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5일]
□ '이제 유전자 선택 시대?' 중국, 유전자 편집 원숭이 복제 성공 〇 중국이 리듬 장애 유전자 편집 원숭이로부터 같은 유전적 배경을 가진 원숭이 5마리를 성공리에 복제했다고 24일(현지시간) 중국과학원 산하 상하이 신경과학연구소가 밝혔음.이들 원숭이는 BMAL1 유전자가 없는 게 특징. 이 내용은 중국 최고의 영문판 과학잡지 '내셔널 사이언스 리뷰(National Science Review)'에 실렸음. *기사원문보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3015239&code=61131811&sid1=int * 관련기사: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5/2019012500141.html h ttps://news.joins.com/article/23319485 h ttps://www.ajunews.com/view/20190124093604215 (중국, 유전자 편집 원숭이 5마리 공개...‘생명공학 무법지대’ 인가) □ 유전자 검사로 치매 예측......
2019.01.25 조회수 17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4일]
□ 서울대병원 "의사97% 말기암 걸리면 연명의료 원치 않아" 〇 의사 97%, 암환자 74%가 말기 암 진단을 받으면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음. 윤영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이 일반인, 암환자, 의사 등 4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함. 병이 걸리기 전에 쓰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쓰겠다고 답한 일반인은 46.2%였음 *기사원문보기: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234139f * 관련기사: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3/2019012301460.html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760561 https://www.sedaily.com/NewsView/1VE5DQR4E6 □ "이번엔 규제 대못 뽑히나"...제약·바이오시장 기대감 〇 정부가 규제 샌드박스 및 규제입증책임 전환 추진 계획을 확정하면서 대표적인 규제산...
2019.01.24 조회수 18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3일]
□ 세계 첫 ‘유전자 편집 아기’ 창조주 허젠쿠이의 몰락 〇 지난해 말, 세계 최초로 ‘디자이너 베이비(Designer Baby)’를 출산해 화제가 된 허젠쿠이(賀建奎·34) 중국 남방과기대 교수가 결국 몰락의 길을 걷게 됐음. 세계 과학계는 이번 사건의 국제적 파장을 우려함. 대표적 미래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빙하기’를 맞을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옴. *기사원문보기: https://news.joins.com/article/23313507 * 관련기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2/2019012200767.html http://m.viva100.com/view.php?lcode=&series=&key=20190122010006862#imadnews http://news1.kr/articles/?3530750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증 발급 시작 〇 보건복지부는 지난 7일부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서 의향서를 작성...
2019.01.23 조회수 13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2일]
□ 인공지능기기, 임상검증도 없이 허가부터? 〇 최근 국내·외에서 여러 인공지능기반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이하 인공지능기반 기기)가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같은 규제 기관들의 허가를 통과하기 시작하면서 전문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인공지능진단 보조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첨단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에 대해 적절한 임상검증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보험급여를 하거나 임상에 도입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 때문. *기사원문보기: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409 □ 서울대 의료빅데이터연구센터 '제1회 의료빅데이터, 의료인공지능 산업발전을 위한 포럼' 개최 〇 4차 산업혁명시대 의료 빅데이터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병원은 데이터 표준화 기반을 갖추지 못해 주요 데이터들이 버려짐. 대형 병원조차 생...
2019.01.22 조회수 16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1일]
□ 나노기술, 신약 개발의 어려움을 해결할 구원 타자 〇 미국 바이오협회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FDA의 9985건의 임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약 후보 물질이 임상 1상부터 품목승인까지 전 과정을 통과할 확률은 9.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음. 그만큼 신약 개발은 바늘구멍을 통과해야 하는 일. *기사원문보기: http://www.etnews.com/20190118000099 □ 인간은 지금도 진화 중이다 〇 현재 전 세계에서 영국바이오뱅크의 데이터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는 약 7000명, 프로젝트는 1400개. 공개된 지 2년이 안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심장병, 당뇨병, 우울증, 불면증 등과 관련된 유전자에 대한 논문이 벌써 600개 가까이 발표되었음. 바이오뱅크에 축적된 수많은 DNA 데이터를 통해 현대인이 진화하고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더 밝혀질 것이라는 게 전 세계 과학자들의 기대임. *기사원문보기: http://n...
