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22일]
□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공 세포… "실제 세포에 가장 근접" 〇 과학자들이 '생명 탄생'의 영역에 다가가고 있음. 세균의 유전자를 합성 DNA로 교체하는 데서 시작해 이제는 세포막과 핵까지 만들어냄. 광합성을 하는 세포 소기관인 엽록체까지 모방해냈음. 인공 세포는 향후 약물을 싣고 가 환부(患部)만 정확하게 공략하는 무기가 될 수 있음. 반면 일부에서는 인공 세포와 실제 세포를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면 심각한 생명 윤리 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음. *기사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2/2018112200120.html □ 건보공단 “상담은 큰병원 가라” … 공공기관이 존엄사 걸림돌 〇 지난 2월 연명의료 중단(일명 존엄사) 제도가 시행돼 조금씩 정착하고 있지만 확산을 막는 장애물이 사라지지 않고 있음. 존엄사 확산을 위...
2018.11.22 조회수 12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21일]
□ 원격의료 추진…문재인 정부의 민낯 〇 문재인 정부가 집권 2년차에 들어서면서 보건의료분야 규제완화 대책을 쏟아내는 가운데, 이제는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 시행방침까지 공식화 함.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정기국회 기간 동안 원격의료, 의료기기 및 바이오의약품 규제완화의 내용이 담긴 관련 법안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힘. *기사원문보기: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937 □ 파주 무면허의료행위 3인, 즉각 구속 수사 〇 파주의 한 병원에서 환자가 사망한 사건에 대리수술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가 즉각적인 구속 수사를 촉구함. 대한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은 20일 검찰에 파주 대리수술 관련 대표원장, 행정원장, 의료기기영업사원 3인에 대한 고발장을 제출함. 고발장에는 이들에 대해 의료법 위반, 보건범...
2018.11.21 조회수 21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20일]
□ 세계가 인정한 국산 의료AI, 낮은 시장·규제 피해 亞 진출 모색 〇 국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이 아시아 시장 진출을 시도함. 제한적인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에서 성공사례를 만드는데 집중함. 아시아 시장을 교두보로 미국, 유럽 등 선도 제약사·병원과 협업을 타진함.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탠다임, 딥노이드, 셀바스AI 등 의료 AI 기업은 아시아 제약, IT기업과 현지 시장 공략을 추진함. *기사원문보기: http://www.etnews.com/20181119000171 □ `AI가 진료하는 시대` 中 의료기업, 무인 AI 진료소 세운다 〇 회원 수만 2억2800만명에 이르는 중국 최대의 온라인 의료서비스 기업이 3년 내로 중국 전역에 수십만 개의 무인 인공지능(AI) 진료소를 설립한다는 보도가 나왔음. 2014년 중국 최대 보험사 중 하나인 핑안(平安)보험에서 분사한 온라인 의료서비스 기업 핑안굿닥터의 왕타오 회장은 ...
2018.11.20 조회수 15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19일]
□ 바이오헬스 산업, 공용 IRB 구축해 연구 효율 높이자 〇 "초기 단계의 소규모 임상연구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현재는 임상연구를 심의할 수 있는 기관과 인력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대형 임상연구 심의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다. 공용 IRB를 확보하면 중소형 임상연구 심의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서경훈 E&S 헬스케어 대표는 15일 '대덕특구 기술혁신 네트워크'에 참석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연구 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기사원문보기: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6708 □ 축복? 재앙?… 아기 IQ 알고 낳는 시대 〇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아기의 지능(IQ)을 수정란 단계에서 유전자 검사로 가려내는 기술이 나옴. 영국의 과학 전문지인 뉴사이언티스트는 지난 15일(현지 시각) 미국의 유전자 검사 업체인 '지노믹 프리딕션'이...
2018.11.19 조회수 29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12일]
□ 유도만능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길 열리나 〇 유도만능줄기(iPS)세포로 만든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첫 임상시험이 일본에서 이뤄짐. 아직까지 파킨슨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어 이번 임상시험이 상용화로 이어질지 기대를 모음. 다카하시 준 교토대 뇌신경외과 교수팀은 9일 iPS세포로 신경세포를 만들어 50대 남성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했다고 발표함 *기사원문보기: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0905241 * 관련기사: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4977 □ 연명치료 중단-기증 서약 연계하자 〇 최근 장기기증 건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연명의료중단 결정과 장기기증 서약을 연계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음. 연명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동시에 장기기증을 통한 생명 나눔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 보건복지부의 ‘최근 10년...
