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5일]
□ 아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는데, 아픔도 나눠지는 것일까 〇 뇌과학은 마카크원숭이의 뇌에서 발견한 ‘거울 뉴런(신경세포)’을 내세워 공감의 가능성을 주장. 심지어 인간 문명의 시작을 거울 뉴런에서 찾기도 함. 하지만 인간에게 거울 뉴런이 있는지에 관한 탐구는 이제 막 시작되었을 뿐. 보수적으로 접근하자면, 공감의 확실한 통로는 이야기와 같은 음성 언어, 그리고 표정과 같은 신체 언어라고 말해야 함. * 기사원문보기 :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844478.html □ 블록체인 통해 의료정보 활성화 필요…지원제도 마련해야 〇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적용해 개인의 의료정보가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정비가 필요하단 분석이 나옴.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R&D기획단은 최근 보고서(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 활용 현황...
2018.05.15 조회수 18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 5월 14일]
□ 신앙의 눈으로 본 생명 윤리 문제 〇 유전공학 등 과학의 힘으로 새로운 생명체의 창조의 문제가 있음. 무에서부터의 생명창조는 아니고, 이미 존재하는 생명체를 가공하고 섞어서 새로운 생명체를 제조하는 것. 그런데 이러한 연구는 윤리적으로나 신학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그 연구가 인간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될수 있음. * 기사원문보기 : http://www.christiandaily.co.kr/news/%EC%8B%A0%EC%95%99%EC%9D%98-%EB%88%88%EC%9C%BC%EB%A1%9C-%EB%B3%B8-%EC%83%9D%EB%AA%85-%EC%9C%A4%EB%A6%AC-%EB%AC%B8%EC%A0%9C-80048.html □ 미래 인공지능은 얼마나 사람에 공감하는지로 성패 갈릴 것 〇 “인간의 감정은 표정‧목소리‧몸짓 등 생리적 신호를 통해서 표출되는데 텍스트에도 이런 정보가 담겨 있다”며 “이 정보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가 4차 산업 시대 모든...
2018.05.14 조회수 14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1일]
□ 국내서도 ‘안면이식’ 가능해진다 〇 작년 한 미국인 남성이 얼굴에 총을 맞아 간신히 살아남았지만 코와 턱 등 얼굴 대부분이 훼손되었는데 뇌사자로부터 얼굴을 기증 받아 안면이식 수술을 한 후 새 삶을 살고 있음. 영화 ‘페이스오프’처럼 2005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안면이식이 시행된 뒤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40여 명이 이 수술을 받았음. * 기사원문보기 : http://news.donga.com/List/3/08/20180510/90026539/1 □ 의약학계 오피니언 리더 6명 새로 탄생 〇 의약학계의 건강한 발전과 건전한 여론을 조성하는데 앞장설 오피니언 리더 6명이 새롭게 선정. 일간보사‧의학신문은 금년도 의약평론가 6명을 추천, 5월 9일 저녁 한국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클럽에서 '의약평론가 기장수여식'을 가짐. * 기사원문보기 :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3043 □ 안락...
2018.05.11 조회수 16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 5월 10일]
□ 600만불의 사나이’곧 현실로… 15년내 바이오 인공장기가 〇 1970년대 인기 TV 시리즈인 '600만 달러의 사나이'의 주인공 스티브 오스틴은 사고로 잃은 왼쪽 눈과 오른팔, 두 다리에 20배 줌과 열 감지 기능을 갖춘 생체공학 눈과 자동차를 들어 올리고 시속 100㎞로 달릴 수 있는 인공 팔·다리를 이식 받아 특수 요원으로 거듭남. 당시에는 상상 속 이야기였지만, 이제 '바이오 인공장기'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에서 이런 사람을 만날 날이 멀지 않았음. * 기사원문보기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51002101876788001 * 관련 기사: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181932&cloc=joongang-article-hotclickd_n&utm_source=dable □ 4세기에 이미 다리 이식 수술 기록 … 장기이식 본격화는 1960년대 이후 〇 신체 일부를 이...
2018.05.10 조회수 16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9일]
□ 연구자 임상시험 규제 완화…공익 목적때 건강보험서 지원 〇 의약품 허가당국이 연구자 임상시험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확대함. 연구자 임상은 연구자가 허가받은 의약품 등을 활용해 새로운 치료범위(적응증), 용법·용량 등을 탐색하는 것을 말함. 9일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연구자가 공익적 목적으로 시행하는 임상시험의 경우 시험 참여자의 진료비와 의약품 투약비용 등에 건강보험을 적용해 지원하기로 하고 지난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기사원문기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748992&plink=NEW&cooper=SBSNEWSSECTION □ 연극 '피와 씨앗' 장기이식 문제로 본 생명윤리…"이타주의가 폭력이 된다면?" 〇 2016년 영국에서 선보였던 작품 '피와 씨앗'이 '두산인문극장 2018: 이타주의자'를 통해 관객과...
