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7일]
□ 中 ‘20일간 원숭이’ 배아 배양 … 또, 실험실 속 ‘윤리’ 중국 연구진들이 실험실에서 원숭이 배아를 20일간 배양하면서 생명공학자들 사이에서 불문율처럼 여겨지던 '14일 규정'이 깨지기 시작함. 인간과 닮은 영장류인 원숭이의 배아를 활용해 체외에서 14일 넘게 배양했다는 점에서 결국 다음 차례는 인간 배아가 아니냐는 우려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음. 기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1107000333 □ 혁신 의료기기 규제 완화? … “환자가 마루타인가”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는 의료기기와 의약품 규제완화를 중소벤처기업부에 신청한 대전시와 충청북도를 규탄하면서, 이는 정부정책의 산물이라고 질타함. 대전시는 체외진단기기를 신의료기술평가를 받지 않고 2년간 환자에게 사용하도록 하...
2019.11.15 조회수 11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6일]
□ 한의계 “연명의료결정이 웰다잉 전부 아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5일 웰다잉시민운동과 웰다잉 문화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함. 이날 두 단체는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에 대한 문화 홍보 및 준비 지원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관련 단체 공동협력 및 교류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에 관한 입법, 정책 개발을 위해 공조키로 합의함. 기사 :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49830 □ 서울시, 장애인 출산 비용 ‘태아 1인 100만원’ 지원 서울시는 장애인 가구의 출산 시 태아 1인 기준 100만원을 지원하는 출산비용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5일 밝힘. 사업 대상은 1월1일 이후 아이를 출산한 장애인 가정임. 임신기간 4개월 이상의 태아를 유산·사산의 경우에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 다만 인공 임신중절에 대한 유산의 경우는 지원 받을 수 없음. 기사 : http://www.asiatod...
2019.11.15 조회수 10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5일]
□ ‘장기기증 희망 등록’ 16살부터 가능 … 기증 문화 확산할까? 장기기증 희망등록은 사고 등 갑작스러운 경우에도 기증 의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임. 올해 7월부터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부모의 동의 없이도 희망등록을 할 수 있는 나이가 16살부터로 낮아졌으며, 이전처럼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요구하지 않음. 신규 희망등록자 수가 매년 10만 명 정도에 머무는 상황에서 기증 문화 확산을 위해 요건을 바꾼 것이라고 함. 기사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316775&ref=A □ AI로 신약개발 시간 줄이고 … 유전체 빅데이터 `개인 맞춤의료` 바이오·제약의료 산업에 AI(인공지능)·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빠르게 녹아들면서 인간 고유의 유전체 정보를 빅데이터 기법으로 해석해 개인별로 맞춤형 건강관리 및 치료하는 시대도 목전에 와 있음. 미...
2019.11.15 조회수 9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4일]
□ 신생아 '유전자검사' … 기대만큼 '우려' 왜 커지나 유전질환의 감별진단에 유전자검사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질병 진단 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옴. 유전자검사가 개인별 맞춤 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생아에게 질병 진단이 아닌 선별검사를 위해 활용할 경우 윤리적 문제가 뒤따를 수 있기 때문임. 기사 :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191 □ 복지부, 제대혈관리업무 심사ㆍ평가 운영위원회 신설 제대혈관리업무 심사ㆍ평가 운영위원회가 신설됨.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제대혈관리업무 심사ㆍ평가 규정'을 1일 일부 개정함. 이 개정안을 통해 질병관리본부장이 외부전문가를 심사ㆍ평가 위원으로 위촉 심사ㆍ평가 업무에 참여하게 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됨. 복지부는 제대혈의 품질관리 ...
2019.11.15 조회수 10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1일]
□ 연명의료지원팀 운영에 건강보험 수가 적용 확대 … 참여기관 모집 〇 보건복지부가 연명의료 시술을 할 수 없어도 말기 환자를 위해 연명의료지원팀을 운영하는 의료기관에 건강보험 수가를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힘. 보건복지부는 '연명의료 결정 관련 시범사업 지침'에 이런 내용을 반영하고 내달 6일까지 시범사업 참여 기관을 모집함.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yna.co.kr/view/AKR20191101045300017 * 관련기사: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917 https://www.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5202 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794 □ 치과의사는 치매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〇 조금이라도 인지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치과 치료의 중요한 결정을 혼자서 내려도 되는 걸까? 게다가 주로 개인의 의사...
