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3일]
□ 심각한 생명과학연구 '서울대 카르텔'…교육부 내주부터 특별조사 〇 최근 일부 대학 이공계 교수들의 자녀 논문 공저자 문제 등 연구윤리 위반 사례가 다수 적발된 가운데, 이 같은 연구부정·비리가 가능했던 이유가 출신대학, 특히 뿌리 깊은 '서울대 카르텔' 때문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601_0000668911 □ 혁신은 '후퇴' 규제는 '정체'..K-헬스케어 경쟁력 어둡다 〇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혁신성장이라는 산업적 접근과 포용적 복지국가 실현 도구라는 두 가지 관점을 모두 강조하고 있음. 보건과 복지뿐 아니라 산업 파급효과도 큰 만큼 고령화, 기간산업 침체 등 우리나라가 직면한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음. 그러나 산업계는 정부가 혁신성장, 포용적 복지국가 실현 중 어느 것도 제대로 이룰 정...
2019.06.03 조회수 24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1일]
□ 3700명 속인 인보사 사태 주범은 식약처, 다른 문제 또 있다 〇 '만능 관절 주사'로 이름을 떨치던 국내 첫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추락.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2017년 7월 시판 허가를 내준 뒤, 약 3700명의 환자들이 이 주사를 맞았음. 2019년 3월 22일 개발사 코오롱생명과학이 식약처에 주사의 주요 성분인 유전자 세포가 신장세포로 바뀌었다는 보고를 하기까지, 이 주사의 인기는 의료 시장은 물론 주식 시장까지 영향을 미쳤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41425 * 관련기사: http://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531030004 □ 현대 의학, 죽은 뇌세포를 살리다! 〇 줄기세포를 이용해 뇌세포 수백만 개로 구성된 미니 뇌를 만들었는데 이 뇌가 빛 등 자극에 반응하거나, ‘의식’을 갖게 된다면 어떨까. 치료 목적으로 환...
2019.06.03 조회수 18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0일]
□ 삼성, AI 의료로봇 스타트업 투자...로봇사업 영토확장 〇 삼성전자가 헬스케어용 로봇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다양한 로봇시장 개척을 준비하고 있음. 올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처음으로 로봇 라인업 3종과 웨어러블 보행보조장치를 선보인 삼성전자는 특히 고령화되는 사회와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헬스케어 전용 로봇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 * 기사원문 보기: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19/05/30/2019053000236.html * 관련기사: https://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53108493282861 □ ‘높아진 위상’ 韓뇌과학..."여전히 지원 부족" 〇 29일(현지시간) 제4회 한·영 리서치 컨퍼런스가 열린 영국 밀턴케인스에서는 흥미로운 연구과제와 결과 발표가 쏟아졌고, 특히 이날 재료과학과 함께 양대 발표주제였던 뇌과학 분...
2019.06.03 조회수 1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9일]
□ 인보사 사태, '과학 사기 시나리오' 그대로… 〇 '인보사 사태'는 현재 국내 신약개발역사에 블록버스터급 흑역사를 기록 중. 주연은 관리감독의 책임을 맡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그리고 제품의 개발과 판매를 맡은 코오롱생명과학이다. 조연은 가짜 성분이 포함된 관절염 유전자 치료제를 진짜로 알고 맞은 환자들임. * 기사원문 보기: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242965#09T0 □ 의료기관 안전기금‧처방안전관리료 신설 요구 나선 醫 〇 대한의사협회가 ‘환자안전의 날’(5월 29일)을 맞아 ‘의료기관안전기금’ 설치·운영과 (가칭) ‘처방안전관리료’ 신설을 정부에 요구했음. 의협은 지난 27일 환자안전의 날과 관련한 입장을 통해 이같이 밝힘.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8737 □ 수술...
2019.06.03 조회수 2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8일]
□ 동물대체시험법 확대해야 〇 과학연구 분야에서 동물실험을 줄일 '대체시험법' 연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법안 마련을 촉구하는 국회 토론회가 30일 열림. 국제 동물보호단체인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SI)'과 동물권연구변호사단체 '피엔알'은 남인순, 박경미, 박완주, 이상민, 위성곤 국회의원과 국회 4차산업혁명포럼이 30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동물생명윤리를 반영한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법안 토론회’를 주최한다고 28일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9016 □ 국산 혁신신약의 잇단 몰락…`인보사 사태`로 신뢰성 도전 〇 `품목허가 취소`라는 결과가 나온 `인보사 사태`로 국산 혁신신약 개발에 도전하고 있는 제약·바이오업계와 바이오·헬스 분야를 신성장산업으로 삼은 정부는 `신뢰 회복`이라는 ...
