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12일]
□ [사진오늘] 신드롬과 추문, 자랑과 수치 사이 〇 2월 12일에는 이런 일이 - 2004년 2월 12일, 황우석 연구팀이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 그러나 2005년 11월 22일, MBC 'PD수첩'이 '황우석 신화의 난자 의혹'편을 방영하며 '황우석 열풍'에 정면으로 도전. '황우석 의혹'-'황우석 파문'-'황우석 충격'-'황우석 추락'으로 커지며 그의 논문은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조작물'임이 서서히 드러남. *기사원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26/0200000000AKR20180126082700013.HTML □ 로봇과 사람의 공존을 위한 논의, AI 윤리헌장 〇 지난 1월의 마지막날, 카카오가 국내 기업 중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및 윤리에 관한 알고리즘 규범(이하 AI 윤리헌...
2018.02.13 조회수 26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9일]
□ 성범죄·생명윤리위반 의대생, 최대 3년 간 국가시험 제한 〇 성범죄를 저지르거나 생명윤리를 위반한 의대생에게 최대 3년간 의사국가고시를 제한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나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은 해당 내용을 담은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8일 대표 발의. *기사원문보기 : http://www.medigatenews.com/news/3045742895 □ 한국 장기 이식수술, 시작은 늦었지만 세계 정상급 수준 〇 가톨릭의대가 1966년 국내 최초로 각막이식에 성공한 데 이어 69년 신장이식에도 성공, 국내에 장기이식 시대를 열었음. 이후에도 가톨릭의대가 83년 조혈모세포이식, 88년 서울대의대가 간 이식 수술을 국내 처음으로 성공. 한국 의료계의 장기 이식수술은 이제 세계 정상 수준임. 특히 장기이식수술 중 가장 까다롭다는 간 이식수술은 이미 최정상급. *기사원문보기 : http://news.joins.com/article/22...
2018.02.09 조회수 12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8일]
□ 사실혼, 미혼 여성도 난임 치료 때 건보 혜택 받는다 〇 사실혼 부부와 비혼자(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 여성)가 난임 시술을 받을 때도 건강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됨.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7일 “가족다양성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고 임신을 희망하는경우 사실혼 부부나 비혼자라 하더라도 건강보험 가입자라면 난임 시술 등 혜택을 동일하게 적용받을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힘. *기사원문보기 : http://news.joins.com/article/22354072 □ 전신 마비자 머리에 뇌사자의 몸 이식... 중국서 곧 수술한다 〇 머리 아래로 전신이 마비된 장애인의 머리와 뇌사자의 몸을 연결해 ‘정상적인 한 사람’을 만들어 내려는 시도. 이탈리아의 신경외과 전문의인 세르지오 카나베로 박사와 중국 하얼빈의대 런샤오핑(任曉平) 신경외과 교수가 진행하고 있는 ‘헤븐 프로젝트&rs...
2018.02.08 조회수 16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7일]
□ 우려 많은 연명의료법... “왜 걱정부터 하나?” 〇 2월 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연명의료결정법(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은 크게 우려할 것이 없다는 의견. 전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3324곳 가운데 윤리위원회를 설치한 기관이 59곳(1.8%) 밖에 되지 않아 연명의료 중단 결정을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있지만, 모든 의료기관이 윤리위원회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 때문. *기사원문보기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589 □ 논산, 자살예방 생명존중 위원회 개최 〇 논산시(시장 황명선)는 6일 영상회의실에서 ‘2018 논산시 자살예방 생명존중위원회’ (이하 생명존중위원회)를 개최함. 논산시 생명존중위원회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 정책의 계획 수립과 시...
2018.02.07 조회수 17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6일]
□ 연명의료제도 시행 3일…환자가족 합의 연명의료 중단 2건 나와 〇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이 공식 출범한 5일 이후 등록된 연명의료계획서는 12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48건으로 집계됐음. 또한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가족 전원 합의에 의한 연명의료 중단이 2건 발생했음.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이 정상적인 업무를 시작한 5일 오후 8시 기준이며, 연명의료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해 보고됐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295 □ '입원전담 전문의' 시범사업 확대…하반기 본격 시행 〇 보건당국이 입원한 환자를 전담해 진료하는 '입원전담 전문의'제도의 올해 하반기 시행 목표로 시범사업을 연장 시행하기로 했음.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시행한 입원전담 전문의 시범사업을 올해 하반기로 잡고 있는 본사업으...
