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4 건
총 3,204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21일]
□ 말기환자 호스피스 8월 확대시행인데…외면하는 대형병원들 〇 호스피스는 죽음이 가까운 환자가 육체적 고통을 덜 느끼고 심리적, 사회적, 종교적 도움을 통해 위안을 얻도록 전문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말함. 8월 4일 시행 예정인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 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연명의료결정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따라서 8월부터 완화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말기환자가 대폭 확대되지만, 대형병원들이 호스피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지 않아 차질이 우려됨.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20/0200000000AKR20170620123600017.HTML?input=1195m □ 시애틀제네틱스 백혈병 치료 신약 임상시험 중단 〇 20일 시애틀 제네틱스사는 위약과 비교시 백혈병 환자에서 사망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바다스투...
2017.06.21 조회수 16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20일]
□ 인체유래물, 하반기부터 연구용 분양 수수료 〇 기존의 무상 분양에 따른 도덕적 해이 등을 막기 위해서 정부가 올 하반기부터 DNA 등 연구용 인체 자원을 분양할 때 수수료를 받는 유상 분양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음.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은 올 하반기 중 인체 자원을 분양할 때 돈을 받는 ‘분양수수료 납부제도’를 도입한다고 19일 밝혔음. *원문보기: http://www.hankookilbo.com/v/fdf739a4e1314b55909081f34ac57642 □ 日 산학연 손잡고 AI로 신약 개발 〇 1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교토대와 제약회사, 정보기술(IT)업계 등 산학연 70개사는 다음 달부터 신약 개발 전용 인공지능(AI) 개발을 시작하고 일본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5억 엔(약 51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해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도록 유도할 방침임.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620...
2017.06.20 조회수 20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9일]
□ 의료인 마약사범 2배로… 타인 생명 위협하는 ‘흰 가운 폭탄’ 〇 사람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의료인과 직업운전자의 마약 복용 실태가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음. 지난해 적발된 마약사범 중 의사·치과 의사·간호사 등 의료인은 110명으로 전년(57명)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었음. 일반인보다 쉽게 프로포폴·졸피뎀 등 ‘마약류 의약품’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됨. *원문보기: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617008009 □ ADHD·우울증 청소년 치유 위한 디딤센터 운영…60여명 모집 〇 여성가족부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우울증 등 정서·행동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해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 하반기 장기 치유과정’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음. 디딤센터는 복...
2017.06.19 조회수 3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6일]
□ 17개국 과학자들, ‘환자 맞춤형 암 치료법’ 개발한다 〇 미국과 프랑스, 캐나다, 한국 등 세계 17개국 과학자들이 50종의 암 유전체를 밝히기 위해 결성한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ICGC)’이 내년부터는 ‘암 정밀의료’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설 예정임. 암 환자의 유전정보와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시험 결과를 연계하는 환자 맞춤형 암 치료 연구임.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616/84892445/1 □ IBM 의료 인공지능 왓슨, 국내 의료진과 치료법 73% 일치…해외보다 낮아 〇 미국 IBM의 의료 인공지능(AI) '왓슨 포 온콜로지'가 일부 암에서 한국 의료진과 다른 치료법을 더 많이 추천했음. 한국의 경우 왓슨의 고위험 대장암 치료 권고안에 있어, 한국 인천 소재 가천대 길병원의 종양 의료진과 비교했을 때 73%의 일치율을 보였음. 타국에 비...
2017.06.16 조회수 12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5일]
□ 가주 존엄사 시행 1년…504명 치사약 처방 〇 미국 내 최대 규모의 존엄사 지지 비영리 단체인 '컴패션앤초이시스(Compassion and Choices.이하 C&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캘리포니아주에서 존엄사법(End of Life Option Act)이 시행된 뒤 504명의 시한부 환자들이 치사약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음. *원문보기: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5314332 □ 서울대병원, 故 백남기 사망진단서 ‘병사→외인사’ 수정 〇 지난해 사망한 백남기 농민의 사망진단서에서 사망의 종류가 병사에서 외인사로 수정됐음. 15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지난 7일 의료윤리위원회를 개최해 이 같이 수정권고 방침을 결정했음. 수정은 사망진단서를 직접 작성한 신경외과 전공의가 병원 의료윤리위원회(위원장 김연수 진료부원장)의 수정권고를 받아들임에 따라 이루어졌음...
