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78 건
총 3,178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5일]
□ 미 과학자들, 유전적 표지 발견 〇 누가 알츠하이머병(치매)에 걸릴 위험이 있는지를 밝혀내는데 도움이 될 유전자 표지를 미 과학자들이 찾아냈다고 BBC 방송이 보도했음. '뉴런'지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뇌의 특정 단백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이를 밝혀냈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5072060 □ '배아줄기세포 치료제'로 스타가르트병 국내 첫 환자 임상 시술 〇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배아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를 이용한 스타가르트병 실명 환자에 대한 국내 첫 임상 시술을 마쳤다고 밝혔음. 이번 임상 시술은 안정성과 내약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 1상으로 3명의 환자에 대해 시술하고 18개월 동안 추적 관찰 할 예정임.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474132&thread=09r02 □ 해외원정 불법장기매매·이...
2013.04.05 조회수 343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4일]
□ 무상 기증한 인체조직…이식환자는 왜 돈 내나 〇 사후 인체조직 기증은 기증자의 숭고한 뜻에 따라 무상으로 이루어짐. 하지만 인체조직은 장기와 달리 관련법상 상품의 개념인 '치료재료'로 정해져 있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인체조직의 건강보험 급여 상한가격을 정할 때, 처리·가공·보존 비용 등 원가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한 가격을 바탕으로 결정함.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04/2013040400092.html □ 프랑스, 낙태 비용 전액 건강보험 적용 〇 프랑스가 이달부터 출산을 원하지 않는 여성들의 낙태에 대해 전액 건강보험 혜택을 부여하기 시작했음. 프랑스는 임신 12주까지 낙태를 허용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낙태 비용 가운데 70~80%만 건강보험을 적용해왔음.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공약의 하나로 '여성들의 평등한 낙태 접근권' 보장을 내세웠음. http://news.nave...
2013.04.04 조회수 369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3일]
□ “백혈병 세포내 돌연변이 제거 ‘분자가위 개발’” 〇 미래창조과학부는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김동은 교수팀이 항암제 글리벡에 내성을 보이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를 선택해 죽이는 DNA 분자가위를 개발했다고 밝혔음.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13116 □ 미국 오바마 행정부 ‘두뇌 활동 지도’ 초대형 프로젝트 착수 〇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뇌세포와 뉴런의 무수한 상호작용을 밝혀낼 '두뇌 활동 지도' 프로젝트에 투자할 1억 달러 규모의 예산 승인을 의회에 공식 요청했다고 발표했음. 이 프로젝트는 뇌의 순환지도를 만들어 뇌 활동의 모든 경로와 지도를 완성해 무수히 많은 두뇌 세포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040313022278720&outlink=1 □ 요즘 대륙 젊은 부자들…‘시...
2013.04.04 조회수 22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일]
□ 불명확한 줄기세포 효과 내세우는 제품·시술 경계 〇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줄기세포, 가능성과 현실 사이의 거리'란 보고서를 통해 성형수술, 탈모치료, 임플란트 등에서 내세우는 줄기세포 시술이 안전성·효능 측면에서 불명확하며 대부분 줄기세포 자체가 아닌 배양액을 활용한 제품으로 오염된 세포를 써 문제가 되는 등 부작용도 속출했다고 밝힘. http://news.nate.com/view/20130402n17751 □ 일본서 임신부 혈액검사로 태아 염색체 이상 진단 〇 일본 매체는 임신 여성의 채혈 검사로 태아의 염색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이른바 '신형 출생전 진단'이 시작됐다고 보도했음. 이 진단은 임신부 혈액을 통해 태아의 유전자를 조사하는 기법으로, 임신부 복부에 침을 찔러 넣어야 하는 양수검사와 달리 유산의 위험이 없음. 이 방법으로 임신중절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입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적지 않...
2013.04.02 조회수 275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일]
□ 질병관리본부 "장기기증 희망등록 간편해진다" 〇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장기기증 희망등록시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를 도입해 PC 와 모바일을 통한 장기기증 희망등록이 가능해졌음. 그간 장기기증 희망등록은 직접 등록신청서를 작성하거나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터넷 등록만이 가능해 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등록하기 어려웠음. http://news.nate.com/view/20130401n16748 □ "미국 입양 러'아이 장기 이식수술에 이용됐을 수도" 〇 미국으로 입양된 후 사망한 러시아 아이들의 장기가 이식 수술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러시아 언론이 보도했음. 러시아 외무부는 “2건의 장기적출 시도 자료 확보”를 주장하고 있음. 러시아는 지난해 말 미국인의 러시아 아이 입양을 전면 금지하는 '디마 야코블레프법'을 채택해 올 1월부터 발효시켰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
2013.04.01 조회수 390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9일]
□ 에스티씨라이프, 제대줄기세포 이용 파킨슨병 치료 성공 〇 생명과학기업 ㈜에스티씨라이프의 줄기세포연구소와 97.7 B&H클리닉은 파킨스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총 3차례의 제대혈(탯줄) 줄기세포를 정맥에 주입, 증상 호전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음. http://news.nate.com/view/20130329n12241 □ 한국인 약물유전정보를 한눈에 〇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약물유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확대 제공한다고 밝혔음. 확대되는 주요내용은 ▲선진국 의약품 허가사항에 반영된 약물유전정보 105건 ▲약물유전정보와 관련된 최신 전문학술정보 126건 등이며, 추가로 19개 약물유전자의 약물유전형에 대한 유전형 진단방법도 제공됨.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013032900014 □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해단 〇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9년간 ...