2018.11.11 조회수 19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9일]
□ 日, '자궁 이식해 대리 출산' 허용 추진…의학계 논의 〇 일본 의학계가 자궁이 없는 여성에게 제3자의 자궁을 이식해 임신, 출산을 하게 하는 임상연구를 추진함. 8일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게이오(慶應)대 연구팀은 전날 자궁이식 임상연구 계획안을 일본산과부인과학회에 제출함. 계획안은 선천적으로 자궁 없이 태어난 '로키탄스키 증후군'을 가진 여성 5명에게 모친이나 자매 등 이 여성의 친척으로부터 제공받은 자궁을 이식하는 수술을 하겠다는 내용. *기사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8/11/08/0619000000AKR20181108064900073.HTML □ 유전자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력은 겨우 7% 〇 미국유전학회(Genetics Society of America)는 6일 유전학(Genetics)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유전자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은 7%에 불과하다는 충격적인 결과를 발...
2018.11.09 조회수 22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8일]
□ 유전자 분석해 '맞춤신약' 만든다 〇 아플 때 먹는 약들이 모든 환자에게서 같은 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님. 사람마다 다른 유전자가 약물에 대한 반응도 각각 달라지게 만들기 때문. 예를 들어 뇌 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 등 항응고제를 복용한다해도, 이와 관련된 유전자(VKORC1, CYP2C9) 유전형에 따라 필요한 약의 용량은 큰 차이가 있음. *기사원문보기: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4086619403424&mediaCodeNo=257 □ 난치병 유전자, 활동조차 못 하게 만든다 〇 박노경 명지대 교수(화학과) 연구팀이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나노반응체 합성 기술을 개발함. 유전자 발현은 유전자에 의해 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을 말함. 요즘은 치료가 어려운 말기 암, 파킨슨병 등의 질병을 유전자 단계에서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한데, ...
2018.11.07 조회수 15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7일]
□ 국내 사상 최초 뇌사 장기기증인 유가족·이식인 만남 이뤄져 〇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와 한화생명은 11월 3일(토)부터 4일(일)까지 한화리조트 설악 쏘라노에서 ‘생명의물결 1박 2일 캠프’를 진행함. 이번 캠프에는 뇌사 장기기증인 유가족 모임인 도너패밀리와 이식인 등 총 90여명이 함께 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생명나눔의 추억을 쌓았음 *기사원문보기: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17396 *관련기사: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6&year=2018&no=689706 □ 먹어도 괜찮으면 무슨 짓을 해도 괜찮은가요?" 〇 최근 출간한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저자 연세대 생화학과 송기원 교수 인터뷰함. 인간 유전체 계획(휴먼 게놈 프로젝트, HGP)이 15년 전에 마무리 되었음. 그 뒤 진행된 생명과학기술 연구의 성취는 폭발적이었음. 용산 전자 상가에서 부품을 사...
2018.11.07 조회수 21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6일]
□ 최고의 'AI 맞춤치료'기술은? 〇 국내에서 AI(인공지능) 기술로 환자별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자들과 함께 AI 알고리즘을 만드는 대회가 열림. 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 빅데이터센터는 CT(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MRI), 병리영상 등 의료 데이터를 AI로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의료 인공지능 개발 콘테스트 2018'을 개최한다고 5일 밝힘. *기사원문보기: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255 □ ‘황금알’ 낳는 신약 개발…문제점은? 〇 매년 전 세계에서 인플루엔자,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65만 명으로 추정됨. 지난 1999년에 출시된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로 상황이 많이 나아졌지만, 변종 바이러스로 인한 내성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 최근 이러한 부작용을 없앤 신약이 개발됨. 미 식품의약국(FD...
2018.11.06 조회수 17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5일]
□ 인공지능 리더십 확보, AI 드림팀 필요하다 〇 AI 기술 리더십 확보와 대응을 위해 'AI 드림팀' 필요성이 제기됨. ETRI 연구원으로서 우리나라의 초고속정보 고속도로 구상 초안을 만들었던 하원규 박사는 AI 패러다임을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기술발전보다 훨씬 큰 대전환이라고 진단함. AI 기술은 지금까지의 기술과는 다른 양상임. 기존의 기술은 개발하고 상용화로 완성됐다면 AI는 각 분야의 기술을 흡수하고 재탄생시키는 특성을 갖음. *기사원문보기: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66546 □ 쑥쑥 크는 바이오뱅크, 확보 인체자원 77만명분 돌파 〇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정밀의료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빅데이터의 바다 '바이오뱅크'의 수요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음. 바이오뱅크(인체자원은행)는 혈액, 조직, 세포, 혈장, 단백질처럼 사람으로부터 채취한 인체유...
