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5일]
□ '1년에 3일' 턱없이 부족…"난임 시술 위해 퇴직도 고민" 〇 정부가 올해부터 난임 휴가 3일을 쓸 수 있도록 했지만, 배란유도 주사를 맞고, 난자와 정자를 채취한 뒤 수정란을 배양시켜 자궁에 이식하는데 한 번 시술받을 때마다 10번은 넘게 병원에 다녀야 하가 때문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임. 공무원은 질병 휴직이라도 신청해 난임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일반 기업에 다니는 여성은 난임 시술을 받겠다고 따로 휴가를 낸다는 게 여의치 않음. *기사원문보기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73540&plink=ORI&cooper □ 공익적 목적 임상시험, 상반기 내 건보 적용 논의 〇 1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공익적 목적 임상시험의 건강보험 적용 논의를 위한 고시 개정 작업을 진행 중임. 이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소를 통해 '공익목적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 건강...
2018.01.15 조회수 8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2일]
□ 정부 보건의료 R&D '기술·산업'→'윤리·공익' 〇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정책이 산업‧기술 중심에서 윤리‧공익적 가치 추구로 무게중심을 이동할 예정임.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1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2018 보건의료 R&D 혁신을 위한 대국민 토론회(공청회)'를 개최하며, 이 같은 정책 변화를 예고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26386&thread=22r01 □ 비배우자 통한 인공수정 사실 '아이에게 알리겠다'...국민 인식 변화 〇 배우자가 아닌 정자은행에서 받은 정자를 통해 낳은 아기에게 나중에 ‘사실을 알리겠다’는 응답률이 13년 새 10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한국 사회도 비(非)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임. 이번 연구에 ...
2018.01.12 조회수 17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1일]
□ ‘죽음을 파는 사회’…반성과 변화 없는 언론의 자살 보도 〇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자살예방협회, 보건복지부는 자살 보도가 수용자에게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 2013년 ‘자살보도권고기준2.0’을 만들었음. ‘자살이라는 단어를 자제할 것’,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미화나 합리화를 피할 것’, ‘자살을 사회적 문제 제기를 위한 수단으로 삼지 않을 것’ 등 가이드라인은 이미 마련되어 있으나 현장에서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111500009&wlog_tag3=naver □ '블록체인과 의료의 만남' 혁신과 우려 공존 〇 IT기술 발달과 함께 소비자 중심의 의료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블록체인을 의료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10일 '의료분야에서의 블록체인 활용방안 정책간...
2018.01.11 조회수 11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10일]
□ 투석치료 재소자 팔·발목에 수갑…인권위 "신체자유 침해" 〇 중환자인 재소자가 병원 치료를 받을 때 발목과 팔에 수갑을 채워놓은 행위는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국가인권위원회 판단이 나왔음. 인권위는 A 교소도에 수감된 조 모(63) 씨가 제기한 진정을 받아들여 교도관들이 필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보호장비를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지도·감독을 철저히 하라고 교도소장에게 권고했다고 9일 밝혔음. *기사원문보기 : http://yonhapnews.co.kr/YNA/Basic/SNS/r.aspx?c=AKR20180108152500004&did=1195m □ 일주일에 한 번 먹는 AIDS 약 인체 대상 임상시험 시작된다 〇 돼지를 대상으로 한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끝나 한 주에 한 번 경구로 투여하는 AIDS 치료제에 대한 인체 대상 임상시험이 곧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9일 미 MIT 연구팀등은 서서히 배출되는 경구로 복용...
2018.01.10 조회수 2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9일]
□ 공원ㆍ문화시설 증가하면 자살률 감소 〇 공원 면적과 문화기반시설 수가 증가하면 지역 내 평균 자살률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음. 송나경 광운대 SSK 정신건강과 지역사회연구단 연구팀은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2009~15년 지역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225개 시군구의 환경적 요인과 자살률과의 관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5일 밝혔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hankookilbo.com/v/ae76bd7fa87d4889a8884131acae281f □ 유전자요법으로 소아 당뇨병 '쥐' 치료 성공 〇 미국 피츠버그대학 아동병원 외과 과장 조지 기티스 박사는 췌장에 있는 알파 세포를 인슐린을 생산하는 베타 세포로 유전자 변형시켜 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유전자요법을 개발했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5일 보도했음. 1형 당뇨병 모델 쥐에 이를 실험한 결과 알파 세포가 베타 세...