2018.05.09 조회수 16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8일]
□ 생명보다 중한 건 없어 … 낙태죄 없애면 윤리 붕괴 〇 6일 전국 천주교 성당의 미사 때 모든 신부는 신자들 앞에서 ‘생명 주일 담화문’을 읽음. “우리 사회에는 미혼모와 미혼부를 비롯해 홀로 마음에 상처를 품고 살아가는 이들도 많습니다. 이제 교회 공동체는 그들과 상처를 함께 나누고자 나서야 합니다.” 신자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이번 담화문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가 준비함. *기사원문보기: http://news.joins.com/article/22598070 □ 미 아이오와 "태아 심장박동 시 낙태금지" 초강력 법 제정 〇 미국 아이오와주가 태아에게서 심장박동이 감지되면 원칙적으로 임신중절(낙태)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미국 내에서 가장 강력한 임신중절 금지법을 곧 시행하기로 함. 일반적으로 임신 6주 이후 태아에게서 심장박동이 감지되기 시작함.이때까지는 여성들이 임신...
2018.05.08 조회수 14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4일]
□ 실험용 쥐들에게도 ‘볕 들 날’ 올 수 있을까? 〇 국회에서 4월24일 ‘세계 실험동물의 날’을 맞아 농림축산식품부와 동물복지국회포럼 주최로 실험동물 복지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림. 이 토론회에서 실험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보호법에 ‘실험동물의 보호·복지에 관한 조항’을 명시하자는 동물보호법 개정방향이 제안됨. 지난 몇 년 동안 수 차례의 동물보호법 개정이 있었지만, 실험동물의 복지는 큰 관심을 받지 못함. *기사원문보기: http://hankookilbo.com/v/549c1f4cb42947a1b8657fb8bbdefccc □ 해외 불법 원정 장기이식 여전…인식개선 통한 기증활성화 시급 〇 해외 원정 장기이식 근절을 위해 해외 이식환자에 대한 상시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건강보험 적용 금지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됨.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2018.05.04 조회수 18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일]
□ "제2 이대목동 사건 막아라"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에 사회·윤리부분 추가 O 환자를 외면하거나 의사 폭행 등 사회·윤리적 문제가 발생하면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재검토함.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 질을 담보하는 평가 조항도 확대함.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 부산대병원 전공의 폭행 등 상급종합병원 내 환자 안전 문제가 대두된 데 따른 후속조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연말까지 이 같은 내용의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 체계 개선안을 마련한다고 2일 밝힘. *기사원문보기: http://www.etnews.com/20180502000067 □ 동물 학대 그만” 자라•H&M 등 SPA 모헤어 제품 퇴출 〇 앙고라 산양에서 채취한 고급 모섬유 ‘모헤어’가 국제 패션계에서 급속히 퇴출되고 있음. 동물보호 여론 확산으로 젊은 소비자 사이에 동물 복지와 환경 문제까지 고려한 윤리적 소비가 트렌...
2018.05.03 조회수 13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일]
□ 日, 배아줄기세포 이용 환자치료 첫 임상시험 개시 〇 일본의 연구기관이 배아줄기세포(ES세포)를 이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일본 내 첫 임상시험을 개시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1일 전함. 요미우리는 "ES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 계획이 지난달 30일 도쿄(東京)에 있는 국립성육의료연구센터에서 시작됐다"고 보도. 시험 계획은 간 질환이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하며, 이르면 올해 가을 첫 번째 이식이 이뤄질 것으로 알려짐. *기사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01/0200000000AKR20180501054600073.HTML □ 영국 인공지능 육성에 민·관 합동 10억 파운드 투자 〇 영국 정부에 따르면 50개 이상 기업이 영국 인공지능(AI) 산업 개발과 촉진을 위해 약 10억 파운드 규모 민관협약(섹터딜)에 참여함. 이번 협약은 민간 부문 투자 3억 파운드를 포함. 이번 협약은 영국 대규모 혁신...
