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8일]
□ 해외 셀렙 출산 트렌드, 대리모 〇 할리우드 셀렙들이 대리 출산에 적극적인 이유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법이 상업적 대리 출산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 조지아주, 플로리다주에서도 대리 출산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음. 미국 내 대리 출산을 허용하는 주에서 미국 국적의 여성에게 대리 출산을 의뢰할 경우 보통 1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 * 기사원문 보기: http://woman.donga.com/3/all/12/1810025/1 □ 인공지능의 빠른 확산! 윤리 프레임워크 고민도 시작해야 〇 IT 분야의 전문가들은 향후 2년 동안 AI와 머신러닝의 도입 비율이 급격하게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음. 이 두 가지 기술을 통해 이전에 없었던 영업 이익을 거둘 것을 업체들은 기대하고 있고, 이에 IT 담당자들은 인공지능을 사업에 접목하기 위한 갖가지 시도들을 진행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
2019.08.12 조회수 12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7일]
□ "유전자검사로 암을?"…韓DTC업계 아슬한 법망 줄타기 〇 DTC유전자 검사는 소비자들이 병원을 거치지않고 민간 유전자검사 업체에게 직접 의뢰해 받는 검사 방식. 검사키트로 입안 상피세포를 채취해 검사를 의뢰하면 2주 안에 결과를 받아볼수 있는데, 현재 검사가 가능한 항목은 피부노화, 혈당, 협압 등 12가지 뿐. 정부가 항목을 57개까지 늘린다고는 하지만 정확한 시점은 명확하지 않음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mtn.co.kr/v/2019080710544143989\ □ 심 정지…뇌사…죽음이란 무엇입니까? 〇 벵상 랑베르, 자히 맥매스. 42세 프랑스인 간호사와 13세 미국인 소녀는 연결점이 없어 보이지만, 각 나라에서 최근 안락사에 대한 논쟁을 불러온 이름이라는 공통분모를 지녔음. 벵상은 오토바이 사고로 식물인간 상태에 있다가 법원에서 연명의료 중단 판결을 받았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
2019.08.12 조회수 10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6일]
□ 장기 이식 허용범위 확대 〇 장기 이식은 2007년 9월 28일 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췌도, 소장도 이식 가능한 장기의 범위에 포함됐음. 또 2012년 12월 4일에는 대통령령으로 위장, 십이지장, 대장, 비장의 이식을 허용. 지난해에는 대통령령이 개정(8월 9일)되면서 손 및 팔, 말초혈 이식도 가능해졌고, 법률 개정(12월 11일)을 통해 각막에서 안구로 이식 허용 범위가 넓어졌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563 □ 젊은 혈액 성분으로 만든 치매 치료제, 임상시험 〇 젊은 사람의 혈액 성분으로 만든 치매 치료 후보물질(GRA 6019)이 임상시험에서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음. 경증 내지 중등도 치매 환자 40명(60~90세)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진행된 2상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이 치료제를 개발한 미...
2019.08.12 조회수 9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5일]
□ 뉴질랜드 낙태규제 완화…임신 20주 이전엔 의사 동의 없이 가능 〇 뉴질랜드가 임신 20주 이전 낙태 시술을 전면 허용하는 등 낙태 규제를 대폭 완화하기로 했음. 뉴질랜드 정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낙태를 범죄가 아닌 건강 문제로 다루는 방향으로 낙태 관련법을 개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고 AP,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190805125700009 □ 佛, 독신여성·레즈비언 커플에도 체외수정 허용 추진 〇 프랑스 정부가 독신 여성이나 레즈비언(여성동성애자)들도 체외수정 등 난임·불임 시술을 허용하기로 했음. 2013년 동성 결혼 합법화 이후 체외수정(IVF)을 레즈비언 커플이나 싱글 여성에게도 허용하고 공공의료보험 혜택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자 이를 전격 수용한 것.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
2019.08.12 조회수 9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일]
□ '유전자가위' 몸속에 넣어 난치병 치료 첫 발 〇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를 몸속에 넣어 선천성 안질환을 고치는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열림. 미국 바이오기업 에디타스메디슨과 아일랜드 제약사 앨러간이 미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사람 대상 임상승인을 받았음. 지금까지 허가받은 유전자편집 연구는 몸밖으로 세포를 꺼내 유전자를 편집한 뒤 다시 넣어주는 방식이었음 * 기사원문 보기: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73144141 □ 일 연구진, 쥐 자궁서 인간 장기 만든다... 윤리적 문제는 여전히 숙제 〇 생쥐나 돼지 등 동물의 자궁을 빌려 인간의 장기를 만드는 길이 열리게 됨. 유전자를 조작한 쥐의 수정란에 인간의 역분화줄기 (iPS) 세포를 넣어 동물성 집합배아를 만든 뒤, 이를 쥐의 자궁에 이식해 분만하는 실험이 이론에서 추진됨.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nga.com/news/article...