2017.06.15 조회수 17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4일]
□ 올해 '바이오 인공장기' 기술영향평가 실시 〇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도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로 인간의 손상된 세포나 조직, 장기를 대체하는 기술인 '바이오 인공장기' 기술을 선정했다고 13일 밝혔음. 이는 최근 고령화로 바이오 인공장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기술 발전이 가속화하면서 관련 기술이 경제·사회·문화·윤리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음. *원문보기: http://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248 □ '의사 보수교육에 윤리교육 추가 의무화' 추진 〇 의료인의 도덕적 윤리적 책임을 강화 의무교육 추가에 대한 법제화가 추진될 예정임. 발의된 의료법 개정안은 의료인이 면허를 받은 후 3년마다 받아야 하는 보수교육 과정에 환자에 대한 인권침해 예방 교육 및 직업윤리...
2017.06.14 조회수 20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3일]
□ 의료기관서 스마트폰 등 통신기기 사용 제한 추진 〇 의료기관에서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사용을 제한하여 의료장비의 전자파 간섭을 막아 안전한 의료환경을 조성하자는 취지의 의료법 개정안이 발의됐음. 개정안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의료기관에 설치된 의료장비에 대한 전자파 간섭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인, 환자 및 보호자등의 전자기기 사용에 관한 표준지침을 만들어 보급·권장하도록 했음. *원문보기: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277 □ “불필요한 수술 많다…수술도 ‘가짜약’ 같은 심리효과 커” 〇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옥스퍼드대학 병원 정형외과 의사 앤디 카 교수 팀은 상당수 수술이 이런 위약효과나 다름 없음이 밝혀졌는데도 여전히 위험하고 값비싼 수술들이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했음. 일...
2017.06.13 조회수 26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2일]
□ 백신접종 의무화에 뿔난 伊부모들 "오스트리아로 망명 신청" 〇 9일 이탈리아 뉴스통신 ANSA와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북부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에 거주하는 130여 가정은 백신을 접종해야 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는 새 법령이 도입되자 인접국 오스트리아에 망명 요청을 할 것이라고 밝혔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08/0200000000AKR20170608062900017.HTML □ "수천만원짜리 C형간염 '기적의 약', 치료효과 증거 없다" 〇 C형간염 치료에 신기원을 연 '기적의 약'이 실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으로 타당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이 나왔음.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국제적 권위를 지닌 비영리 의학전문가 그룹인 '코크런연합'(The Cochrane Collaboration : CC)이 최근 제약회사들이 당국의 판매 승인을 얻기 위해 시행한 모든 임...
2017.06.12 조회수 1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9일]
□ 한국, 유전자가위 치료제 동물실험 세계 3위…최고는 미국 〇 난치병 치료, 동·식물 품종개량 등에 쓰이는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치료제의 비임상 연구에서 한국이 세계 3위를 차지했고 미국은 비임상과 임상연구에서 각각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해 이 분야에서 압도적인 선도국가임을 확인했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유전자가위 기술 연구동향 보고서'를 발간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08/0200000000AKR20170608062900017.HTML □ 환자는 절박한데… 일부 병원, 비싼 수술·주사로 ‘돈벌이’ 〇 8일 보건의료 시민사회단체 등에 따르면 환자의 절박함을 악용해 ‘치료’보다는 ‘장사’에 치중하는 의료기관들이 적지 않다고 주장함. 환자의 취약한 부분을 이용하는 의사들이 있는...
2017.06.09 조회수 1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8일]
□ 치매 걸린 복제돼지 '제누피그' 만들었다…"치매 연구 청신호" 〇 국내 연구팀이 사람의 치매 증상을 가진 '치매 복제돼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음. 지금까지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신약개발이나 발병 메커니즘 연구에는 설치류 모델이 주로 이용됐으나 사람과는 생리학적, 내분비학적 특성에 차이가 커 연구 결과의 신뢰도에 논란이 많았음.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치매 증상을 가진 대가축 동물 모델이 개발된 것은 이번이 세계 처음으로, 치매 치료제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전망임.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07/0200000000AKR20170607169600017.HTML?input=1195m □ 美기업, ‘뇌사자’ 되살리는 임상실험 돌입 〇 미국의 한 기업이 사실상 사망 상태와 다름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뇌사자를 살리기 위한 임상실험에 돌입할 예정임. 바이오쿼...