2018.05.02 조회수 16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30일]
□ 복지부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 공청회' 개최 〇보건복지부는 30일 서울 페럼타워에서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 보건복지부가 주최, 주관하고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후원하는 공청회에서는 DTC 유전자 검사 제도개선을 주제로 일반 소비자, 유전자검사산업계, 연구자, 학회, 의료계, 정부 등 각계의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청취함. *기사원문보기: http://www.etnews.com/20180430000448 □ 로봇에 ‘전자인간’ 법적 지위 줄까 말까, 찬반 격화 〇 인공지능(AI) 로봇에게 ‘전자인간’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바람직할까? 4월초 한국과학기술원의 인공지능 무기 개발을 둘러싸고 전세계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반대 성명을 내어 화제가 되었는데,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로봇에게 ‘전자인간’(electronic person...
2018.05.01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7일]
□ 복지부, 연명의료 중단 결정 위한 ‘환자가족’ 범위 축소 검토 〇보건복지부가 연명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는 환자가족 범위를 축소하기로 함. 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 박미라 과장은 최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오는 9일 연명의료전문위원회를 개최해 이같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힘. * 기사원문보기: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5324 * 관련기사: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19308&MainKind=A&NewsKind=100&vCount=12&vKind=1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238 □ 정밀의료… 의학 패러다임을 바꾸다 〇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란 개념이 등장해 의료계 전반에 활력소가 되고 있음. 유전정보, 생활습관 등 개인 건강정보를 토대로 최적화된 진단 및 치료를 적용하는 새로운...
2018.04.27 조회수 9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6일]
□ 복지부 “진찰만 해도 의원 운영되도록 제도 바꾼다” 〇 “의원급 심층진찰 적용에 앞서 기본적인 진찰 정의와 함께 진찰료 안에서 수행돼야 할 의료행위 범위를 정하는 일이 먼저다. 향후 개원하는 의사들에 합당한 진찰료를 부여, 진찰만 해도 운영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도록 제도를 바꿔나갈 예정이다.” 정통령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장[사진]은 25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난 자리에서 최근 의원급 의료기관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심층진찰’과 관련한 이 같은 방향성을 제시함. *기사원문보기: https://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29967&thread=22r01 □ 동물윤리와 과학 발전 사이에 고민 깊어지는 생명공학자들 〇 지난 24일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전국동물활동가연대 관계자들이‘세계 실험동물의 날’을 맞아 ...
2018.04.26 조회수 13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5일]
□ 박홍근, ‘동물실험윤리 증진 및 실험동물 복지 확대 위한 토론회’ 개최 〇 동물복지국회포럼 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서울 중랑구을)이 2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동물실험윤리 증진 및 실험동물 복지 확대를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음. 이번 토론회에는 박홍근 의원 외에도 더불어민주당 노웅래·박병석·송옥주·원혜영 의원 등 많은 의원이 참석해 실험동물의 복지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을 실었음. *기사원문보기: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43167 * 관련기사: http://news1.kr/articles/?3298895 (비윤리적 동물실험 줄이자, 동물단체들, 실험동물 복지 촉구) □ 의약·기기 개발에 희생 동물 애도…`동물실험헌장` 제막 〇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직무대행 송규호 본부장) ...
2018.04.25 조회수 17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4일]
□ 울산시 게놈 건강리포트 제공사업 호응…1736명 신청 5.8대 1 〇 울산시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3일 UNIST에서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게놈 기반 바이오메디컬산업 육성사업) 3차 연도 사업 참여자 300명을 선정한다고 밝힘. 유전자 정보를 기증할 울산시민을 4월 2일부터 20일까지 공개 모집한 결과, 총 1736명이 참여를 신청. *기사 원문보기: http://news.joins.com/article/22560550 * 관련기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4/23/0200000000AKR20180423155600057.HTML □ 바이오 중소기업 대상 완화돼야 할 규제로 'DTC'·'의료용 앱' 꼽혀 〇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최근 '규제정책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책임자: 안승구 선임연구위원)' 보고서를 통해 정부 정책을 집행하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2018.04.24 조회수 15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3일]
□ 세계 최고 이종이식 기술, 불법연구 내몰릴 판 〇 서울대 의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연구진들은 최근 보건산업진흥원의 연구업적 평가를 받으며 충격에 빠짐. 업적평가를 맡은 한 위원이 “우리나라에 이종이식과 관련된 법도 없는데 당신들이 임상시험을 한다고 국가에서 연구비를 받은 것 자체가 사기”라고 지적했기 때문. 연구진들은 “황무지와 다름없는 이종이식 연구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결과가 ‘사기’로 치부돼 참담하다”며 분을 참지 못함. *기사원문보기: http://hankookilbo.com/v/15580d6b9e4e486fb0b458645fdafcbc □ 일반인도 쉽게…'바이오 인공장기' 서적 나왔다 〇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 인공장기 기술이 향후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논의한 결과를 담은 '바이오 인공장기의 미래' 책자를 지...