2019.11.15 조회수 10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31일]
□ 새 유전자검사로… 6·25 전사자, 발굴 10년 만에 가족 품에 〇 2009년 강원 인제군 일대에서 발굴된 6·25 참전용사의 유해가 10년 만에 신원이 확인돼 가족 품에 돌아갔음. 국방부와 국가보훈처는 31일 경기 부천 보훈회관에서 고 김영인 육군 결사유격대원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를 열고 유가족에게 신원확인통지서 등을 전달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1101024003 □ 담양군, "장기기증 등록기관 지정" 지역사회 장기기증 공감대 확산 〇 앞으로 담양군에서도 ‘장기 기증 희망 등록’ 상담과 신청이 가능해짐. 담양군(군수 최형식)은 장기기증을 희망하는 주민들이 보다 쉽게 생명나눔 서약을 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에 장기이식 등록기관 지정을 요청한 결과 최근 등록기관으로 지정됐으며, 11월부터 장기 기증 등록 상...
2019.11.15 조회수 9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30일]
□ 탈모 예측하고… 궁합 확인하고… 유전자검사의 진화 〇 유전자 검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깊숙이 우리 삶에 들어와 있음. 친자 확인뿐만 아니라 범죄현장 감식에서도 유전자검사가 필수가 된 지 오래임. 질병이 발병할 가능성을 알려주고 더 나아가 유전자분석으로 맞춤형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서비스까지 속속 나오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029/98121409/1 □ 장기기증 과정 통해 삶과 죽음의 경계 되묻다 〇 현대 프랑스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 마일리스 드 케랑갈의 베스트셀러 장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모노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가 국내 초연됨. 작품은 원작 소설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를 한 명이 연기하는 1인극. 불의의 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은 19세 청년 '시몽 랭브르'의 심장을 24시간 동안 50세 여성에게 ...
2019.11.15 조회수 9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9일]
□ 생명나눔 문화 확산 모두가 나설 때 〇 장기기증 활성화와 사회적 인식 전환을 통한 생명나눔 문화 확산을 도모하는 자리가 마련됐음. 생명잇기·한국장기조직기증원·대한이식학회·한국장기기증네트워크는 10월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생명잇기 국회 정책토론회'를 열고 '생명나눔 주간 활성화 및 생명나눔 기념공원 추진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613 □ '의료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국제 심포지엄 〇 의료 분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현황과 미래를 예측하고, 이해의 폭을 높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됨. 청년의사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대한민국의학한림원·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가 후원하는 국제 심포지엄 '리더십 심포지엄: 의료인공지능의 ...
2019.11.15 조회수 8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8일]
□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지 〇 대한의사협회는 연명의료 중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원칙을 견지함. 첫째, 연명의료 중지에 대한 논의는 환자의 치료 거부권(right to refuse medical treatment)의 맥락에서 논의해야 하며, 환자의 죽을 권리(right to die)와 연결지어서는 안 됨. 둘째, 연명의료 중지에 대한 논의는 임종기환자 혹은 말기환자 등 환자의 회생가능성이 없는 경우를 전제로 하며 회생가능성이 있는 환자와 연결지어서는 안 됨.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585 □ 포항시, 장기기증 등 홍보관 조성, ‘생명나눔 문화’ 확산 〇 포항시 북구보건소는 23일 흥해 종합복지문화센터에서 장기 기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과 생명나눔 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관을 운영했음. 장기 기증은 ‘다른 사람의 장기 등의 기능회복을 위해 대가 없이 자...
2019.11.15 조회수 8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5일]
□ 물파스로 중풍 예방? 대한약사회, 심각한 윤리 위반 지적 〇 최근 유튜브를 통해 확산되면서 품절사태까지 빚은 '동물구충제'의 항암 효과 논란과 한의사가 TV 방송을 통해 밝히면서 국정감사에서도 문제가 된 '물파스로 중풍 예방' 등 의학적 근거가 없는 주장에 대해 대한약사회가 일침을 가하고 나섰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562 □ 광주시의회, 헌혈과 분리 장기기증 조례 제정 ‘눈길’ 〇 광주광역시 의회가 그동안 헌혈과 장기기증을 함께 운영해오다 장기기증을 따로 떼어내 장기기증 활성화 조례를 만들어 눈길을 끌고 있음. 김용집 광주시의원이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을 활성화해 생명나눔 문화를 확산하고자 대표 발의한 ‘광주광역시 장기 등 인체조직 기증장려 조례안’이 22일 본회의를 통과함. * 기사원문...
