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06 건
총 3,206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8일]
□ 법원, 황우석 줄기세포 '단성생식 여부' 판단 안할 듯 〇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황 박사가 질병관리본부를 상대로 낸 줄기세포주 등록반려처분 취소소송 항소심에서 원ㆍ피고 양측은 해당 줄기세포를 제3자에게 맡겨 단성생식 여부를 감정 받는 방식에 합의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음. http://news.nate.com/view/20130418n06744 □ 식약처,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 요건 등 정비 〇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의약품 등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에 관한 규정’ 전부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밝혔음. 이번 개정은 임상시험 실시기관 지정 업무 수행 중 나타난 일부 미비사항을 정비해 지정요건, 지정절차 등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됐음.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2630 □ 장기기증 활성화 나선 '도너사운드', 20일 홍대서 첫 콘서트 〇 한국장기기증네트워크와 한국노바티스는 20일 오후 6시...
2013.04.19 조회수 319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7일]
□ 세계의사회 "의권 수호" 긴급 결의 〇 세계의사회(WMA)가 의학적 의사결정을 불법화·유죄화 하고 있는 각국 정부의 의료행위 통제 움직임에 대해 '의권 수호'에 관한 긴급결의문을 통해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음.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272 □ 한국 공공의료비중 OECD 꼴찌 불구 '후퇴 지속' 〇 민주통합당 남윤인순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진영 장관을 상대로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의료 비중이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임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공공보건의료를 확충하기는커녕 지속적으로 뒷걸음질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함.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1&nid=162625 □ "아시아 최대 규모 동물실험기관 오픈 반대한다" 〇 동물보호단체 회원들은 서울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촌 세브란...
2013.04.17 조회수 23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6일]
□ 신의료기술 가이드라인 개발 첫 걸음 디뎌 〇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체외진단검사를 시작으로 유전자검사, 처치 및 시술까지 올해 내 신의료기술 가이드라인 만든다는 계획임. 보의연은 신의료기술평가 절차 및 세부 기준을 명확히하고 예측가능성과 일관성을 제고하고자 가이드라인 개발에 착수했음.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16309&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국립보건연구원, 임상연구정보 모바일웹 서비스 제공 〇 국립보건연구원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이하 CRIS)'에 대한 모바일웹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음. CRIS는 국내에서 수행되는 임상시험 등 임상연구의 정보를 등록, 검색하는 온라인 등록시스템으로서, 임상연구에 대한 정보 공개 및 공유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 http://www.docdocdoc.co.kr/news/ne...
2013.04.16 조회수 222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5일]
□ 美 대법원, 인간 유전자 특허권 유효 여부 오늘 판결 〇 미국 연방 대법원이 인간의 세포에서 추출한 유전자에 대한 특허권을 특정 기관이 보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결함. 이번 판결의 쟁점은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 위치한 생명공학기업 '미리어드 제네틱스(Myriad Genetics·이하 미리어드)'가 특허권을 보유한 BRCA1, BRCA2 유전자가 자연의 산물인지 인간의 발명인지 여부에 달려있음. http://news1.kr/articles/1091135 □ 세계 최초로 자궁 이식수술을 받은 여성 임신도 성공 〇 세계 최초로 자궁 이식수술을 받은 여성이 임신 2주차에 접어들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보도했음. 자궁 없이 태어난 서트는 2011년 같은 병원에서 자궁 이식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18개월간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음. 연구팀은 서트의 난소에서 채취한 난자와 남편 무스타파의 정자로 시험관 수정을 시도했고, 수정란...
2013.04.16 조회수 294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1일]
□ 미국 정부지원 조산아 임상시험에 윤리 논란 파장 〇 지난 4년간 미국 전역에서 조산아 1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과정에서 심각한 윤리적 결함이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와 파장이 일고 있음. 미 보건부 산하 임상연구안전국(OHRP)은 연구진이 시험에 앞서 부모들의 동의를 얻는 과정에서 위험 요인은 축소되고 확실치 않은 혜택만을 강조했다고 지적했음. http://news.nate.com/view/20130411n33327 □ 건국대·서울대 연구팀, 파킨슨병 발병 경로 밝혀 〇 건국대 생명과학특성학부 조경상ㆍ이임순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 생명과학부 정종경 교수 연구팀은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인 DJ-1 돌연변이 초파리를 이용해 활성산소가 많아서 생기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뇌세포 소실과 파킨슨병 발병의 구체적인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밝혔음.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279091 □ 미국 ...