2018.01.09 조회수 24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8일]
□ 눈 유전자치료제 9억…"혁신 대가" vs. "제약 폭리" 〇 지난해 말 FDA(미국식품의약국) 허가된 스파크 세라퓨틱스(Spark Therapeutics)의 유전자치료제가 고가약 대열에 합류했음. 3일(현지시각) 미국의 의약전문지 피어스파마(FiercePharma)에 따르면, 스파크사는 '럭스터나(보레티젠 네파보벡)'의 투여가격을 단안당 42만 5000달러로 책정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dailypharm.com/News/235320 □ "화이자, 알츠하이머·파킨슨병 신약개발 중단" 〇 글로벌 제약회사인 화이자가 퇴행성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의 신약개발을 중단한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전했음. 화이자는 막대한 개발 비용과 낮은 성공 가능성을 이유로 이 같은 결정을 내림. 그동안 화이자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의 신약 임상시험에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음. *기사원문보기 :...
2018.01.08 조회수 18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5일]
□ 일본 사례로 본 고령사회 대응 방향 〇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8 고령사회 도래와 미래 준비'라는 주제로 발간한 보건복지포럼 12월호에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 사례를 통해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모색한 연구 보고서가 실렸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윤경 연구위원은 '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대응 방향 모색: 일본 사례의 시사점 검토'라는 보고서를 통해 본격적인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고령사회 대응 종합계획(안)'을 저출산 계획과 별도로 수립할 것을 제안했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medigatenews.com/news/2723203040 □ 지능정보 윤리 가이드라인에 ‘킬 스위치’ 조항 포함된다 〇 정부가 준비 중인 지능정보사회 윤리 가이드라인에 지능정보 기술 개발 시 '절대적 동작 중지' 일명 ‘킬 스위치’ 기능을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길 것...
2018.01.05 조회수 11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4일]
□ 정부, AI 활용 신약개발에 3490억 투입 〇 정부가 바이오 분야를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작업에 착수함. 신약개발 분야에 594억원의 예산을 마련해 신개념 항암제, 유전자 치료제 등 32개 혁신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할 계획임. 헬스케어 분야에선 253억원을 들여 모바일 융복합진단 기기, 생체삽입 심장 모니터링 기기 등 43개 유망 의료기술 개발을 지원함. *기사원문보기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77689&code=11151400&cp=nv □ 中, 지하철 승객 표정까지 들여다본다 〇 2012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후 현재까지 전국에 2000만 대의 폐쇄회로(CC)TV 카메라 감시망을 구축한 중국이 이번엔 지하철 승객의 미세한 표정까지 포착하는 감시 시스템을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 지하철에 도입했음. *기...
2018.01.04 조회수 11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월 3일]
□ 정신질환 아들과 동반자살 시도 아버지 '집행유예' 〇 정신질환을 앓는 아들과 함께 목숨을 끊으려했던 아버지에게 집행유예가 선고됐음. 대전지방법원은 최근 살인미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씨에게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음. A씨는 정신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한 아들의 증세가 점점 악화되고 부자간에 갈등이 심화되자 동반 자살을 기도한 것으로 드러났음. *기사원문보기 :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06960 □ 다리 절단위기 처한 개, 3D프린팅 뼈이식으로 세계 첫 완전치유 〇 영국 과학자들이 사고로 다리를 절단해야 할 위기에 처한 개를 입체(3D)프린팅 기술 등을 이용한 뼈 이식수술로 완전히 치유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영국 BBC방송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음. 이 치료법은 앞으로 동물뿐만 아니라 지뢰사고 등으로 위험에 처한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삶을 ...
2018.01.03 조회수 9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2일]
□ "우울증, 대인관계 개선보다 환자 중심 접근 필요" 〇 '자살예방프로그램이 나아가야할 방향(Future Directions for Suicide Intervention Services)'에 방안을 제시한 호주 뉴캐슬의대 정신건강의학센터 스콧 핏츠패트릭(Scott J. Fitzpatrick) 박사팀은 "최근 발표되는 여러 임상 연구에서도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에 가장 효과적이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모델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음. *원문보기: http://www.medicaltimes.com/Users4/News/newsView.html?ID=1115915 □ 프로포폴 투여 후 사망 환자 시신유기 의사 징역 4년 〇 창원지법 통영지원은 업무상과실치사·사체유기·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거제의 한 의원 원장인 의사 A(57)씨에게 징역 4년, 벌금 300만원을 선고했음. A씨는 환자 B(41·여)씨에게 프로포폴을 투여한 뒤 B씨가 숨...