2018.02.06 조회수 14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5일]
□ '인공호흡기 안합니다'…연명의료결정제도 오늘(2018.2.4.) 시작 〇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될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환자가 불필요한 연명의료를 중단하고 자연스러운 이별을 받아들이도록 돕는 '연명의료결정제도'가 4일 시행에 들어갔음. 연명의료 중단 및 유보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생명을 인위적으로 끝내는 '안락사'(安樂死)와는 다른 개념임. *기사원문보기 : http://news.joins.com/article/22343408 □ 중고등학교 학생들, 학교서 건강관리 '빨란불' 〇 서울의대 건강사회정책연구실은 학교의 학생 건강 관리 활동과 학생 개인의 건강상태를 함께 측정하는 '학교건강지수' 개발을 위해 전국 10개 시군구 소재의 총 30개 중·고등학교의 보건 담당자 및 재학 중인 2569명의 학생(면접조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일 서울의...
2018.02.05 조회수 16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2일]
□ 3D 프린터로 귀 이식 성공했다 〇 최초로 과학자들이 3D 프린터로 인쇄된 금형에서 기른 세포로 아이들에게 새로운 귀를 만들었음. IT매체 엔가젯은 1일(현지시간) 과학자들이 선천성 귀 질환을 가진 5명의 아이들에게 3D 프린터로 인쇄한 금형에서 기른 세포로 만든 귀를 성공적으로 이식했다고 보도함. 연구진들은 아이들의 건강한 귀 모양을 스캔해 3D 모델링을 만든 다음, 이 모델링을 형태가 변형된 귀로 반전시켜 금형을 만들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202113048&type=det&re= □ 국민 절반, 병의 중증도 상관없이 대학병원 이용 〇 국민 2명 중 1명은 질병 중증도와 관계없이 본인이나 가족이 원해 대학병원을 이용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음.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은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남녀 총 1,012명을 대상으로 '의료이...
2018.02.02 조회수 22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2월 1일]
□ 인권위 "밀양 화재 참사, 생명권·안전권 강화 계기 돼야" 〇 국가인권위원회가 경남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에 대해 생명권·안전권 강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음. 인권위는 1일 이성호 위원장 명의로 성명을 발표하고 "위원회는 기본적으로 헌법상 보장된 재난으로부터 보호받은 권리, 인간다운 생황을 영위할 권리와 이를 위한 기본적인 안전조치 마련이라는 국가의 의무와 관련된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음. *기사원문보기 : http://news1.kr/articles/?3223208 □ 복지부, 정신과 상담수가 인상…상담치료 활성화 기대 〇 오는 4월부터 정신과 치료 시 상담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담수가가 인상되고 본인부담금은 낮아질 예정임. 보건복지부는 31일 오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정신치료 수가체계 개편, 인지‧행동치료 급여화 등을 담은 건강보험 행위급여, 비급여...
2018.02.01 조회수 1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31일]
□ AI로봇 '소피아' 어디까지 진화할까…"상상력 갖게 할 것" 〇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인공지능(AI) 로봇 소피아는 인간과 흡사한 외모에 비교적 능숙한 대화 기술로 대중의 관심을 끌었음. 개발사인 핸슨 로보틱스는 자기인식과 상상력을 갖는 등 인간 수준으로 진화시키겠다는 목표지만, 윤리적·사회적 논란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힘. 로봇에 인격권을 부여하는 방안은 사회·윤리적 논란을 피할 수 없을 전망임. *기사원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30/0200000000AKR20180130120200017.HTML?input=1195m □ 임상시험 이상작용 허위보고시 징벌적 과징금 부과 〇 임상시험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이상반응)을 허위로 보고할 경우에는 징벌적 과징금을 부과받게 될 예정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치료기회를 확대하기...
2018.01.31 조회수 9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30일]
□ 유전자 기반 표적치료제, 유전자가위 의약품 평가 가이드라인 제‧개정 〇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의약품·의약외품‧화장품‧의료기기 등 의료제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67종의 의료제품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개정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음. 이번 가이드라인 제‧개정은 '유전자 기반 표적치료제 허가심사 가이드라인'과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질·비임상 평가 가이드라인'도 포함함. *기사원문보기 : http://www.medigatenews.com/news/3847603120 □ 아일랜드, 5월말 낙태금지 폐지 여부 국민투표 실시 〇 아일랜드에서 오는 5월말 낙태를 금지하는 헌법조항을 폐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국민투표가 실시될 예정임. BBC는 29일(현지시간) 아일랜드 정부가 오는 5월말 국민투표를 실시하는데 동의했다고 보도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newsis.com...