2018.11.05 조회수 16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2일]
□ 국내 의료진 ‘돼지 췌장 세포 이식’ 세계 첫 시도 〇 2019년 1월 국내에서 당뇨병 환자 2명에게 돼지 췌도(췌장 세포)를 이식할 계획. 15년 동안 쌓아 올린 세계적인 이종 장기 이식 기술이 결실을 맺는 셈. 이 임상시험이 성공하면 한국의 이종이식 기술은 세계 선두 자리에 오를 뿐만 아니라, 당뇨병으로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환자를 살리는 새 치료법으로 인정받게 됨. 그러나 이 계획은 좌초될 위기에 몰렸음. 관련 법과 담당 정부 기관이 없다는 이유. *기사원문보기: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78362 □ 기초연구·원천기술 확보… 규제 걸림돌 치워야 바이오산업 달린다 〇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신기술 기반의 혁신적 연구를 통한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경쟁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음. 그러나, 바이오의약품 시장에 대한 장밋빛 전망과는 달리 우리의 사정...
2018.11.02 조회수 17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1월 1일]
□ 종양치료도 가능한 AI…의료계는 이미 도전에 직면 〇 레이 싱(Lei Xing)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는 제19회 세계지식포럼에서 의료의 디지털화가 환자들의 치료에 효율성을 가져올 것이라고 자신함. 지난 10월 11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 토파즈룸에서 열린 `변곡점 맞은 의료의 디지털화` 세션에서 그는 "AI가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예상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치료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고 소개함. *기사원문보기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678890 □ '2년 공든탑' 원점 재검토.. 12월 국생위 주목 〇 2년여간 추진돼왔던 '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 검사(DTC:Direct-to-Consumer, 이하 DTC)'에 대한 정부의 규제 개선안이 지난 8월 열린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이하 국생위)에서 폐기되면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음. 정부 측은 기존 안...
2018.11.01 조회수 14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31일]
□ "시장 열린다"..해외로 나가는 유전체분석업체들 〇 DTC는 병원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들이 직접 유전자검사를 의뢰한다는 개념. 23앤드미(23andMe)라는 미국 업체가 미국과 글로벌시장에서 주도권을 1잡고 있음. 일부 국내 소비자들도 미국 등 해외업체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정부에서도 이를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음. 규제를 풀어야 하는 이유로 거론되기도 함. *기사원문보기 : http://www.newspim.com/news/view/20181029000354 □ 배아줄기 치료제 부추기는 건 돈 벌려는 기업뿐 〇 “배아줄기세포 치료제의 실상을 아는 의사들은 정작 관련 실험을 하지 않는다”면서 “치료제의 가능성을 부추기는 사람들은 돈을 벌려는 기업과 그 관계자들 뿐”이라고 강원대 의대 류영준 교수는 얘기함. 그런데 희망을 거는 사람은 또 있다. 주로 희귀난치성 질환자들이다. 배아줄기세...
2018.10.31 조회수 18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30일]
□ 美서 파킨슨병 유전자 치료 임상실험 '효과' 〇 미국에서 파킨슨병을 유전자 요법으로 치료하는 임상시험이 진행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메디컬센터 신경과 전문의 차드윅 크리스틴 박사 연구팀은 다른 치료법이 듣지 않는 파킨슨병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유전자 요법을 시행, 운동증상(motor symptom)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25일 전함. *기사원문보기 : http://dailymedi.com/detail.php?number=836218&thread=22r08 □ 대웅, 줄기세포치료제 독성시험 시작…내년 상반기 임상 진입 〇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웅 개발 줄기세포치료제가 최근 독성시험에 나서 내년 1분기 독성시험을 완료할 전망임. 독성시험은 비임상시험관리기준(CLP)을 통과한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CRO)에서 맡았음. 대웅은 줄기세포치료제를 △뇌졸중 △치매 △...
2018.10.30 조회수 11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9일]
□ “인간 장기 지닌 돼지 생산”…日 생명윤리위, 연구 승인 〇 마이니치신문 등은 일본 정부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의 생명윤리전문조사회(생명윤리회)가 26일 동물과 사람의 세포를 혼합한 ‘동물성(性)집합 배아’를 동물의 자궁에 이식해 새끼를 낳게하는 연구를 승인했다고 27일 전함. 다만 생명윤리회는 관련 연구를 할 때는 국가가 연구 계획을 심사하도록 하고 동물성집합 배아를 사람 자궁에 이식하거나 동물성집합 배아 이식 후 태어난 동물을 교배시키는 것은 금지함.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joins.com/article/23070558 □ 배양접시 속 ‘미니 장기’의 도전…질병 비밀 밝혀낸다 〇 “흔히 ‘미니 장기’라고도 불리지만 정식 이름은 장기 유사체, 즉 ‘오가노이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함. 오가노이드는 당장에는 신약 개...