2017.12.22 조회수 9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1일]
□ 친구 SNS에 '우울해요' 단어 있으면 바로 신고하세요 〇 1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 당 평균 자살률은 28.7명으로 2위인 헝가리(19.4명)보다 크게 높으며 특히 10대·20대 청년 사망 원인 중 1위가 자살일 정도로 청년층에서 문제가 심각함. 10대 때는 과중한 입시부담과 학교폭력, 20대 땐 취업난과 주거불안 등이 겹치면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많은 것임. *원문보기: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839281 □ '25년 전 냉동 배아' 출산 성공…엄마와 한 살 차이 〇 미국에서 25년 동안 냉동 보관된 배아를 이식받은 여성이 출산에 성공했음. 이 부부는 남편의 유전 질환으로 그동안 아이를 갖지 못했으나 올해 초 미국 국립 배아 기증센터에 냉동 배아 이식을 신청했음. 눈동자와 머리카락 색깔 등 유전 정보를...
2017.12.21 조회수 11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20일]
□ 복지부, '제2기 생명윤리 민ㆍ관 협의체' 구성 및 운영 개시 〇 보건복지부는 생명윤리법 개정방안을 마련하고자 ‘생명윤리 2기 민ㆍ관 협의체’ 1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음. 이번 협의체에서는 그간 이슈화 된 문제 중 생명윤리법 쟁점사항을 중심으로 개정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2개 분과로 구성되어 운영될 예정임.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05732 □ 노인요양병원들 화났다 "불법 사무장병원 근절" 〇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가 전체 요양병원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불법 사무장병원'을 근절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음. 노인요양병원협회는 "불법 사무장병원은 부당청구·보험사기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의료기관의 신뢰를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요양병원뿐만 아니라 전체 의료계의 ...
2017.12.20 조회수 12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9일]
□ 50만명분의 대변 미생물 보관하는 ‘대변은행’ 생긴다 〇 50만명 분의 대변 미생물을 보관하는‘대변은행’이 국내 처음으로 전북 순창군에 설립될 예정임. 순창군은 신생아 등 건강한 대변에서 채취한 미생물을 보관해 질병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한국형‘장내 미생물 은행(대변은행)’을 순창읍 장류단지 인근 7000㎡의 부지에 내년 중 착공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음.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2181128001&code=940100 □ 이식수술 환자의 간(肝)에 자기 이름 ‘이니셜’ 새긴 英의사, 혐의가 〇 영국의 한 의사가 수술 과정에서 고의로 환자 두 명의 장기에 자기 이름 머리글자인 ‘S’와 ‘B’를 새긴 혐의로 기소됐다고, 14일 영국의 더 타임스가 보도했음. 영국 우스터셔 레디치에 사는 사이먼 ...
2017.12.19 조회수 16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5일]
□ "뇌연구 윤리문제 대응한다"…내년 '뇌신경윤리위원회' 설치 〇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뇌과학 연구로 발생할 윤리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뇌신경윤리위원회'가 내년 중 설치될 전망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뇌연구촉진법 일부개정안'을 14일 입법 예고했음.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및 지능정보화 시대에 발생할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개정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4/0200000000AKR20171214161400017.HTML?input=1195m □ 제네릭 '생물학적동등성시험 조작' 파문 〇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 만료 이후 국내 제약사들의 제네릭 발매가 봇물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이들 제품의 생물학적동등성시험 관련 조작 사건이 발생, 파문이 커질 것으로 보임. 업계에 따르면 검찰은 최근 국...
2017.12.15 조회수 13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4일]
□ 복지부, 최대 100병상 규모 ‘이동형 병원’ 구축 완료 〇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은 오는 15일 이동형 병원 출범식을 개최함. 이번에 구축된 이동형 병원은 재난 현장에서 외상환자의 수술 및 중증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최대 100병상 규모로써,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입원실, 외래, 진단검사실, CT실, 식당 및 숙소 등 이름 그대로 일반적인 병원의 주요 시설들로 구성돼 있음. *원문보기: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121408592239092 □ 10월 1일부터 건강보험 적용 중인 난임치료 시술(보조생식술)의 추가 개선방안 발표 〇 보건복지부는 난임치료 시술(보조생식술) 건강보험 적용(’17. 10. 1.) 후 제기된 요구에 대해 보조생식술, 모자보건 및 생명윤리 전문가 자문ㆍ검토 등을 거쳐 추가 대책을 마련하고,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음. *원문보기: http://www.korea...