2013.03.29 조회수 325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8일]
□ 약사법 시행규칙 두 조각…의약품 안전 '총리령' 제정 〇 26일 개정 법령에 따르면 정부조직 개편으로 의약품 제조업, 의약품의 표시·기재사항 등 의약품 안전업무는 식약처에서, 약사면허와 의약품 판매업 등의 업무는 복지부에서 각각 관장하게 됨. 복지부장관과 식약처장에 각각 위임된 사항들을 규정하기 위해 약사법시행규칙이 지난 23일부로 총리령인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복지부령인 '약사법 시행규칙'으로 분리되었음. http://www.dailypharm.com/News/168936 □ "심장소리 느낄 때부터…" 강력 낙태 금지법 위헌 논란 〇 미국 노스다코다주(州)가 연방대법원의 판결을 무시하고 임신 6주 이후에는 낙태를 금지토록 했음. 사실상 거의 모든 낙태를 금지한 것으로 미국 내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이어서 위헌 논란이 제기되고 있음. http://news.hankooki.com/lpage/world/201303/h2013032721051922470.htm...
2013.03.28 조회수 390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7일]
□ 미국 의료계 장애인 장기이식 차별 심각 〇 미국 장애 전문 웹사이트 디스에빌리티 스쿱은 이식을 필요로 하는 지적장애인과 발달장애인의 경우, 특별한 주의를 요구한다는 이유로 일반적으로 거부당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변호사가 지적했다고 보도했음. 대부분의 의사들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어떤 장기이식이 필요하느냐가 아닌 이식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지를 따져본다는 것임.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130326084931458850 □ 줄기세포 국제 컨퍼런스 27~29일 개최 〇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13 줄기세포·재생의료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각국의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 및 정책 동향에 대한 발표 및 성체줄기세포 이식치료제, 경제학적 측면에서의 줄기세포의 파급 효과 등 정책·제도·사회적 이슈, 줄기세포 관광 등 다양한 주...
2013.03.27 조회수 233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6일]
□ 복지부, 연구중심병원 10곳 지정 〇 보건복지부는 26일 오전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심의에서 총 10개 병원을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했음. 연구중심병원이란 진료 위주의 임상병원에서 벗어나 의료기기, 신약 등을 개발해 수익을 창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의료산업화를 말하며, 지난 2011년 8월 '보건의료기술진흥법' 개정됨에 따라 각 병원들은 연구중심병원에 선정되기 위해 준비를 해왔음. http://news.nate.com/view/20130326n21414 □ 복지부, '제약산업 육성특별법-천연물신약 촉진법' 발효 〇 보건복지부는 최근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및 '천연물신약 연구 개발 촉진법'을 시행한다고 밝혔음. 본 법은 제약산업육성·지원계획의 수립, 혁신형 제약기업의 인증제도 및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을 주요 골자로 함.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1204 □ 입법기능 갖춘 식...
2013.03.27 조회수 318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5일]
□ 난자 줄기세포, 불임치료 희망인가 신기루인가 〇 2009년 중국에서 난자에서 난자줄기세포를 뽑아 저장해뒀다가 암을 치료한 뒤 이식하면 다시 건강한 난자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음. 하지만 이달 초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한국에서 나와, 난자줄기세포의 존재를 둘러싼 논쟁의 내용을 살펴봄. http://news.hankooki.com/lpage/it_tech/201303/h20130324200855122310.htm □ 복지부, 리베이트 의약품 ‘3진 아웃’…4월부터 처벌 대폭 강화 〇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약사법ㆍ의료기기법 시행규칙 및 의료관계 행정처분 규칙 개정안이 4월1일부터 시행됨. 4월부터 불법 리베이트를 3회 이상 제공하다 적발된 업체는 시장에서 퇴출되며, 법원의 판결 없이도 행정기관의 조사와 판단만으로 행정처분이 가능해짐.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07755 □ 전의총, 복지부의 리베이트 행...