2019.01.21 조회수 20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8일]
□ ‘모바일고지서·유전자검사 항목 확대’…규제 샌드박스 본격 시행 〇 서울시 과태료나 도로공사의 하이패스 미납 요금 고지서를 조만간 모바일 전자고지로 받을 수 있을 전망임. 12개로 제한된 유전자검사 기관 유전자 검사 허용 항목 확대 여부도 검토됨. 신기술·서비스가 규제로 인해 신속하게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규제 샌드박스가 17일 본격 시행. *기사원문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6348 *관련기사: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9254 □ 에르빈 샤르가프와 생명조작기술 〇 격월간 《녹색평론》(제164호, 2019년 1~2월)에 실린, 저명한 생화학자이자 과학문명비평가였던 에르빈 샤르가프의 <생명과학의 딜레마>는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줌. 과학기술과 생명과학에 대한 근원적인 비판을 담고 있는 글임. *기사원문...
2019.01.18 조회수 17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7일]
□ 의협, 성폭행 혐의 ‘천사 의사’ 중앙윤리委 회부 〇 대한의사협회가 앞으로는 소외된 아동을 돌보며 뒤로는 성폭행을 일삼은 일명 ‘천사 의사’를 중앙윤리위원회 징계심의에 부의함. 의협은 최근 아동청소년 성폭행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의사 김 모씨를 중앙윤리위 징계심의에 부의했다고 밝힘. *기사원문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9217 □ 반드시 짚고 넘어야할 '자율주행차' 법적 쟁점… “AI에게 윤리가 있을까” 〇 16일 여의도 국회에서 입법조사처 주최로 ‘인공지능 최신 동향 및 입법과제 -자율주행자동차의 법적 쟁점’ 세미나가 열림. 김형준 교수가 자율주행차 관련 다양한 법정 쟁점에 대해 정리해 발표함. 자율주행차 제작 기준에 대한 중요한 이슈 중 ‘트롤리 딜레마’라는 개념이 있는데 사고가 불가피한...
2019.01.17 조회수 12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6일]
□ 가족력·암 진행단계…몸 속 비밀 유전자는 알고있다 〇 최근에는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맞춤형 치료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음. 유전자 변이나 단백질체, 전사체, 대사체 등 각종 인체 유래물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질병 진단과 치료를 더욱 정확하게 하는 것. 난치 질환 중 하나로 꼽히는 암은 타고난 특정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최근엔 소비자들이 간단히 집에서 유전자 검사를 받아볼 수 있는 방법도 관심을 끌고 있음 *기사원문보기: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9&no=31661 □ 암세포 돌연변이 많으면 면역요법 효과 높아져 〇 암세포에 DNA 돌연변이가 많을수록 면역요법 효과가 높아지고 잔여 생존 기간도 연장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음.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인터넷판이 14일(현지시간) 보도한 관련 연구결과는 ...
2019.01.16 조회수 18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5일]
□ 심평원, 호스피스 수가시범사업 확대 공모 〇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1월14일부터 23일까지 열흘 간 가정형‧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건강보험 수가 시범사업 확대 참여 기관을 공모함. 먼저 가정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팀이 환자의 집으로 방문해 돌봄 상담, 임종교육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33개 기관이 참여 중. *기사원문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9122 □ 40대 전후 조기발병위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 〇 국내 연구진이 40대 전후에 위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았음. 젊은 사람에게 생기는 위암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있음. 이상원 고려대 화학과 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황대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 공동 연구팀은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체와 단백체를 분석해 조기발...
2019.01.15 조회수 1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4일]
□ 서울대병원, 의료정보 활용·보호 두 마리 토끼 잡는다 〇서울대병원은 11일 어린이병원 임상 강의실에서 '2019 서울대병원 미래 정보화 심포지엄'을 개최. 국가 진료정보 표준과 진료정보 교류, 빅데이터 플랫폼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됨. 서울대병원은 연구자가 빅데이터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 신청 시 별도 위원회 심의를 받도록 함. 연구 윤리·법률 준수와 체계적 데이터 관리가 목적임. *기사원문보기: http://www.etnews.com/20190111000234 □ '슈퍼베이비' 권리 지키는 변호사라고? 〇 2018년11월27일 홍콩에서 열린 인간 유전체 교정에 관한 국제정상회의 전야제에서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교 허젠쿠이라는 과학자가 유전자 가위로 맞춤아기가 출생했다는 폭탄발언을 했는데, 윤리적 문제가 많은 맞춤아기 기술에 대해서 우리사회가 새로운 과학기술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 ...
2019.01.14 조회수 12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1일]
□ 수소차·DTC부터 '先허용·後규제'…신산업 육성 속도낸다 〇 정부의 대표적 혁신성장정책인 ‘규제 샌드박스’가 이달부터 본격 가동됨. 그동안 생활규제, 현장규제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신산업을 통째로 가로막는 ‘암반규제’에 손을 대겠다는 것. 정부는 상징성과 영향력 등을 감안해 수소충전소, 소비자의뢰 유전자검사(DTC·Direct to Consumer) 등을 다음달 1차로 허용할 계획. *기사원문보기: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1028781 □ 일산백병원, 국가생명윤리정책원장 이윤성 교수 연명의료특강 개최 〇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원장 서진수)은 최근 원내 강당에서 국가생명윤리정책원장 이윤성 교수를 초청해 ‘연명의료특강’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음. ‘연명의료결정제도’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r...