2019.08.02 조회수 11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일]
□ AI 의료영상 분석 시스템 도입하는 은평구보건소 〇서울시 은평구가 오는 9월부터 보건소에 인공지능(AI) 의료영상 분석 시스템을 적용해 임상 현장에서 사용. 은평구는 ㈜LG CNS를 사업자로 선정해 ‘민간클라우드 기반 AI 의료영상 분석 보조서비스 사업’을 진행한다고 31일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0818 * 관련기사: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80171711 http://scimonitors.com/lg-cns-%EC%9D%80%ED%8F%89%EA%B5%AC-%EB%B3%B4%EA%B1%B4%EC%86%8C-%ED%81%B4%EB%9D%BC%EC%9A%B0%EB%93%9C-%EA%B8%B0%EB%B0%98-ai-%EC%9D%98%EB%A3%8C%EC%98%81%EC%83%81-%EB%B6%84%EC%84%9D-%EB%B3%B4/ □ 암이지만 알 필요 없어?...'환자 알권리와 자기결정권'을 묻다 〇 환자가 더는 치료가 힘든 중증질환이라고 판단한 의사가 그 사실을 ...
2019.08.02 조회수 9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31일]
□ SNP 유전자 진단 믿을 수 있나? 〇 최근 소비자들로부터 의뢰를 받아 유전자 검사를 해주고 있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음. 떨어져 살았던 부모를 밝히는 것을 넘어 암 등의 불치병을 사전에 진단하고,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기 유전자를 검사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음. 그러나 유전자 검사 결과로 인해 소비자들이 스스로 잘못된 진단을 하고 수술 등 극단적인 예방조치를 하고 있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영국 의료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sciencetimes.co.kr/?news=snp-%EC%9C%A0%EC%A0%84%EC%9E%90-%EC%A7%84%EB%8B%A8-%EB%AF%BF%EC%9D%84-%EC%88%98-%EC%9E%88%EB%82%98 □ 인공지능·3D 프린팅 등 첨단기술 접목 많아진 의료영상 〇 대한의학영상정보학회가 최근 인공지능(AI) 및 3D프린팅과의 접목이 높아진 의료영상의 실무적 활용을 위한 논의를 개진하고 있음. 의료영상...
2019.08.02 조회수 9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30일]
□ 연명의료결정제도 시행 1년 반, 연명의료 유보·중단 5만 3000명...환자 자기결정권 얼마나 보장되고 있나 〇 지난해 2월 시행된 연명의료결정제도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사람은 약 25만명으로 확인됐음. 연명의료결정제도를 통해 연명의료유보나 연명의료중단을 한 임종기 환자도 5만30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음. * 기사원문 보기:https://medigatenews.com/news/1797866717 □ "대리모 알선합니다"…간절함 이용한 은밀한 거래 〇 우리 사회는 대리모 시술이 법적으로 금지돼 있는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상업적 거래가 허용돼 있는 것도 아님. 그러나 인터넷에서 대리모가 은밀하게 거래가 되고 있고, 또 시술을 위해서 해외로까지 나가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imnews.imbc.com/replay/2019/nwdesk/article/5428856_24634.html?menuid=nwdesk □ 의료윤리자문 활성화, 환자와 의사 간 신...
2019.08.02 조회수 9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29일]
□ 연명의료결정법, 요양병원에서는 1%도 시행 어려워 〇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 지 약 1년이 지났지만 요양병원에서는 실행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목소리가 제기됨. 현재 국내 병원계에서 의료기관윤리위원회를 설치, 연명의료계획서를 수용하는 기관은 상급종합병원이 대부분. 마찬가지로 임종이 임박한 환자를 주로 돌보는 요양병원에서는 연명의료계획서 진행이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졌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45643 □ 유전자 변형으로 탄생시킨 아기, 전방욱 '크리스퍼 베이비' 〇 '크리스퍼 베이비'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사용해 세계 최초로 유전자가 편집된 아이를 탄생시킨 중국의 과학자 허젠쿠이(35)의 발표 내용을 정리한 책. 지난해 11월8일 '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안토니오 레갈라도는 허젠쿠이가 인간 배아 편집을 통한 출산 시험...