2019.11.15 조회수 8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4일]
□ 네오크레마, 장건강(변비,장내미생물) 개선 임상시험 위한 IRB 승인 〇 네오크레마(대표 김재환)는 장건강(변비,장내미생물) 개선에 대한 갈락토올리고당[GOS(Galactooligosaccharide) ]의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해 인체 적용평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로부터 인체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고 22일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106 □ 인공지능 시대의 보건의료와 표준 〇 4차 산업혁명 시대다.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여러 분야에서 폭발적으로 접목·융합되고 있으며, 보건의료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음. 데이터 분석으로 질병 예방이 가능하게 됐고, 가장 적절한 치료를 받을 가능성도 커졌다. 의료 빅데이터가 클라우드에 올라가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대는 성큼 가까워짐. * 기사원문 보...
2019.11.15 조회수 8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3일]
□ 국민권익위,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 기관 보건소 확대 권고 〇 국민권익위원회가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등과 관련해 발생하는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연명의료결정제도의 이용 절차 접근성 제고를 위해 등록기관을 전국 보건소로 확대할 것을 권고했음. 연명의료결정제도의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은 도입 1년 6개월이 지난 2019년 7월 말 현재 약 30만명이 신청하는 등 이용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521 □ 젊은 혈액, 회춘-노인질환 치료 실마리 될까 〇 혈액이 젊음의 원천은 아니지만 분자 중 일부는 뉴런과 혈관을 재생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연구원들은 말함. 2005년 스탠포드 대학(Stanford University) 과학자들이 나이가 많은 유기체의 조직 재생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진은 늙은 쥐...
2019.11.15 조회수 8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2일]
□ 각 지역 병·의원들 호스피스의 날 ‘합동 기념행사’ 개최 〇 올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념 슬로건은 환자와 가족의 어려움을 함께 한다는 의미의 '아픔을 덜고 마음을 채우다'임. 이번 기념 행사는 지난 6월 발표된 '제1차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2019년 2023년)'에 따라 호스피스와 연명의료결정 분야의 종사자 및 관계자들이 함께 하는 첫 번째 기념식으로 그 의의가 깊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49346 □ 뇌사 장기기증인 유가족·이식인 “아픔 보듬고 내일의 희망 발견” 〇 뇌사 장기기증인들의 숭고한 사랑을 기리고, 가족을 잃은 슬픔과 고통 속에서도 생명을 살리기 위한 고귀한 결정을 내린 유가족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자리가 마련됨. 특별히 건강하게 살아가고 있는 이식인들이 함께해 의미를 더했음....
2019.11.15 조회수 8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1일]
□ “간 이식수술 뒤 후유증"…생존 장기기증자 3만명 첫 전수조사 〇 정부가 최씨와 같은 생존 장기기증자 전원을 대상으로 기증 후 임상경과 조사에 나섬. 그동안 특정 장기 기증자 일부에 대한 설문이나 추적조사는 있었지만, 생존 기증자 전부를 대상으로 한 건강연구는 이번이 처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211690380789 □ 中이어 러시아서도 `유전자편집 아기` 시도 〇 러시아에서 유전적 청각 장애를 가진 부부 5쌍이 배아(수정란) 유전자 교정에 동의한 것으로 확인됐음. 유전자 교정을 통해 태어날 아기의 청각 장애 원인 유전자 돌연변이를 교정해 정상적인 청각을 가진 아이를 출산하기 위해서임. 실제로 이 같은 유전자 편집 아이가 탄생하면 이를 둘러싼 전 세계적인 윤리 논란이 또다시 거세질 것으로 보임.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mk.co.kr/news/...
2019.11.15 조회수 10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18일]
□ 정확한 분석·빠른 속도…AI 진단 '일신우일신' 〇 최근 들어 인공지능(AI)을 통해 의료의 미래를 가늠하는 시간과 마주하고 있음. AI의 핵심가치는 완벽에 가까운 정확도를 구현해 인간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음. 의료 영역에도 인공지능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각종 영상자료에 대한 딥러닝을 통해 암·폐질환·골연령·뇌 실질 위축정도 등에 대한 진단보조 소프트웨어가 속속 개발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446 □ 韓 의료AI 기술, 해외 수출 본격화..의료산업 성장 마중물 기대 〇 우리나라 의료 인공지능(AI) 기술이 아시아 전역에 뿌리를 내림. 세계 수준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 역량이 합쳐진 결과물에 아시아 국가 러브콜이 잇따르면서 우수성을 입증. 인포메디텍, 셀바스AI, ...