2013.04.12 조회수 452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0일]
□ "피부-뼈 등 인체조직, 공공재 규정 위한 법률 필요“ 〇 인체조직의 불법유통을 막고 인간의 존엄성 보존을 위해 공공재 규정을 위한 법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음.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는 ‘인체조직 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최근 밝혔음.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1836 □ 국내 연구진, 프래더윌리 증후군 치료길 열어 〇 국내 연구진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역분화와 재분화를 통해 유전정보결핍으로 인한 유전질환인 프래더윌리 증후군 원인유전자의 발현조절 가능성을 밝혀냈음. 이번 연구는 증상에 대한 치료 외에는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 실정에서 원인유전자의 DNA 메틸레이션을 조절하는 방식의 치료방법개발을 위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됨.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1986 □ 환자안전법 제정 취지 공...
2013.04.10 조회수 393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9일]
□ 한번 기증받은 신장, 다른 환자에게 재기증 첫 사례 〇 국내에서 뇌사자의 장기가 두번 기증되는 사례가 처음 나왔다고 한국장기기증원이 밝혔음. 2년전 신장을 이식받고 생활하던 석모(57·여)씨가 갑작스러운 뇌사 상태에 빠지며, 지난 3일 부산 백병원에서 이 신장을 또 다른 환자 A(65)씨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이뤄진 것으로 뇌사자에게 이식 받은 신장을 뇌사에 빠져 다른 환자에게 기증한 첫 사례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09/2013040901224.html □ 일단 저지르고 응급피임약… 4년 동안 판매량 50% 늘어 〇 응급 피임약은 지난 2002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이후 복용자가 점차 늘더니 최근에는 판매 건수가 급증하고 있음. 의약품 판매 데이터(IMS)에 따르면 2008년 응급 피임약 판매량은 47만 1626명분이었으나 2012년에는 71만8095명분으로 증가했음. 4년 사이 52% 늘어난 것임. http:...
2013.04.09 조회수 30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8일]
□ 식약처, 바이오·생약 임상시험 선진화 위한 T/F 운영 〇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백신,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세포·유전자치료제, 한약제제의 임상시험자료 작성지침 등을 마련하기 위해 '바이오·생약 임상시험 심사 선진화 T/F'를 운영한다고 밝혔음.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026 □ 진단검사 전문 의사들 "제약사 유전체검사 시기상조" 〇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춘계심포지엄에서 '검진유전체검사 공청회'를 개최했음. 이번 공청회는 최근 건강인을 대상으로 질병감수성과 연관된 유전체검사를 서비스하는 제약회사가 생겨나면서, 유전체검사의 주체인 의료인이 임상적 유효성에 대해 사전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차원에서 기획됐음. http://www.dailypharm.com/News/169375 □ 미국 법원 "사후피임약 처방전없어도 판매허용" 판결 〇 미국 연방법원이 사후피임약(모닝 애프터)을 의사의 처...
2013.04.08 조회수 37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5일]
□ 미 과학자들, 유전적 표지 발견 〇 누가 알츠하이머병(치매)에 걸릴 위험이 있는지를 밝혀내는데 도움이 될 유전자 표지를 미 과학자들이 찾아냈다고 BBC 방송이 보도했음. '뉴런'지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뇌의 특정 단백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이를 밝혀냈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5072060 □ '배아줄기세포 치료제'로 스타가르트병 국내 첫 환자 임상 시술 〇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배아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를 이용한 스타가르트병 실명 환자에 대한 국내 첫 임상 시술을 마쳤다고 밝혔음. 이번 임상 시술은 안정성과 내약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 1상으로 3명의 환자에 대해 시술하고 18개월 동안 추적 관찰 할 예정임.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474132&thread=09r02 □ 해외원정 불법장기매매·이...
2013.04.05 조회수 343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4일]
□ 무상 기증한 인체조직…이식환자는 왜 돈 내나 〇 사후 인체조직 기증은 기증자의 숭고한 뜻에 따라 무상으로 이루어짐. 하지만 인체조직은 장기와 달리 관련법상 상품의 개념인 '치료재료'로 정해져 있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인체조직의 건강보험 급여 상한가격을 정할 때, 처리·가공·보존 비용 등 원가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한 가격을 바탕으로 결정함.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04/2013040400092.html □ 프랑스, 낙태 비용 전액 건강보험 적용 〇 프랑스가 이달부터 출산을 원하지 않는 여성들의 낙태에 대해 전액 건강보험 혜택을 부여하기 시작했음. 프랑스는 임신 12주까지 낙태를 허용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낙태 비용 가운데 70~80%만 건강보험을 적용해왔음.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공약의 하나로 '여성들의 평등한 낙태 접근권' 보장을 내세웠음. http://news.nave...