2017.06.08 조회수 20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7일]
□ "리베이트 적발 글로벌 진출신약 약가특례 못 줘" 〇 글로벌 진출신약 약가특례 적용 3가지 평가요소 중 논란이 됐던 '사회적 기여도'의 범주에 비급여 의약품 무상공급, 재난적 의료비 지원금 기부 등 사회공헌 활동이 포함될 전망임. 약제급여목록 등재 이전에 항암제 등 고가의약품을 무상 공급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약가가산 특례 적용을 고려하겠다는 의미임. *원문보기: http://www.dailypharm.com/News/227190 □ 의료기관 남은 검체 제공시 서면동의 생략 추진 〇 의료기관이 치료 및 진단을 목적으로 남은 검체를 인체유래물은행에 제공할 경우 서면동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추진됐음. 또한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환자에게 해당 사실을 고지해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질병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려는 내용이 함께 담겼음. *원문보기: http://...
2017.06.07 조회수 11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5일]
□ "의사, 인공지능과 경쟁하려면 소통·협업력 키워야" 〇 한국의학교육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주최한 '미래 의학교육과 인공지능' 주제의 의학교육학술대회가 열렸음. 앞으로는 인공지능이 미칠 수 없는, 인간만의 특성을 살리는 학습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 참가자들의 공통적 지적이었음. 교수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 중인 선진국 의대 교육에도 관심이 집중됐음. IT 기술을 활용한 교육 기법 변화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왔음. *원문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04/2017060400771.html □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입법 논의 '활발' 〇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에 대한 입법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음. 국내는 현재 비식별 조치를 뒷받침하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기존 개인정보 보호법제에 대응하고 있지만 법 개정 없이는 한계...
2017.06.05 조회수 15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2일]
□ "인공지능 시대 윤리 정립할 필요성 커져" 〇 AI기술 발전이 인간에게 있어서 불행인가 행복인가에 대한 논의가 코엑스에서 있었음. 전문가들은 AI로 인해 인간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지만, AI와 관련된 윤리가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함. 이상목 서울대 교수는 “AI는 인류의 도약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장해동 상해대 교수는 "AI시대에 우리는 AI와 공존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것이 윤리가 필요한 이유다"라고 주장함. *원문보기: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601183515&type=det&re= □ 의사·한의사들 ‘안아키’ 비판에 “의료계도 반성해야” 〇 극단적인 자연주의 육아를 내세운 인터넷 카페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안아키)에 대해 의학계와 한의학계가 한목소리로 비판을 내놓고 있음. 하지만 치료가 ...
2017.06.02 조회수 27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일]
□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뇌구조 모사 성공…코코넛 섬유소 활용 〇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와 서울대 화학과 홍병희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코코넛 젤리 안쪽에 있는 섬유소에 탄소구조체를 넣어 인간의 뇌 구조와 유사한 구조체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음. 이번 연구에서는 코코넛 젤리를 활용해서 조직적인 신경세포와 연결이 가능했고 실제 인간의 뇌 구조를 모사하는 3차원 인공 신경 네트워크 구현에 성공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31/0200000000AKR20170531092600054.HTML?input=1195m □ 전남도의회, 장기 등 기증장려에 관한 조례 개정 〇 전남도의회가 장기 기증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장기기증 참여 확산 등 더불어 사는 지역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전라남도 장기 등 기증 장려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2017.06.01 조회수 21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1일]
□ 시험관아기 성공 방해하는 단백질 찾았다 〇 분당서울대병원 이정렬 산부인과 교수팀은 시험관아기(체외수정) 시술의 성공률과 관련 있는 난자 배란을 방해하는 특정 단백질을 찾아냈다고 30일 밝혔음. PZP·RENI·SPRX 등 3가지 단백질이 증가할 경우 난자 배란이 잘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30/0200000000AKR20170530036751017.HTML?input=1195m □ 초고령사회 대비 '급성기의료' 틀 바꾼다 〇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연명의료결정법)은 초고령사회에 대비, 급성기의료 위주의 의료체계를 바꾸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음. *원문보기: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083 □ 새정부 의료공공성 강화에 주목하는 의료계...