2018.01.30 조회수 14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9일]
□ 중국 세계최초 ‘영장류’ 복제성공에 교황청, 우려 표명 〇 25일 교황청 생명학술원의 빈첸초 팔리아 원장은 이날 중국 연구진이 SCNT 방식의 원숭이 복제 소식에 “성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올바른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음. 이어 팔리아 원장은 “이런 성취를 이루기까지 많은 동물의 희생된다”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개입 결과를 숙고하고, 향후 인체에 대한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news.joins.com/article/22322537 *관련기사 : http://www.nibp.kr/xe/board2_3/110253 □ '환자보호 vs 환자인권' 신체억제 논란 재점화 〇 188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남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를 계기로 환자 결박을 둘러싼 논란이 재가열 되는 모습임. 당시 다수의 환자가 결박 상태에 있어 구조가 늦어진 ...
2018.01.29 조회수 1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6일]
□ 외상센터 늘리고 응급의료체계 강화한다 〇 보건복지부는 23일 있었던 업무보고를 통해 필수의료 강화를 올해 주요 과제에 포함해 권역외상센터 지원을 늘리고 중증외상과 응급의료의 국가 지원을 강화할 예정임. 복지부는 권역외상센터 운영을 현행 10개소에서 13개소로 확대하고, 의료인의 인건비 지원을 확대함. *기사원문보기 : http://www.medigatenews.com/news/1782781773 □ 의료감염 전국 실태조사…6월중 종합대책 발표 〇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건을 계기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의료관련감염 전국 실태조사'가 실시됨.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2~3월 감염내과 의사·간호사 등 민간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 조사단을 꾸려 현장조사를 벌인다고 25일 밝혔음. 대상기관 종합병원, 중소병원, 요양병원 등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조사단이 모든 병원을 상대로 서면...
2018.01.26 조회수 1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5일]
□ 세계 최초 복제 원숭이 탄생, 다음은? 〇 중국 상하이의 중국과학원(CAS) 신경과학연구소 연구팀은 "SCNT 기법으로 마카크 원숭이 2마리를 복제했다"고 발표했음. 인간과 같은 영장류에 속하는 마카크 원숭이 복제에 성공함으로써 복제 인간도 가능한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CAS 연구팀은 "인간 복제의 장벽 하나를 허물었다"고 말했음. 하지만 연구팀이나 다른 전문가들은 가까운 시일 내에 인간 복제에 성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25943_2892.html □ 식약처 "임상 참여횟수 연 2회로 줄이고 보험가입 의무화" 〇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24일 “올해 안으로 임상시험 참여횟수를 연간 4회에서 2회로 제한하고, 12월까지 제약사나 연구자 등 임상시험을 승인받은 자가 보험 가입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약사법을 개정하는 작업을 ...
2018.01.25 조회수 14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4일]
□ 4차산업 헬스케어 특위, 보건의료 생태계 조성 ‘앞장’ 〇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미래 기반의 보건의료 생태계 조성에 본격 나설 예정임.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4차위) 헬스케어특별위원회는 최근 비공개 워크숍을 시작으로 관련 추진 안건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 논의에 돌입했다고 밝혔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785 □ 최근 5년간 자살한 7만명 전수 분석, 맞춤형 대책 찾는다 〇 정부가 처음으로 범정부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만들어 23일 공개했음.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현재 10만 명당 25.6명인 자살률을 2022년 17명까지 줄이는 게 목표”라고 말했음. 정부는 먼저 경찰청 자살 사건 수사 기록을 토대로 최근 5년간(2012~2016) 자살 사망자 7만 명을 전수 분석하고 자살 동기와 자살자의 특성, 지역별 특...
2018.01.24 조회수 9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3일]
□ 하루 36명, 40분마다 1명 자살하는 나라…13년째 OECD 1위 〇 2003년 이후 2016년 현재까지 13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위였으며 사회구성의 기본단위인 개인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일이 끊이지 않는다는 것은 가정과 국가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임. 정부가 생명존중 문화확산을 통해 2022년까지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을 20명 이내로, 연간 자살자 수를 1만명 이하로 끌어내리겠다고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세워 추진하는 배경임. *기사원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22/0200000000AKR20180122153500017.HTML?input=1195m □ 고가 약에 뿔난 환자들 청와대에 울분 토로 〇 청와대 국민청원 페이지에 치료제 비용 부담으로 인해 보험급여 등을 요구하는 환자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음. 2018년 1월 현재 국민청원 페이지에 치료제 급여를 요...