2013.04.04 조회수 369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3일]
□ “백혈병 세포내 돌연변이 제거 ‘분자가위 개발’” 〇 미래창조과학부는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김동은 교수팀이 항암제 글리벡에 내성을 보이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를 선택해 죽이는 DNA 분자가위를 개발했다고 밝혔음.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13116 □ 미국 오바마 행정부 ‘두뇌 활동 지도’ 초대형 프로젝트 착수 〇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뇌세포와 뉴런의 무수한 상호작용을 밝혀낼 '두뇌 활동 지도' 프로젝트에 투자할 1억 달러 규모의 예산 승인을 의회에 공식 요청했다고 발표했음. 이 프로젝트는 뇌의 순환지도를 만들어 뇌 활동의 모든 경로와 지도를 완성해 무수히 많은 두뇌 세포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040313022278720&outlink=1 □ 요즘 대륙 젊은 부자들…‘시...
2013.04.04 조회수 221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2일]
□ 불명확한 줄기세포 효과 내세우는 제품·시술 경계 〇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줄기세포, 가능성과 현실 사이의 거리'란 보고서를 통해 성형수술, 탈모치료, 임플란트 등에서 내세우는 줄기세포 시술이 안전성·효능 측면에서 불명확하며 대부분 줄기세포 자체가 아닌 배양액을 활용한 제품으로 오염된 세포를 써 문제가 되는 등 부작용도 속출했다고 밝힘. http://news.nate.com/view/20130402n17751 □ 일본서 임신부 혈액검사로 태아 염색체 이상 진단 〇 일본 매체는 임신 여성의 채혈 검사로 태아의 염색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이른바 '신형 출생전 진단'이 시작됐다고 보도했음. 이 진단은 임신부 혈액을 통해 태아의 유전자를 조사하는 기법으로, 임신부 복부에 침을 찔러 넣어야 하는 양수검사와 달리 유산의 위험이 없음. 이 방법으로 임신중절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입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적지 않...
2013.04.02 조회수 275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4월 1일]
□ 질병관리본부 "장기기증 희망등록 간편해진다" 〇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장기기증 희망등록시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를 도입해 PC 와 모바일을 통한 장기기증 희망등록이 가능해졌음. 그간 장기기증 희망등록은 직접 등록신청서를 작성하거나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터넷 등록만이 가능해 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등록하기 어려웠음. http://news.nate.com/view/20130401n16748 □ "미국 입양 러'아이 장기 이식수술에 이용됐을 수도" 〇 미국으로 입양된 후 사망한 러시아 아이들의 장기가 이식 수술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러시아 언론이 보도했음. 러시아 외무부는 “2건의 장기적출 시도 자료 확보”를 주장하고 있음. 러시아는 지난해 말 미국인의 러시아 아이 입양을 전면 금지하는 '디마 야코블레프법'을 채택해 올 1월부터 발효시켰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
2013.04.01 조회수 391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9일]
□ 에스티씨라이프, 제대줄기세포 이용 파킨슨병 치료 성공 〇 생명과학기업 ㈜에스티씨라이프의 줄기세포연구소와 97.7 B&H클리닉은 파킨스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총 3차례의 제대혈(탯줄) 줄기세포를 정맥에 주입, 증상 호전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음. http://news.nate.com/view/20130329n12241 □ 한국인 약물유전정보를 한눈에 〇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약물유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확대 제공한다고 밝혔음. 확대되는 주요내용은 ▲선진국 의약품 허가사항에 반영된 약물유전정보 105건 ▲약물유전정보와 관련된 최신 전문학술정보 126건 등이며, 추가로 19개 약물유전자의 약물유전형에 대한 유전형 진단방법도 제공됨.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013032900014 □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해단 〇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9년간 ...
2013.03.29 조회수 325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8일]
□ 약사법 시행규칙 두 조각…의약품 안전 '총리령' 제정 〇 26일 개정 법령에 따르면 정부조직 개편으로 의약품 제조업, 의약품의 표시·기재사항 등 의약품 안전업무는 식약처에서, 약사면허와 의약품 판매업 등의 업무는 복지부에서 각각 관장하게 됨. 복지부장관과 식약처장에 각각 위임된 사항들을 규정하기 위해 약사법시행규칙이 지난 23일부로 총리령인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복지부령인 '약사법 시행규칙'으로 분리되었음. http://www.dailypharm.com/News/168936 □ "심장소리 느낄 때부터…" 강력 낙태 금지법 위헌 논란 〇 미국 노스다코다주(州)가 연방대법원의 판결을 무시하고 임신 6주 이후에는 낙태를 금지토록 했음. 사실상 거의 모든 낙태를 금지한 것으로 미국 내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이어서 위헌 논란이 제기되고 있음. http://news.hankooki.com/lpage/world/201303/h2013032721051922470.htm...