2018.10.29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6일]
□ ‘멋진 신세계’를 위하여… 사회적 감시를 허하라 〇 첨단 기술분야에서 끊임없는 시도와 이를 통한 개선은 바람직하지만 모든 시도의 허용을 의미하는 게 아님. 디지털과 소프트웨어가 현실 세계나 특정한 개인들과 분리된 한정된 영역에서 작동하지 않고, 점점 더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 결속 강도가 강해지고 있음. 해킹, 사생활 영상, 왕따 등은 개인과 공동체를 파멸시키기도 함. *기사원문보기 : http://www.hani.co.kr/arti/economy/it/867410.html □ 따뜻한 인간의 손길을 가진 유전공학 〇 송기원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가 쓴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는 생명공학의 최근 발전 동향을 알기 쉽게 소개한 책. 관련 전공자가 아닌 일반 대중을 상대로 썼기 때문에 기초부터 설명해 읽기 쉬움. *기사원문보기 : http://news.hankyung.com/health/article?aid=2018102553281 □ 침 몇 방울이면 &...
2018.10.26 조회수 11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5일]
□ 민간 건강관리 시장 확대…‘의료민영화’ 논란 또 거셀 듯 〇 정부가 ‘경제를 살린다’는 명목으로 구분이 쉽지 않은 의료행위와 건강관리 영역을 분리해 민간기업이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하기로 했음. 그러나 국민건강보험법상 공공의료체계가 보장하도록 돼 있는 질병 예방 및 사후관리 등을 떼어내 시장에 맡기는 것은 혁신이 아닌 ‘의료 민영화’라는 비판이 거셈. *기사원문보기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7211.html * 관련기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10/24/0200000000AKR20181024023900002.HTML □ 마크로젠, 영양 전문 유전자검사 서비스 출시 〇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038290)은 영양 전문 유전자검사 서비스 ‘마이지놈스토리 플러스뉴트리션’을 출시했다고 25일 밝힘. 마이지놈스토리...
2018.10.25 조회수 10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4일]
□ 임상시험은 판타지 액션이 아니다 〇 임상시험은 영화에서 종종 소재로 차용되는 ‘장기밀매’나 ‘불법 가짜 약’ 유통용 불법 전단지 같은 매체로 참여자를 모집하지 않음. 임상시험 모집은 국가에서 지정한 공인된 병원(임상시험 실시 기관)에서 객관적인 전문가가 참여한 임상심의위원회(IRB)를 통해 세부적인 모집공고 양식을 엄격히 지켜 사전심의를 받고 진행됨. *기사원문보기 : http://www.sedaily.com/NewsView/1S60XK04L4 □ 냉정하다? 죽음을 선고하는 의사도 아프다 〇 사람이 죽는 순간을 무 자르듯 자를 수는 없기 때문에 한 생명의 종말을 선고하는 판단은 무겁기 그지없음. 굳이 이런 얘기를 꺼낸 이유는, 의사들이 환자의 죽음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는 비난 때문. 죽음을 받아들이기 힘든 건 누구나 똑같고. 의사도 마찬가지. 날마다 겪어도 무뎌지지 않는 것이 사람의 죽음임. *기...
2018.10.24 조회수 13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3일]
□ 베이징市-알리바바, '인공지능' 의료에 접목 〇 중국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의료산업에 접목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 바이두, 텐센트에 이어 알리바바가 뛰어들었음. 23일 신랑커지에 따르면 베이징시과학기술위원회와 알리헬스가 손잡고 '의학 인공지능 개방 혁신 응용 플랫폼'을 만든다고 함. *기사원문보기 :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1023073851 □ 의협, 심장학회 윤리위원회 제소…심초음파 보조인력 검사 고발 등 특단의 대책 논의 중 〇 대한심장학회의 보조인력 인증제 계획을 놓고 의료계에서 특단의 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임. 대한의사협회는 심장학회를 윤리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음. 현재 보조인력에 의한 심초음파 검사는 의료법 위반이라는 것을 강조해 내부 고발을 하자는 의견도 나왔음. 다른 초음파와 형평성이 맞...
2018.10.23 조회수 24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0월 22일]
□ 현직 의대 교수 "강서 PC방 피해자 상황 공개, 의료윤리 위반" 〇 현직 의대 교수가 지난 14일 발생한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 PC방 살인 사건 피해자의 자상(칼에 베인 상처)에 대해 상세히 공개한 남궁인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임상조교수에 대해 "의료 윤리를 위반했다"고 비판함. *기사원문보기 : https://news.joins.com/article/23052939 *관련 기사: http://www.sedaily.com/NewsView/1S60H5SHOG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6844.html □ 치매 위험 유전자, 만성 염증 겹치면 발현 〇 ApoE4(apolipoprotein E4) 변이유전자는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 그러나 이 변이유전자가 있다고 모두 치매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치매가 나타나지 않는 사람도 많음. 이는 이 변이유전자가 어떤 환경적 요인과 만나야 발현하기 때문으로 믿어지고 있음. *기사원문보...
2018.10.22 조회수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