2018.01.23 조회수 12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22일]
□ “임상검증 없는 의료 인공지능(AI), 환자에게 독” 〇 박성호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팀은 지난 8일 영상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 ‘영상의학(Radiology)’에 게재한 논문(‘임상검증 방법론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에서 “의료 AI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과 의료정보 산업화가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AI 의료기술이 환자에게 적용될 때 얼마나 정확하며, 안전한지에 대한 임상검증은 간과되고 있다”고 밝혔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hankookilbo.com/v/3c86f4feb50d4a74a18b5717d6ce3398 □ 계산대 없는 무인 편의점 '아마존 고' 일반에 공개 〇 지난해 미국 최고급 식료품 체인인 홀푸드를 137억 달러(15조 원)에 인수한 아마존이 계산대 없는 무인마트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면서 전통적 시장 개념이 탈바꿈하게 될 것이...
2018.01.22 조회수 14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9일]
□ 웰다잉법 시행 앞두고 ‘의료기관윤리위원회’ 신청 〇 오는 2월4일 사회적 관심이 높은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는 가운데 각 병원별로 설치돼야 할 ‘의료기관윤리위원회’ 신청이 시작됨. 18일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에 따르면, 연명의료 중단 등 업무를 수행하려는 의료기관은 윤리위원회를 구성해야 함. 각 병원별로 윤리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 5~20명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외부 위원 1명 이상, 종교계·법조계·윤리학계·시민단체 등에서 2명 이상 포함돼야 함. *기사원문보기 :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26622&thread=22r02 □ 돼지-줄기세포-3D프린터… ‘인공장기’ 기술 실용화 성큼 〇 2013년부터 5년간 국내에서만 7776명의 이식 대기환자가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음.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사람에게 필요한 장...
2018.01.19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8일]
□ 인권위 '혐오표현 대응 특별팀' 구성…온라인 확산 적극 대처 〇 국가인권위원회가 온라인상에서 갈수록 확산하는 혐오표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별도의 특별팀을 구성하기로 했음. 인권위는 이 같은 방안이 특별사업으로 포함된 '2018∼2020 제5기 인권증진 행동계획'을 17일 공개했음. 인권위 산하에 3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혐오표현 대응 특별팀은 형사처벌 대상까지는 아니지만, 인권위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는 혐오표현의 범주를 명확히 밝히는 작업을 벌이기로 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17/0200000000AKR20180117133300004.HTML?input=1195m □ 복지부, 올해 ‘사무장병원‧면허대여 약국’ 단속 대폭 강화 〇 의료기관정책과 관계자는 “지난해 한방병원, 의료생협, 요양병원 등 142곳을 사무장병원 의심기관으로 조사했...
2018.01.18 조회수 1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7일]
□ 의약분업 예외지역 약국 '전문약 판매규제' 강화 〇 정부가 의약분업 예외지역 약국 전문약 판매를 규제하는 한편 의약분업 예외지역에 개설된 약국, 의료기관 등의 관리 체계를 개선함. 보건복지부는 ‘의약분업 예외지역 지정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고시안’을 15일 행정예고하고, 다음달 9일까지 의견수렴에 나설 예정임. 이에 따르면 의약분업 예외지역 내의 약국개설자가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처방전에 의해 판매해야 하는 품목을 지정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190748&table=article&category=C □ 가족과 함께 사는 노인, 수발자 없으면 요양기관 더 많이 간다 〇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실린 ‘장기요양 인정자의 최초 재가급여 선택과 유지 및 이탈에 대한 영향요인’(석재은 한림대...
2018.01.17 조회수 13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6일]
□ 자살, 중장년·노년층보다 청년층 더 쉽게 생각 〇 경기도 용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의 ‘용인시민 자살 인식도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총 조사대상자 514명 가운데, 자살생각과 시도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자살 허용성 인식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남성일수록, 청년층일수록, 미혼일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높았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08253 □ 말기·임종 환자 80여명 ‘웰다잉’ 선택 〇 석 달간 진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일명 웰다잉법) 시범사업을 통해 말기나 임종 과정의 환자 80여명이 합법적 존엄사를 선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으며 이들 중 절반 정도는 실제 이행된 것으로 알려졌음. 이들은 의사로부터 질병 상태와 치료법, 연명의료 시행·중단 방식 등을 듣고 스스로 연명의료계획서(POLST)를 작성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
2018.01.16 조회수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