2018.04.23 조회수 1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0일]
□ 정신과, 의사 윤리 강화 추진…전문의 시험에 의료윤리 문항 신설 〇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회원 윤리 교육 강화에 나섬. 학회 내 윤리위원회의 규모와 역할을 확대하고 전문의 시험에 윤리 문항을 20% 출제하기로 함. 2020년 전문의 시험부터 적용될 예정. 신경정신의학회가 윤리 강화에 나선 배경은 최근 배우 유아인씨에 대해 정확한 진찰도 하지 않은 채 '경조증'이라는 진단을 내리거나 자신이 진료하고 있는 환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가져 논란을 일으킨 바 있는 모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때문. * 기사원문보기 :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5058 * 관련기사: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29765 □ 낙태법 유지를 바라는 시민연대 ‘공동성명서’ 〇 국내 생명보호단체 주최로 4월 18일 수요일 오전 10시 30분, 광화문북측광장에서여성의...
2018.04.20 조회수 19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9일]
□ 낙태죄 폐지 반대 공동 캠페인 〇 낙태죄 폐지를 요구하는 헌법 소원이 제기되 가운데, 낙태반대운동연합과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등 낙태법 유지를 바라는 시민연대가 18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낙태죄 폐지를 반대하는 대회를 열었음. 시민연대는 "2012년 낙태죄 위헌 소송 판결에서 낙태죄가 합헌이라는 결정을 이미 내린 바 있다"며, "생명을 지키고 여성을 보호하고자 하는 절박한 마음으로 낙태죄 폐지를 반대한다"고 말함. * 기사원문보기 : http://www.nocutnews.co.kr/news/4956926 * 관련기사: http://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4208 (제 배 속에 있는 이 아이는 사람이 아닌가요?) □ 인공장기 시장 성장 ‘제도 정비가 우선’ 〇 바이오 인공장기를 우리나라 대표 미래 기술로 만들기 위해 연구개발을 가속함과 동시에 관련 규제 및 제도의 선제적인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
2018.04.19 조회수 18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8일]
□ 심평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도움 나서 〇 심평원이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방법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해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최신 동향과 다양한 활용 사례, 분석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긴 책자를 발간.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 경험이 부족해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을 돕기 위해 ‘HIRA 빅데이터 브리프’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힘. * 기사원문보기 :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1776 □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무궁무진‥제도 개선 '과제' 〇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무궁무진한 활용 방안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 정보 활용을 가로막는 법과 제도들로 인해 한계에 부딪힌다는 주장 나옴. 6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연구원에서 개최된 제43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에서 최인순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네카)이 보건의료분야 연구 활성화를 위해 제도 ...
2018.04.18 조회수 11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7일]
□ 유전자 정보에 의한 차별, 어떻게 막아야 할까 〇 유전체 시퀀싱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그 비용도 빠르게 감소,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음. 개인의 유전 정보가 널리 활용되면서 유전자 정보때문에 사회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는 유전자 차별 위험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음. * 기사원문보기 : http://www.medigatenews.com/news/3026247680 □ 국민투표 이끌어내고, 정권까지 갈아치운 ‘낙태 이슈’ 〇 여성의 임신을 중단할 권리에 대한 논란과 변화 요구는 많은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음. 다음달 25일 아일랜드에선 낙태 허용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됨. 가톨릭 신자가 많은 폴란드도 낙태 이슈로 시끌시끌함. 극우 민족주의 성향의 집권당 법과정의당(PiS)이 최근 낙태의 전면 금지를 추진하면서임. 독일도 이른바 ‘낙태 광고 금지법&rsq...
2018.04.17 조회수 16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6일]
□ 갈 길 먼 바이오헬스 산업 〇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의료에 응용되면서 바이오헬스라는 분야가 부상함. 낙관적인 전망을 위해서는 의료와 병원에 대한 전통적인 생각이나 의료서비스의 속성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야 함. 지금까지 의료는 치료와 회복의 의미였고 병원이 그 중심지였으나, 바이오헬스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병원이 치료의 중심을 넘어 연구개발의 중심지가 되어야 함. 의 * 기사원문보기 : http://news.joins.com/article/22538147 □ 의사협회 27일 집단휴진 유보…“5월 20일 총궐기대회” 〇 의사들이 오는 27일 집단휴진을 하기로 예고했다가 철회하기로 결정. 정부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을 일방적으로 시행한다는 이유를 들어 휴진을 하기로 했지만, 이날 남북 정상회담이 열려 집단 휴진에 대한 의사들 내부에서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내부 지적에 따른 것. 대신 의사...
2018.04.16 조회수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