2019.06.03 조회수 15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7일]
□ 위험은 가역적, 편익은 커…DTC 항목 확대해야 〇 `산업 확대효과 최소 1조 585억원, 고용창출 효과 최소 3만 6700여 명.` 김태윤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바이오 규제개선 효과분석 및 해외 정책이슈 조사·분석 연구`에서 소비자 직접 의뢰(DTC) 유전자 검사 허용범위 확대의 편익과 비용을 분석한 결과임.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5/352138/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의 애로점들 〇 비영리민간단체의 경우 행복한 삶과 아름다운 마무리에 대한 연구, 홍보, 교육, 출장에 이르기까지 자원봉사와 자원봉사자의 협조에만 의존하는 실정이어서 애로가 많다고 함. 작년까지는 중앙정부의 지원금이 약간 있었지만 올해는 없고. 올해 초 지자체에 지원요청을 했지만 예산이 없다고 함. * 기사원문 보기: http://www.seniormaei...
2019.06.03 조회수 12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3일]
□ 바이오 빅데이터·AI지원 환영할 일, 개인정보 유출 철저히 대비해야 〇 정부의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발표에 대해서 학계와 병원 연구기관, 기업에서는 이번 정책을 환영하면서도 실효성이나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해 우려를 나타냄. 부작용을 막기 위해 역시 정부 주도 하에 감시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반응임. * 기사원문 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8873 □ 문 대통령 "제약·생명공학이 경제 이끌 것"...3대 신산업 육성 박차 〇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산업 현장을 찾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은 충북 지역을 찾아 제약과 생명공학 산업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혔음. 제약과 생명공학 산업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갈 시대가 멀지 않았다면서, 전문 인재 양성과 대규모 투자를 약속함.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ytn.co.kr/_ln/0101_201905222156132506 * ...
2019.05.27 조회수 1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2일]
□ 사역견 비극 또 없도록…동물실험윤리위 인원제한 철폐 검토 〇 최근 은퇴 사역견 '메이'를 대상으로 한 서울대 동물실험이 사회적 파문을 몰고 온 가운데 '제2의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강화하는 방안이 추진됨. 21일 관가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제도의 실효성을 보강하는 방안을 내부 검토하고, 그 초안을 회람한 것으로 알려졌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5/331942/ □ 산부인과 의사의 양심에 따른 낙태 거부, 입법 과정에서 진지하게 고려돼야 〇 지난달 11일 헌법재판소(헌재)는 낙태한 여성을 처벌하는 규정인 형법 269조 1항과 동의를 받아 낙태 시술을 한 의사를 처벌하는 규정인 270조 1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음. 아울러 내년 12월 31일까지는 낙태죄 관련 조항을 개정하도록 했음. 이...
2019.05.27 조회수 13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1일]
□ 의사국시 필기과목에 ‘연명의료결정법’ 추가 〇 내년도부터 의사국가시험 필기과목에 ‘연명의료결정법’이 추가됨. 보건복지부(장관·박능후)는 예비 의료인의 교육과정에서 임종기 환자의 의료 관련 법·제도에 관한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의사국가시험 필기과목 중 ‘보건의약관계 법규’에 ‘연명의료결정법’을 추가하는 내용을 담은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오는 6월 26일까지 관련 개인 및 단체 의견을 수렴.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903 * 관련기사: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606 □ 존엄사 논란 '11년 식물인간' 佛남성, 연명의료 중단 개시 〇 11년간 식물인간 상태로 지내온 프랑스 남성이 20일(현지시간)부터 연명의료를 중단하게 됐다...
2019.05.27 조회수 18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0일]
□ 건강관리서비스 통한 ‘만성질환자 관리’ 어디까지 가능? 〇 보건복지부가 의료행위와 건강관리서비스를 구분하는 가이드라인과 사례집을 처음으로 마련해 공개했음. 이번 사례집은 지금까지 건강관리서비스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포괄적이어서 의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업계의 요구와 만성질환 증가 등에 따른 국민들의 다양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8435 □ 의사들의 TV 출연부터 지하철광고까지 만연한 의료상업화, 의료의 가치를 추구할 수 없는 왜곡된 의료제도 탓인가 〇 선진사회에서 도시의 의사들은 대부분 메디컬 오피스 빌딩(medical office building)에 들어가 있음. 상가건물의 입주는 실제로 매우 드문 일. 우리나라에서 각종 영상매체에 등장하는 의사의 노출 건...