2017.12.14 조회수 1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3일]
□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 듣는다 〇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올해 12월 12일(화)부터 2018년 3월 30일(금)까지 약 4개월 간 보건복지부 및 국민신문고 웹사이트의 "정책토론" 코너를 활용,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사업 계획(안)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들을 예정임. *원문보기: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42774 □ 외교부 “네팔서 한국민의 대리모 출산사례 있다” 〇 외교부는 12일 국내 한 매체가 보도한 '한국인 부부, 네팔서 불법 원정 대리모 출산'과 관련해 “네팔에서 우리 국민이 대리모와 관련된 출산 사례는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12일 밝혔음.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건 경위를 묻자 이같이 답했음. *원문보기: http://news.joins.com/article/22197624 □ 유명 의학학술지 편...
2017.12.13 조회수 12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2일]
□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구성 완료, 이달 중 첫 회의 〇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가 참여 위원을 확정하고 이달 중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임. 12일 정부 부처 관계자들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헬스케어 관련 부처에서 5명씩 추천한 전문가가 헬스케어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음. *원문보기: http://www.medigatenews.com/news/2034615486 □ 복지부, 12일부터 의료진 대상 연명의료결정 교육 〇 보건복지부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의료진을 대상으로 교육을 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음. 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가 심폐소생술, 혈액 투석 등 연명의료의 시행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법으로 내년 2...
2017.12.12 조회수 14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11일]
□ 무연고 사망자 통계 ‘구멍’ 논란…통계 기준 일원화 추진 〇 정부가 ‘2017년 홀로 사시는 어르신을 위한 사랑 나눔의 장’ 행사를 개최하는 등 사회적 돌봄과 나눔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하지만 최근 무연고 사망자의 통계자체가 지자체별로 다르게 집계됐다고 소식이 들리면서, 고독사 예방 대책을 세우기도 전에 관리감독 체계에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음.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04358 □ 현재 각국서 총 2,004개 면역 항암제 개발 진행 〇 전임상 단계의 연구‧개발이 진행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약물에서부터 허가를 취득한 사례들에 이르기까지 면역 항암제들의 글로벌 개발 실태를 분석한 최초의 보고서(‘임상 면역 항암제 실태에 관한 포괄적인 분석’)가 공개됐음. *원문보기: http://www.yakup.com/new...
2017.12.11 조회수 24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8일]
□ '참혹한 현장' 반복 출동 소방관들 트라우마·우울증 '고통' 〇 충북도 소방본부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충북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 의뢰, 설문조사로 소방공무원 1천377명의 정신건강을 조사한 결과 1.5%인 21명이 PTSD 위험군으로 분석됐음. 우울증에 시달리는 소방공무원도 2.6%인 36명으로 조사됐으며 3.8%(53명), 6.0%(83명)는 각각 불면증과 알코올성 장애 등의 위험군으로 분류됐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06/0200000000AKR20171206143300064.HTML?input=1195m □ “환자 중심 병원은 곧 인간 중심 병원” 〇 진정한 환자 중심의 병원이 되기 위해선 그 안에서 근무하는 직원이나 환자 보호자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음. 건양대 의료공간디자인학과 이현진 교수는 한국헬스케어디자인학회가 지난 7일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
2017.12.08 조회수 9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12월 7일]
□ 병원 진료기록부 추가·수정본 보존 의무화 〇 의료인이 진료기록부를 추가 기재·수정할 경우 원본과 수정본을 함께 보존해야 함.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의료법’ 일부개정안이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음. 개정안은 의료인-의료기관 개설자가 진료기록부 추가기재‧수정 시 원본과 수정본을 함께 보존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진료기록부 열람‧사본 요청을 받을 경우 원본‧수정본 모두 열람‧발급하도록 했음.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03789&cate=2&sub=&key=&word=&page=5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천 명 돌파 〇 암 등으로 사망이 임박한 임종기에 회생할 가능성이 없을 때 무의미한 연명 의료에 매달리기보다는 존엄사를 선택하겠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음.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
2017.12.07 조회수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