2013.03.25 조회수 243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2일]
□ 미국 노스다코타 주 "수정란도 인격부여" 〇 미국 노스다코타 주 하원의회가 착상된 수정란에게 인격권을 부여한다는 획기적인 내용의 주 헌법 수정안을 통과시켰음. '태아 인격권 보장 주 헌법 수정안'은 이미 주 상원의회를 통과했으며, 이에 따라 이 수정안은 내년 11월 찬반 주민투표에 붙여지게 됨. http://news1.kr/articles/1060294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남권역 인체조직은행 문열어 〇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이 지난해 한국인체조직기증재단의 국고보조금 지원사업에 근거한 제3권역 거점 조직은행 설립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경상지역 인체조직 기증과 이식 활성화, 인체조직의 공적 관리체계 정착에 기여할 예정임. 현재 인체조직은행은 전국에 총 3개로, 수도권역 조직은행, 서울성모 조직은행, 분당차 조직은행이 있음.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83721 □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가이드...
2013.03.25 조회수 292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1일]
□ 영국, 생물학적 부모 셋인 시험관 아이 출산 허용? 〇 영국이 생물학적으로 아버지 한명에 어머니가 두명인 아이의 출산을 허용할 가능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 모계 유전질환을 막으려 남성 1명과 여성 2명의 DNA 든 배아를 만들어 자궁에 이식하는 것을 찬성하는 전문가 등의 여론이 높다는 당국의 보고서가 나왔기 때문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158210 □ 동결 피부서 분리한 줄기세포로 복제돼지 첫 생산 〇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노규진 교수팀은 장기간 동결 보존한 돼지피부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해 복제돼지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음. 장기간 동결된 돼지피부를 이용한 복제연구가 성공돼 향후, 사람의 줄기세포 치료와 멸종 및 멸종위기종 복원, 재생 연구 등이 한층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http://news.heraldco...
2013.03.21 조회수 304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0일]
□ 흡수성혈관문합기 이용 동종 돼지간 이식 최초 성공 〇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성형외과 손대구 교수팀은 장기이식수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의미있는 동물실험에 성공해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음. 이번 실험은 동종간의 돼지 이식 시 흡수성혈관문합기를 간문맥에 적용해 이식에 성공한 첫 사례임. http://dailymedi.com/news/view.html?section=1&category=5&no=764739 □ 각국 iPS세포 연구 경쟁…난치병 치료 전환점 되나? 〇 각국이 유도만능줄기(iPS)세포를 이용한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으며, 파킨슨병, 척수 손상, 당뇨 등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임. http://www.etnews.com/news/international/2737364_1496.html □ 성조숙증 등 신경내분비질환 치료 연구 실마리 발견 〇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프론티어사업의 ‘뇌기능활용 및 뇌질환 치료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인 김경진 교수 연...
2013.03.21 조회수 24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9일]
□ 환자현혹·부실 유전자검사기관 단속 강화 〇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업체들이 생명윤리 규정과 개인정보 보호 의무를 준수하는지에 대해 다음달까지 해당 업체 등을 대상으로 계도와 교육을 병행하고, 5월부터 현지조사 실시 등 관리·감독을 강화해 위법사항을 적발하면 법에 따라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1303/e20130319140703117980.htm □ 중국, 낙태 수술로 죽은 아이 ‘3억3600만명’ 〇 중국에서 '한 자녀 정책'이 시작된 이후 지난 40년간 3억3000만건이 넘는 낙태 수술이 이뤄졌다고 중국 정부의 공식통계가 발표됐음. 중국은 1971년 인구 억제와 경제성장 등을 이유로 '한 자녀 정책'을 도입해 권장했으며, 지난 1979년부터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 등을 제외한 한족을 대상으로 이 정책을 강제로 시행했었음. http://www.fnnews.com/v...
2013.03.19 조회수 418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8일]
□ 희귀유전질환 유전자검사 지원 본격 〇 국립보건연구원은 그동안 국내에서는 진단이 어려웠던 17개 희귀유전질환에 대한 진단법 개발을 완료, 본격적인 지원서비스에 나선다고 밝혔음. 시장성이 낮은 희귀유전질환의 경우 병원 또는 일반 검사기관에서 서비스가 되지 않아 질병이 의심돼도 확진을 위한 유전자 진단이 어려웠으며 고가의 비용으로 환자들에게 부담이 돼 왔었음. http://news1.kr/articles/1052733 □ 미, 광견병 오염된 장기 이식받은 환자 중 한명 사망, 접촉한 의료진 등 수백명 위험 〇 미국 내 5개 주(州)의 보건당국은 광견병 바이러스에 오염된 장기 기증자로부터 장기를 이식받은 4명의 환자와 접촉했던 수백명에 대한 광견병 위험 역학조사에 착수했음. 주 당국 수의사 캐더린 펠드먼은 이들 위험군 중 미리 의료기관에서 예방조치로 광견병 백신을 맞게 한 사람들은 20여명에 불과하다고 밝혔음. h...