2019.08.02 조회수 8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17일]
□ 머스크, 이번엔 뇌 이식 실험…"인간 두뇌와 컴퓨터 연결" 〇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인간 두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뇌 이식 기술을 개발해 내년 말 인체 실험을 추진한다고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 등이 전했음.머스크 CEO는 전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연구 성과를 소개. 그는 1억달러를 출자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뉴럴링크’를 통해 2017년부터 뇌 이식 기술을 개발해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907183723i * 관련 기사: http://www.hani.co.kr/arti/science/future/902499.html □ 의협 "본인 작성 안한 연명의료계획서 무효 법안 반대" 〇 환자 본인이 작성하지 않은 연명의료계획서를 무효화하고, 호스피스연명의료위원회를 국무총리실 산하에 두게 하는 개정안에...
2019.07.21 조회수 14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16일]
□ DTC유전자검사・탄천수소충전소, 계획대로 추진 중 〇 “DTC 유전자검사 및 탄천수소충전소 실증특례는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는 17일 서울경제가 보도한 ‘규제 푼다던 복지부 이제와서 딴지...DTC 사업 시작도 못해’제하의 기사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533 □ "치매 유전자 있어도 발병 억제"…`4가지` 지켜라 〇 치매 위험을 높이는 변이유전자를 가졌어도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생활습관만 잘 지키면 치매 발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음. 치매 위험을 높이는 변이유전자와 함께 4가지 생활습관인 ▲운동 ▲금연 ▲육류는 적고 과일·생선이 많은 식단 ▲음주 제한(남성 하루 2잔, 여성 1잔 이하)을 기준으로 생활습...
2019.07.21 조회수 12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15일]
□ 국방의 이슈 '인간의 중추신경+최첨단 과학 기술' 〇 현재 미 육군연구원 전투력개발센터와 버팔로 대학교는 그동안 일률적으로 무인체계에 적용되었던 알고리즘을 시험 대상인 전투원 30명의 개인성향(idiosyncrasy), 행동(etymology) 그리고 목소리 성향(linguistics)에 따라 무인체계가 어떠한 행동을 보이는지를 연구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therepo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98 □ 크리스퍼 베이비.... 유전자 변형 인간의 탄생 〇 2018년 11월, 유전자 편집 아기들이 태어났다는 뉴스를 접하자마자 이 책의 저자 전방욱은 서둘러 관련 기사와 학술 논문을 모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담은 책의 출간을 준비. 학자로서 쌍둥이의 유전자가 절단된 과정과 그로 인한 잠재적 결과를 이해하거나 평가할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 * 기사원문 보기: http://www.futurekor...
2019.07.21 조회수 9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12일]
□ 늘어나는 연명의료 중단… 가족 불화 불씨 되기도 〇정부가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억제하고 생애 말기의 의료비 지출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겠다며 연명의료결정제도 활성화를 추진 중이지만 한편에선 이 제도가 가족 불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옴. 가족이 치료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전체의 3분의 2에 달하는 만큼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옴.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87895&code=11132000&cp=nv □ 국내 대리모 출산은 법 사각지대 〇 “킴 카다시안, 대리모 통해 넷째 출산” “동성 커플 자식 위해 대리모 돼준 어머니”…. 간간이 언론에는 대리모와 관련한 외신 뉴스가 보도됨. 하지만 국내 대리모 관련 기사들은 주로 대리모 자체가 아닌 사기 혐의나 난자 매매 혐의 등으...
2019.07.14 조회수 18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11일]
□ 보건의료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방안 무궁무진 〇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이 지난 10일 본원 연구동 9층 강당에서 '보건의료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방안의 이해'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음. 공공보건의료연구소가 주최하고, 생명자원센터에서 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은 인공지능 기술이 의료 및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미래 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됨 * 기사원문 보기: http://m.medipana.com/index_sub.asp?NewsNum=242749 * 관련 기사: http://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47293 □ 세상에서 유일한 ‘복제견의 나라’ 〇 지난 6월 프랑스의 유력 일간지 라크루아가 우리를 ‘복제견의 나라(pays des chiens clones)’로 소개했음. 공항의 마약탐지에 복제견을 활용하고, 죽은 애완견을 상업적으로 복제해주는 별난 나라라는 것. ...
2019.07.14 조회수 35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10일]
□ 연명의료결정법 1년 분석해보니…갈 길이 구만리 〇 연명의료결정법 1년 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허대석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팀(유신혜 전임의, 김정선 전공의)은 2018년 2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연명의료결정 서식을 작성한 뒤 사망한 19세 이상 환자 809명을 조사했음.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후 1년간 성인 1137명 환자 중 71.2%(809명)가 법정 서식을 작성.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8191 □ 웰다잉을 위해서는 〇 “죽음은 받아들여야 하는 삶의 일부”라는 웰 다잉 인식이 자리 잡는 가운데, “죽음을 스스로 선택하는 안락사”와 다른 죽음 긍정 문화가 최근 소개되고 있음. 이에 제 6회 웰다잉 포럼이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10일 오후 2시에 개최됨. * 기사원문 보기: http://www.christiandaily.co.kr/news/%EC%...