2019.05.27 조회수 11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6일]
□ 캠브리지 컨설턴트, AI 활용한 의료-뷰티 솔루션 공개 O 영국 기술컨설팅 기업 캠브리지 컨설턴트가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의료, 뷰티 등 다방면에서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했음. 캠브리지 컨설턴트는 14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한 간담회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한 사례를 선보임 * 기사원문 보기: http://www.zdnet.co.kr/view/?no=20190514154959 * 관련기사: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085 □ 높은 평가를 받는 연명의료결정법 〇 오랜 사회적 논의와 합의의 결과로 탄생한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자기결정권 등 당시 대법원의 판례 취지를 담고 있음. 아직은 불완전하지만 최소한 합법적으로 연명의료를 중단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점은 높게 평...
2019.05.16 조회수 15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5일]
□ 돼지몸서 이식용 장기생산 연구 본격 나설 것 〇 돼지의 몸에서 인간의 장기를 키우는 실험이 국내 기관의 생명연구윤리위원회(IRB)를 처음 통과. 인간의 역분화줄기세포(iPSc, 유도만능줄기세포)와 면역력을 제거한 ‘면역결핍돼지’의 초기배를 결합시킨 뒤 특정 장기를 인간의 세포만으로 키우는 실험으로, 세계적으로도 아직 성공사례가 없는 도전적인 연구로 꼽힘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sedaily.com/NewsView/1VJ51BE0I4 * 관련 기사: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8699 http://news.donga.com/3/all/20190514/95518805/1 □ 정부 규제개선 외치지만…현장선 "여전히 속도 느려" 〇 문재인 정부 들어 ‘제2벤처붐’ 조성을 목적으로 벤처·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규제 개혁 속도를 내려고 하지만, 여전히 업계에선 “속도가 더디...
2019.05.15 조회수 23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4일]
□ 돼지서 이식용 장기 생산 본격 추진…건국대 기관IRB 첫 승인 O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돼지에 주입해 질병 치료에 필요한 장기를 생산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본격 추진됨.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다 자란 피부세포 등을 이용해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분화능력을 가진 원시 상태로 되돌린 줄기세포로, 역분화줄기세포라고 하는데, 사람의 난자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가 없는 게 가장 큰 장점.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5/314527/ □ "국민 건강위해 의료기기 쓰겠다" 선언한 한의사들 〇 한의사들이 의료법 등에 막혀 제대로 쓰지 못했던 의료기기를 사용하겠다고 선언했음.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모든 한의원에서 한약을 짓기 전 혈액검사를 의무적으로 시행. 하반기에는 추나치료를 하는 한의원을 중심으로 휴대용 엑스레이도 씀.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
2019.05.14 조회수 21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3일]
□ 왓슨의 한계? "AI에 의존한 진단 위험해" 〇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나해란 교수는 최근 열린 한국의료윤리학회 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 의료기기의 윤리적 사용’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의사들이 AI를 의료 행위에 사용할 경우 윤리적인 가치 판단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8192 □ AI 로봇, 인간 로맨스 대체할 수 있을까? 〇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이 주도하는 산업구조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임.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진화 속도가 무한대에 가까울 것이란 예측도 있음. 성 산업도 예외가 아님. 로봇 기술은 공공의 이익뿐 아니라 개인의 욕구를 해소하는 사적인 영역 안에도 들어와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kormedi.com/1292606/ai-%EB%A1%9C%EB%B4%87-%EC%9D%B8%EA%B...
2019.05.13 조회수 20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9일]
□ 세계 최초 인공지능(AI) 기반 치매케어로봇 개발 〇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 치매케어로봇을 개발, 상용화에 본격 나섬. 치매DTC융합연구단 박성기 박사팀은 "AI 소셜로봇 기술에 이어 이를 활용한 경증치매환자 생활 돌봄 로봇인 '마이봄' 개발을 완료했고 현재 상용화 단계에 본격 들어섰다"고 8일 밝혔음. 금년 하반기까지는 실증 및 인증 과정에 집중하고 내년경 상용 제품을 출시할 계획.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42824 □ 美조지아주, 낙태금지 법안 통과…법적다툼 예고 〇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주 주지사가 태아의 심장 박동이 감지되는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안에 7일(현지시간) 서명했다고 AP와 AFP통신이 보도. 조지아주는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안을 제정한 미국의 6번째 주(州)가 되었음....