2019.01.11 조회수 16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0일]
□ 장기이식 기다리다...되레 기증하고 떠난 30대 여성 〇 다른 사람의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가 뇌사판정을 받은 30대 여성이 결국 자신의 폐를 다른 사람에게 기증하고 세상을 떠났음. 전북대 병원은 신장 질환으로 4년간 혈액투석을 받던 A 씨가 뇌출혈로 쓰러진후 뇌사에 빠진 뒤 다른 환자에게 자신의 폐를 기증했다고 밝혔음. *기사원문보기:https://ytn.co.kr/_ln/0115_201901081001335662 □ 의사노조준비委 “정신과 진료현장 비극 재발 방지” 〇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전국의사노조준비위원회(이하 의사노조준비위)는 9일, 정신의학과 의료현장에서 또 다른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을 촉구함. *기사원문보기: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8982&thread=22r01 □ 박능후 “정신질환 의료체계 정비하고 폭행 실태 심층 조사” 〇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2019.01.10 조회수 14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9일]
□ '슈퍼베이비' 권리 지키는 변호사라고? 〇 2018년 11월 27일부터 홍콩에서 열린 제 2차 인간 유전체 교정에 관한 국제 정상 회의의 전야제에서 중국 쓰쟌(Shenzhen)에 있는 남방과학기술대학교의 허젠쿠이(Jiankui He)라는 과학자가 폭탄발언을 했음. CRISPR-Cas9 유전자 가위로 유전체의 정보를 교정한 쌍둥이 여아가 세계 첫 번째 '맞춤아기'로 11월에 이미 출생했다고 발표한 것. *기사원문보기: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24050 □ ‘유전자편집 아기’ 中과학자, 사형 처벌 받을까 〇‘유전자편집’ 기술을 활용해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에 면역력을 지닌 아이가 태어났다고 주장한 중국 선전시 남부과학기술대의 허젠쿠이(賀建奎) 교수가 무장경비가 지키는 자택에 머문 채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영국 텔레그래프가 7일(현지시간) 보...
2019.01.09 조회수 18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8일]
□ 2019년 주목할만한 글로벌 과학기술 이슈는? 〇2019년 과학자들은 연구 자금과 협력에서 불확실한 정치 환경에 직면해 있음. 영국은 3월 유럽연합(EU)을 탈퇴 예정이며, 미국과 중국도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이 과학기술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임. 기후 과학, 입자물리학, 생물학, 연구 윤리, 과학 정책 등 올해 주요 연구 프로젝트와 관련 이슈를 과학 전문매체 사이언스(Science)가 선쟁했다. 그 중 핵심적인 일부를 소개함. *기사원문보기 : http://scimonitors.com/news/2019%EB%85%84-%EC%A3%BC%EB%AA%A9%ED%95%A0%EB%A7%8C%ED%95%9C-%EA%B8%80%EB%A1%9C%EB%B2%8C-%EA%B3%BC%ED%95%99%EA%B8%B0%EC%88%A0-%EC%9D%B4%EC%8A%88%EB%8A%94/ □ 지구온난화 늦추고…유전자 변형 모기 〇 미국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지는 3일(현지시간) 올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할 과학 이슈를 선정해 공개함. 선정된 과학 이슈에는 ...
2019.01.08 조회수 14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7일]
□ 중국, 2029년에는 인도에 인구수 1위 자리 내줄까 〇 최근 중국 정부는 '출산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문제'라며 출산을 장려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앞서 시행한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중국 내 가임기 여성 인구가 줄어든 데다 젊은 층의 출산 기피 현상으로 출산율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음. 중국 사회과학원은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중국 경제발전에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분석했음. *기사원문보기: https://www.bbc.com/korean/news-46775873 □ 생명공학자들의 윤리 〇 현실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가장 클 생명공학 기술은 영생의 기술임. 사람마다 무한정 살게 되면(영생하는 인류의 평균 수명이 6000세이리라는 추산이 있다), 아이들이 태어나기 어려워 진화가 실질적으로 멈출 것임. 누구나 영생을 열망하니, 그...
