/articles/?4519286 □ 스위스 민간단체 안락사 방조기구 시험가동…윤리 논란 가열 안락사를 허용하는 몇 안 되는 나라 가운데 한 곳인 스위스에서 새로운 방식의 안락사 관련 기구가 내년초부터 시험운영된다. 3D 프린터로 이 장치(사코, sarco)를 만든 니츠케는 몇 분 내에 고통없이 안락사 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10_0001683455&cID=...
2021.12.13 조회수 1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0일]
□ 과기부 ‘AI 개인정보 보호 방안’ 발표…“셀프감독 안돼” 반론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9일 ‘인공지능·데이터 사업의 개인정보 보호체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과기부 주관 인공지능 개발 사업들의 개인정보 관리·감독 원칙을 만들고, 실무자들의 개인정보 관련 교육을 강화하는 게 뼈대다. 기사 :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022724.html 보도자료 :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bbsSeqNo=94&nttSeqNo=3181106 □ ‘각막을 인체조직으로 분류…각막기증 활성화’ 추진 각막을 인체조직으로 분류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기...
2021.12.10 조회수 9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9일]
□ '소아백혈병 치료' 고위험 첨단재생의료 임상 첫 승인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키메라항원수용체 T세포’(CAR-T세포)를 활용해 소아백혈병을 치료하는 임상연구 계획이 고위험 임상연구로 처음 승인됐다. 이번 임상연구 계획은 지난해 9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령’(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 이후 처음 승인된 고위험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다.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08_0001680898&cID=10201&pID=10200 □ '청소년 방역 패스' 형평성 논란에… 유은혜 "개선안 관계부처와 협의" 연일 청소년 방역패스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이 방역패스가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한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
2021.12.09 조회수 1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8일]
□ ‘청소년 방역패스’ 거부하는 학부모들…“강제 접종 No” 청소년 방역패스(접종완료·음성증명제)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학부모 단체가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나섰다. 정부는 지난 3일 방역패스 확대 방안 등이 담긴 특별방역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12~18세 소아·청소년은 내년 2월부터 방역패스 적용 대상이 된다. 기사 :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326 □ '그린패스' 없이 버스 탄 이탈리아 시민 '과태료 53만 원' 이탈리아 당국이 코로나19 방역 규제 위반을 강화하고 '슈퍼 그린패스' 제도를 도입하면서 과태료를 처분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이탈리아는 코로나19 백신을 맞았거나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가 음성인 시민에게 '그린패스'를 발급했다. 현...
2021.12.08 조회수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