2017.05.31 조회수 2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0일]
□ 미취업자 구직실패 경험, 자살 충동까지 〇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7035명을 대상으로 ‘청년층 자살사고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보고함. 미취업자 내 자살충동집단이 비자살충동집단에 비해 최종면접횟수, 구직실패 경험횟수, 구직시도 횟수 등이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86733 □ 한센인 국가배상 소송 또 승소… 대법원 “위자료 더 주라” 〇 강제로 단종(斷種ㆍ정관 절제), 낙태 수술을 받은 한센인들이 대법원에서 2심 판결보다 더 많은 위자료를 받게 됐음. 피해자 배상에는 형평을 기해야 한다는 취지여서, 아직 진행 중인 5건의 한센인 소송 위자료 액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원문보기: http://www.hankookilbo.com/v/9b235c4324334b4e9479a5325f97f18d □ ...
2017.05.30 조회수 14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9일]
□ 범용 AI 내건 알파고의 난제…프라이버시 〇 인간과 협업하는 AI가 가장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 중 하나인 헬스케어 분야에서 딥마인드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프라이버시 문제가 있음. 헬스케어 분야에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민감한 데이터를 내주면서까지 질병을 치료하고 싶어할지, 그렇게 된다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할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임. *원문보기: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526115113&type=det&re= □ ‘인간 현수막’까지…불황이 바꾼 알바 〇 계속되는 경기불황과 취업난이 젊은이들의 아르바이트 풍속도 바꿔놓고 있음. 막노동에 임상시험 참여는 물론, 요즘엔 '인간 현수막'이라는 신종 아르바이트까지 등장함. 상당수가 저임금과 임금 체불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인간현수막, 건설 일용직, 제약...
2017.05.29 조회수 18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5일]
□ '남편이 아내에게, 아내가 남편에게'…부부 신장이식 급증 〇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우리나라 신장이식 환자 데이터베이스와 보건복지부 장기이식관리센터 자료를 이용해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년 동안 시행된 생체신장이식 3천35건의 분석 결과를 24일 공개했음. 혈액형 부적합 이식은 지난 2007년 도입 첫해에는 전체 생체신장이식의 0.3%에 불과했으나, 2014년 21.7%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급증했음.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24/0200000000AKR20170524076800017.HTML?input=1195m □ 불임기관 원장이 19명 아이 아빠.. 체외수정에 자기 정자 사용 〇 네덜란드의 한 불임 클리닉의 원장이 체외수정 불임치료에 자신의 정자를 사용해 적어도 19명의 아이가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24일(현지시간) 현지 언론들이 보도함. 불임 전문 기관 FIOM의 원장으로 지난...
2017.05.25 조회수 22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4일]
□ 병원균 완벽 차단 ‘이종이식용 돼지’ 전용 돈사 구축 〇 농촌진흥청은 국내 이종이식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있는 '이종이식용 돼지 전용 병원균 제어 시설(이하 DPF1))'을 국립축산과학원 완주 청사에 구축하고 정상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음. 연구 목적 동물은 '특정 병원균이 없는 시설(이하 SPF2))'에서 관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인체에 장기를 직접 도입하는 돼지는 특정 병원균뿐 아니라 몸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병원균이 전혀 없는 상태를 유지해야 함. *원문보기: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205427 □ 두바이 경찰청, 인공지능 로봇 경찰관 세계 첫 도입 〇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에서 지난 21일 관광객을 상대로 한 “세계 최초 로봇경찰(Robocop)”이 등장했다고 폭스뉴스, 데일리 미러 등이 22일(현지시간) 보...
2017.05.24 조회수 18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3일]
□ 일하다 손가락 절단 사고 후 자살한 근로자…대법 “업무상 재해” 〇 생산직으로 일하다 손가락 절단 사고 후 조울증을 앓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30대 여성에 대해 업무상 재해로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음. 1·2심은 사고 이후 지적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고, 사고로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나 압박감에 시달렸다고 볼만한 증거가 없는 점, 사고와 정신질환 사이 개연성이 높지 않다는 감정의 의견 등을 이유로 공단의 손을 들어줬음. *원문보기: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86284 □ `유전자 가위기술` 특허분쟁 심화‥모든 업계 '촉각' 〇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기술' 특허의 잠재가치가 수십억 달러(약 수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특허 분쟁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어 관심이 주목되고 있음.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기술과 관...
2017.05.23 조회수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