2019.01.08 조회수 18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4일]
□ 생존자 폐, 뇌사자 손·팔·발·다리 이식 법적근거 마련 〇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런 내용의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지난해 12월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 개정안은 공포 후 시행됨. 개정안을 보면, 장기이식을 할 수 있는 '장기 등'의 범위에 뇌사자한테서 기증받은 손과 팔, 발과 다리를 추가했음. 또 살아있는 사람으로부터 적출할 수 있는 장기 범위에 간장과 골수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기 등뿐 아니라 폐를 추가했음. *기사원문보기: http://www.nocutnews.co.kr/news/5084829 □ 한마리 1억… 네가 福돼지로구나 〇 옵티팜은 말기 질환 환자에게 돼지의 장기를 이식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바로 이종장기이식(異種臟器移植). 2~3년 내 실제 환자에게 돼지의 피부, 각막과 췌도를 이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그동안 국내에...
2019.01.04 조회수 2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3일]
□ 응급실 폭행 처벌 강화·전공의 폭행 근절 등…2019년 달라지는 의료 관련 법률은 〇 2019년 기해년(己亥年)부터 달라지는 법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2018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내년에 시행을 앞둔 주요 법안들을 살펴봄. 응급실 폭행 처벌 강화, 전공의 폭행 근절, 방문간호사 전담공무원 배치, 의료용 대마 합법화, 방문진료 근거 마련, 불가항력 의료사고 분담금 강제징수, 연명의료중단 합의 가족범위 조정, 한의약육성법 제정, 일반건강검진 대상 확대 등. *기사원문보기: http://www.medigatenews.com/news/2486538918 □ 일본인 절반이 쓸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 3년내 만들 겁니다 〇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iPS 세포 연구소(CiRA) 소장은 37세 때 줄기세포 연구를 시작하여 생명윤리 논쟁이 있는 수정란이 아니라, 피부세포를 반대로 분화시켜 줄기세포를 만드는 iPS 방식 연구에 집중함. 성...
2019.01.03 조회수 15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8일]
□ 존엄사법 10개월…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9만명 육박 〇 이른바 '존엄사법'으로 불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연명의료결정법)이 올해 2월 4일 시행된 후 10개월 만에 9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연명의료를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죽음에 이르는 길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음. 27일 국가생명윤리정책원에 따르면 이달 3일 기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자는 8만6천691명으로 집계됨 *기사원문보기: http://www.nocutnews.co.kr/news/5082016 *관련기사: http://news.donga.com/3/all/20181227/93472143/1 □ 웰다잉시민운동 창립,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 문화 조성" 〇 사단법인 웰다잉시민운동이 28일 오후3시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창립총회를 갖고 공식 출범함. 웰다잉시민운동은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비롯해 손숙 예술...
2018.12.28 조회수 8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7일]
□ AI가 '의료文化' 바꿨다…의사들 권위 내려놓자 신뢰 더 커져 〇 “의료 인공지능(AI) 도입 이후 의사들이 권위를 내려놓기 시작했다. 나이 많은 시니어 의사의 지시만 따르던 젊은 의사들이 AI에 기대어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게 됐다. 의료계 특유의 경직된 문화가 깨지자 환자들도 입을 열었다. 의사와 환자 간 신뢰를 높인 것이 AI 도입으로 인한 가장 큰 성과다.” 2016년 12월 국내 처음 의료 AI인 왓슨 포 온콜로지를 도입한 길병원 의료진의 지난 2년 평가임. *기사원문보기: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2642591 □ 고령자가 눈여겨볼 '2019년 정책' 〇 지난 2월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 일명 웰다잉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됨. 내년부터는 가족 전원 동의와 관련 가족 범위가 배우자, 부모...
2018.12.27 조회수 8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6일]
□ 의사 찾아갔더니 '환자 많아 사전고지할 경황 없었다' 하더라 〇 독감 치료제인 타미플루 복용 후 추락사한 여중생 어머니는 "의사나 약사로부터 타미플루 부작용에 관해 어떤 고지도 받지 못했다"라고 25일 말했음. 숨진 A(13)양은 21일 아빠와 함께 병원에서 타미플루를 처방받아 약국에서 제조해준 약을 받았지만, 해당 의사나 약사 모두 타미플루 부작용에 관해 단 한 마디도 알려주지 않았다고 A양 어머니는 주장했음. *기사원문보기: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250006Y * 관련 기사: http://dailymedi.com/detail.php?number=838408&thread=22r02 http://leaders.asi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51 □ 유전병 500가지를 DNA검사로 알아내고… 하늘에 특수입자 뿌려 '온난화 방어막' 친다 〇 과학계는 내년 사상 최초로 인공혈액을 수혈하고 DNA 족보가 미제(...
2018.12.26 조회수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