2019.07.14 조회수 12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9일]
□ “순리에 따라 마무리 하고 싶다” 연명의료결정 환자, 1년새 29배 증가 〇 연명의료결정법(일명 존엄사법) 시행 이후 환자 스스로 연명의료 진행 여부를 결정한 비율이 29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음. 지난해 2월부터 시행 중인 존엄사법은 환자가 스스로 연명의료 의향을 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스로 삶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됐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709/96399590/1 * 관련 기사: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8567 □ ‘치매 로봇, 모바일 헬스’로 노후 준비 〇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6.4%를 차지하는 일본은 세계에서 노인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이에 따라 치매, 독거사(獨居死), 노인 운전자가 일으키는 교통사고 등 다양한 노인 문제가 사회 이슈로 대두되고 있...
2019.07.14 조회수 13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8일]
□ 스스로 존엄사 선택한 환자 100명 중 1명에서 3명 중 1명으로…존엄사법 시행 1년 〇 허대석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팀은 지난해 2월 5일부터 올해 2월 5일까지 연명의료결정 서식을 작성한 뒤 사망한 19세 이상의 성인 환자 809명을 조사했음. 그 결과 환자 스스로 연명의료 여부를 결정하는 서식에 서명한 비율은 29%(231명)이며, 시행 전인 1%에 비해 매우 높아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9801 * 관련 기사: https://news.joins.com/article/23519774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471 □ ‘헌법불합치’ 이후… “낙태 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로” 〇 성산생명윤리연구소·(사)한국가족보건협회 주관, 박인숙 국회의원 주최의 ‘낙태죄 헌재 결정에 따른 입법과제&rsq...
2019.07.14 조회수 14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5일]
□ 인간 이기심 탓 ‘블랙 스완’ 같은 신종 감염병 계속 될 것 〇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 인터뷰. 김 교수는 “과학은 삶을 편하고 윤택하게 하지만 공해, 교통사고, 원자폭탄, 테러 병원체, 항생제 내성균, 원내감염 등 과학기술의 발전 자체로 초래된 어두운 이면이 있다”며 “과학 만능 사회로 가다 보면 반인류적인 일들이 생기기 마련”이라고 함. * 기사원문 보기: https://news.joins.com/article/23517367 □ BBC, 탐사보도...中공산당 생체장기적출은 현재 진행 중 〇 런던에 있는 독립민간재판소는 지난달 17일 중국 공산당이 여전히 양심수의 생체에서 장기를 적출하고 있으며 법적 근거없이 체포된 파룬궁 수련자들이 장기의 가장 중요한 공급원이라고 판결. 재판부는 이러한 혐의에 대해 반(反) 인류죄와 대량 학살죄를 적용해 유죄 선고하며 중국 공산당을 범죄 ...
2019.07.08 조회수 12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4일]
□ 의료 인공지능 시대…젊은 의사들의 과제 〇 조금은 보수적인 국내 의료계에서 ‘인공지능(AI)의 절대적 필요성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마주하고 있는 우리는 이제 이 질문에 답을 해야 함. 의사들에게 던진 이 질문은 아마도 미래 의료 혁신을 위한 과제이며 경쟁력 있는 변화의 마중물이 될 것이기 때문. 내달 13일 젊은 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 인공지능(AI) Keytalk’이라는 행사가 개최됨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70276 * 관련기사: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44763 □ IBM 왓슨, 의약품‧의료AI 효과논란과 판매부진에 서비스 중단위기 〇 IBM이 의약품 개발과 의료목적 인공지능(AI) 시스템 판매를 사실상 중단하기 한 것으로 알려졌음. 미국 ‘stat’는 IBM이 내부적으로 의약품 개발...
2019.07.08 조회수 11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7월 3일]
□ 국민 10명 중 8명 “의료인에 낙태시술 결정권 줘야” 〇 성산생명윤리연구소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낙태관련 시민여론조사 결과, 낙태시술을 거부하는 의사들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77.8%가 의사들의 양심과 신념을 존중해 줘야 한다고 응답했음(신뢰수준 95%, 오차범위 ±3.1%p).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9893 * 관련 기사: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23694 □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환자 하루 5.2명…국민인식 개선 절실 〇 장기·조직기증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명 나눔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음. 우리나라 장기기증자 수는 지난 2000년 52명으로 시작해 2010년 268명으로 급증한 이후 2016년 573명까지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지난 2017년 515명으로 ...
2019.07.08 조회수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