2019.11.15 조회수 8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17일]
□ 인천성모병원 ‘제1회 의료윤리 집담회’ 개최 〇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은 지난 15일 병원 대강당(마리아홀)에서 ‘제1회 의료윤리 집담회(Ethics Grand Round)’를 개최했음. 의료윤리 집담회는 의료진이 진료현장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및 딜레마를 서로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임. ‘연명의료 결정제도 임상의료 윤리사례’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집담회는 인천성모병원 교직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566 □ 법 지키면 바보?…이춘재 잡은 유전자 분석 현실 ‘처참’ 〇 해외 법인 설립 등으로 DTC 허용 항목 이외 제품을 판매하려는 회사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음. 이는 유전체 검사 관련 규정이 국내 업체에만 제약이 있다는 맹점을 파고든 것. 유전자 검사 관련 법령...
2019.11.15 조회수 8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16일]
□ 대한적십자사, 생명윤리법 위반 논란 〇 대한적십자가 최근 5년간 8700여 건의 검체를 타 기관에 제공한 것으로 확인됐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은 2019년 10월 15일(화)《2015-2019.6 연도별 연구용 혈액(검체) 공급 현황》자료를 공개. 과거 2004년 대한적십자사의 일부 부적격혈액의 출고로 인한 감염사고로 혈액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불안감을 확산시켰던 사실을 모두 기억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m.whosaeng.com/113258 □ 연명의료 중단 가능 요양병원 전국 43곳 뿐…부산·인천·세종 1곳도 없어 〇 연명의료를 중단할 수 있는 요양병원이 전국 43곳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일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6일 국가생명윤리정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8월까지 병원 내에서 사망한 환자...
2019.11.15 조회수 8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15일]
□ 과기한림원, '세포치료와 생명윤리'주제 원탁토론회 개최 〇 수년간의 논란 끝에 국회를 통과한 일명 ‘첨단 바이오법’이 난치성 질환 치료에 대한 기대감과 동시에 세포치료제의 안전성 및 윤리에 대한 우려도 낳고 있는 가운데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세포치료의 생명윤리에 대해 토론함.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오는 17일 오후 3시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세포치료와 생명윤리’를 주제로 제143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588326622653576&mediaCodeNo=257 □ 의료기관 유상 잔여검체 제공 시 30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〇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잔여 검사 대상물(검체) 제공과 관련하여 신설된 의무 등을 위반한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
2019.10.19 조회수 19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14일]
□ 당신의 연구는 안전한가요? IRB 신호등에 초록불이 켜지면 건너가세요 〇 우리나라 헌법은 부당한 제재나 간섭 없이 자유롭게 학문을 탐구할 수 있는 권리인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모든 권리가 그러하듯 학문의 자유 역시 무제한으로 추구될 수 없으며 그에 대한 책임이 따름. 아무리 좋은 목적을 지닌 연구일지라도 연구참여자를 착취하는 과정을 정당화할 수는 없기 때문. * 기사원문 보기 :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34 □ 연명의료 중단 가능한 의료기관 6.5%, 요양병원은 2.7% 불과 〇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민주 윤일규 의원과 남인순 의원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이 같이 지적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
2019.10.19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11일]
□ 장기 이식 대기자 3만9000명…기증 동의해도 사후 가족 동의 받아야 〇 “아내가 신장을 기증한 후 감동을 받아 저도 생명을 나누겠다는 뜻을 품었습니다. 신장 두 개 중 하나는 다른 사람에게 나눠주라고 있는 것 같아요.” 지난 10일 얼굴도 모르는 한 60대 기초생활수급자 남성 김모씨에게 아무 대가 없이 자신의 신장 하나를 떼어준 구신용 목사(51·사진)는 이같이 말했음. * 기사원문 보기 :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910119070i * 관련기사: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7512 □ 아픔을 덜고 마음을 채우다” 「제7회 호스피스의 날」기념식 개최 〇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0월 11일(금) 오전 11시, 서울 마포구 베스트 웨스턴 프리미어 서울가든호텔에서 ‘제7회 호스피스의 날 기념식’을 개최함. 중앙호스피스센터...
2019.10.19 조회수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