2019.05.09 조회수 19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8일]
□ "무의미한 치료 싫다" 존엄사 선택 급증…인프라 절실 〇 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가 의미 없는 치료를 받지 않고 죽음을 택하겠다는 이른바 존엄사 의사를 미리 밝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음. 죽음에 대한 인식 개선이 이유로 분석되는데 시행 초기 단계인 만큼 한계도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254789 □ `디자인 베이비`까지 등장…영화 가타카, 현실이 되나 〇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류가 겪게 될 문제, 영화 가타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의도하지 않은 사회적 문제가 우려되는 것이 혁명으로 표현되는 크리스퍼의 현재. 미래는 늘 불확실하고 크리스퍼는 이미 생명의 진화에 발을 담갔음. 우리 인간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기술이라는 것은 분명함. 재앙이 될지 혁명이 될지는 보수적이면서도 연구의 발전을 막지 않을 수준에서 논의와 결정에 따...
2019.05.08 조회수 18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7일]
□ 삶과 죽음의 경계 o 한 번 손상된 뇌세포는 절대로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었고, 뇌세포를 부활시키는 것은 과학자들의 꿈. 그러나 최근 미국 예일대의 연구진은 이러한 삶과 죽음의 기준을 바꿀 수 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음. 이 연구팀은 뇌에 혈액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브레인엑스 (BrainEx)라는 장치를 개발했음. * 기사원문보기: https://news.joins.com/article/23459409 □ 환자고령화로 수술대신 재생의학치료 뜬다 ◯ 고령화 추세 속에 수술로도 완치하기 힘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생의학 치료제 시장이 주목받고 있음. 환부를 제거하는 수술이 재발이나 부작용 우려가 있고, 환자에 따라 활용되기 힘든 반면 재생의학 치료제는 자가인체조직을 이용해 면역 거부반응 없이 치료 효과가 빠르기 때문. 특히 무릎연골 재생 등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치료제 개발이 늘고 있음. 재생의학 치료제...
2019.05.08 조회수 20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일]
□ DTC유전자검사업체, 잇단 규제 샌드박스 선정에도 '속앓이' 〇 3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디엔에이링크, 테라젠이텍스, 메디젠휴먼케어 등 3개 업체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DTC 실증특례를 추가로 받았음. 규제 샌드박스 첫 사업자로 선정됐던 마크로젠에 이어 총 4개 유전자검사 기업이 웰니스를 비롯해 일부 질병 항목에 대해 DTC 유전자검사를 할 수 있게 되었음. 정작 사업의 본격 시행에 앞서 DTC 업체는 또 다른 규제에 막혀 어려움을 호소함. * 기사원문 보기: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50308520128853 □ 고양시 일산동구보건소, 웰-다잉 존엄사 인식개선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 등록’ 홍보 〇 고양시 일산동구보건소는 지난 1일 2019년 고양국제꽃박람회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웰-다잉 존엄사 인식개선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 등록사업 홍보활동을 진행해 많은 시...
2019.05.03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일]
□ 요양병원선 안 되는 존엄사···아들을 3년 고통 속 보냈다 〇 의료기관 윤리위원회가 없는 병원은 연명의료를 중단할 수 없기 때문에 요양병원에서는 어렵게 되어 있음. 이 문제가 최근 김세연의원 주최 토론회에서 집중 부각이 되고, 연명의료를 중단하지 못하여 고통을 받게 된 환자와 환자 가족은 청와대 국민청원에 호소문을 올리기도 하는 일이 있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news.joins.com/article/23456629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〇 이달 18일 미국 예일대 의대 연구팀은 죽은 지 4시간이 된 돼지 32마리에서 뇌를 분리한 뒤 특수 용액을 순환시켜 6시간 동안 뇌 조직을 살아있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소개했음. 작년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미국의 생명과학자와 법학자 17명이 발표한 입장문에서 민니 뇌가 의식을 가지게 된다면 또...
2019.05.02 조회수 36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30일]
□ '유전자 분석 비만관리' 서비스 가능해진다… 규제샌드박스 통과 〇 유전자 분석을 통한 비만·영양관리와 질병 가능성 확인 서비스 출시가 가능해짐. 1호 규제 완화 대상이었던 마크로젠 (32,800원 상승550 1.7%)에 이어 3개 업체의 소비자 직접의뢰(DTC) 유전자검사 서비스가 추가로 '규제 샌드박스' 문턱을 넘었음.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를 열고 11건의 규제 샌드박스 안건을 심의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42911081662118 * 관련기사: https://go.seoul.co.kr/news/prnewsView.php?id=140190 □ 서울아산 "인공지능으로 신장이식 거부반응 판별" 〇 그동안 신장이식 후 나타날 수 있는 거부반응을 확인하려면 신장에서 채취한 병리 조직을 슬라이드로 만들...
2019.04.30 조회수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