2013.03.18 조회수 302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5일]
□ 노모 살해 국민참여재판을 주목한다 〇 수원지법에서 사회적 관심을 불러 모을 국민참여재판이 진행될 예정임. 병마로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던 80대 노모를 목 졸라 숨지게 한 50대 아들에 대한 재판임. 아들의 행위는 존속살인이 분명하지만, 단순히 패륜 범죄로만 보기 어려운 정황이 여러 가지 있어, 수원지법 재판부는 아들의 국민참여재판 신청을 받아들였음.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504 □ 메디포스트, 종양 표적치료기술 유럽 특허 〇 메디포스트(대표 양윤선)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해 ‘종양 표적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개발, 14일 유럽 특허청으로부터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했음. 이번 특허는 유럽 특허청을 통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등 6개 국가에 동시 등록됐음. http://dailymedi.com/news/view.html?section=1&category=...
2013.03.15 조회수 363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4일]
■ "존엄사, 환자의 평소 뜻 추정해 인정"; 카바수술 둘러싼 '송명근-언론사' 법정 다툼 일단락;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 "존엄사, 환자의 평소 뜻 추정해 인정" 〇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존엄사 제도화의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국생위) 특별위원회는 12일 3차 회의를 열고 '추정에 의한 의사표시'를 인정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음.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3/h2013031402321021950.htm □ 카바수술 둘러싼 '송명근-언론사' 법정 다툼 일단락 〇 서울고등법원 제6행정부은 13일 온라인 의료전문지 A사가 송교수를 상대로 제기한 항소심 관련 3차 변론을 열었지만 A사 측은 항소취하를 결정하였고, 재판부는 변론재개 없이 이번 사건을 마무리했음. 재판부는 당시 판결문에서 "이번 사건은 의료계에서 첨예하게 논쟁이 됐던 사안들인데 이...
2013.03.14 조회수 272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3일]
□ 보건의료 분야 "경제논리 보다는 안전성" 강조 〇 약사회가 진영 복지부 장관의 임명을 환영한다면서 보건의료 분야는 안전성과 공공성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 또,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를 위한 성분명 처방과 처방전 리필제 등 제도 개선이 함께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전했음.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3&nid=161425 □ 생동성시험 조작으로 복제약 취소, 반드시 손해배상 대상은 아니다 〇 복제약 허가를 위한 약효시험인 생물학적 동등성(생동성) 시험을 시험분석기관이 조작해 복제약 허가가 취소된 사실만으로 제약회사가 시험분석기관을 상대로 무조건적인 손해배상을 받을 수는 없다는 항소심 법원의 판단이 나왔음. 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201303120100099730005386&cDateYear=2013&cDateMonth=03&...
2013.03.13 조회수 210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2일]
□ "장기이식, 민간단체에서 중개" 논란 〇 민간단체에서도 이식 대기자 등록을 받도록 하자는 장기이식법 개정안이 4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상정 을 앞두면서 논란이 불거지고 있음. 생존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이 법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민간단체 와 이를 허용하면 사실상 장기매매와 같은 불법이 성행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당국과 의료계가 맞서고 있 음.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3/h2013031202361921950.htm □ 한국은 임상시험 최적지…1년 걸릴 계획 승인 1개월이면 완료 〇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제약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국적제약사의 전체 임상 승인 건수는 303건으로 2011년(194건)보다 35%나 늘었으며, 특히 해외 제약사의 임상 1상 시험은 2011년 19건에서 지난해엔 32건으로 증가했음. 다국적 제약사들이 국내에서 1상 임상시험을 늘리는 건 국내 헬스케어 산업에 긍정 적이란...
2013.03.12 조회수 22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11일]
□ 리베이트 의사 119명 사법처리…1300여명 자격정지 통보 〇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은 10일 동아제약으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은 의사 119명과 병원 이사장 1명, 병원 사무장 4명 등 124명을 의료법 위반혐의로 사법처리했다고 밝혔음. http://boo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310050020 □ "우리 아이 낙태해줘" 친부모vs대리모…왜? 〇 선천성 기형을 가진 아이를 친부모의 낙태 요청에 응하지 않고, 출산한 대리모를 둘러싼 논란이 미 국에서 일고 있음. 주된 의견들은 대리모인 켈리 씨의 결정이 새 생명을 구한 구세주라는 의견과 함 께 아이가 평생 안고 살아야 할 고통을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행동이라는 견해가 팽팽하게 맞선 상태임. http://news.donga.com/3/all/20130311/53600926/1 □ 차바이오앤 美 협력사, 근시성망막변성치료제 美 FDA 임상승인 〇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의 美 협력사...
2013.03.11 조회수 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