2013.03.28 조회수 391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7일]
□ 미국 의료계 장애인 장기이식 차별 심각 〇 미국 장애 전문 웹사이트 디스에빌리티 스쿱은 이식을 필요로 하는 지적장애인과 발달장애인의 경우, 특별한 주의를 요구한다는 이유로 일반적으로 거부당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변호사가 지적했다고 보도했음. 대부분의 의사들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어떤 장기이식이 필요하느냐가 아닌 이식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지를 따져본다는 것임.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130326084931458850 □ 줄기세포 국제 컨퍼런스 27~29일 개최 〇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13 줄기세포·재생의료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각국의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 및 정책 동향에 대한 발표 및 성체줄기세포 이식치료제, 경제학적 측면에서의 줄기세포의 파급 효과 등 정책·제도·사회적 이슈, 줄기세포 관광 등 다양한 주...
2013.03.27 조회수 233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6일]
□ 복지부, 연구중심병원 10곳 지정 〇 보건복지부는 26일 오전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심의에서 총 10개 병원을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했음. 연구중심병원이란 진료 위주의 임상병원에서 벗어나 의료기기, 신약 등을 개발해 수익을 창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의료산업화를 말하며, 지난 2011년 8월 '보건의료기술진흥법' 개정됨에 따라 각 병원들은 연구중심병원에 선정되기 위해 준비를 해왔음. http://news.nate.com/view/20130326n21414 □ 복지부, '제약산업 육성특별법-천연물신약 촉진법' 발효 〇 보건복지부는 최근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및 '천연물신약 연구 개발 촉진법'을 시행한다고 밝혔음. 본 법은 제약산업육성·지원계획의 수립, 혁신형 제약기업의 인증제도 및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을 주요 골자로 함.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21204 □ 입법기능 갖춘 식...
2013.03.27 조회수 318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5일]
□ 난자 줄기세포, 불임치료 희망인가 신기루인가 〇 2009년 중국에서 난자에서 난자줄기세포를 뽑아 저장해뒀다가 암을 치료한 뒤 이식하면 다시 건강한 난자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음. 하지만 이달 초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한국에서 나와, 난자줄기세포의 존재를 둘러싼 논쟁의 내용을 살펴봄. http://news.hankooki.com/lpage/it_tech/201303/h20130324200855122310.htm □ 복지부, 리베이트 의약품 ‘3진 아웃’…4월부터 처벌 대폭 강화 〇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약사법ㆍ의료기기법 시행규칙 및 의료관계 행정처분 규칙 개정안이 4월1일부터 시행됨. 4월부터 불법 리베이트를 3회 이상 제공하다 적발된 업체는 시장에서 퇴출되며, 법원의 판결 없이도 행정기관의 조사와 판단만으로 행정처분이 가능해짐.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07755 □ 전의총, 복지부의 리베이트 행...
2013.03.25 조회수 243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2일]
□ 미국 노스다코타 주 "수정란도 인격부여" 〇 미국 노스다코타 주 하원의회가 착상된 수정란에게 인격권을 부여한다는 획기적인 내용의 주 헌법 수정안을 통과시켰음. '태아 인격권 보장 주 헌법 수정안'은 이미 주 상원의회를 통과했으며, 이에 따라 이 수정안은 내년 11월 찬반 주민투표에 붙여지게 됨. http://news1.kr/articles/1060294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남권역 인체조직은행 문열어 〇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이 지난해 한국인체조직기증재단의 국고보조금 지원사업에 근거한 제3권역 거점 조직은행 설립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경상지역 인체조직 기증과 이식 활성화, 인체조직의 공적 관리체계 정착에 기여할 예정임. 현재 인체조직은행은 전국에 총 3개로, 수도권역 조직은행, 서울성모 조직은행, 분당차 조직은행이 있음.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83721 □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가이드...
2013.03.25 조회수 293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3월 21일]
□ 영국, 생물학적 부모 셋인 시험관 아이 출산 허용? 〇 영국이 생물학적으로 아버지 한명에 어머니가 두명인 아이의 출산을 허용할 가능성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 모계 유전질환을 막으려 남성 1명과 여성 2명의 DNA 든 배아를 만들어 자궁에 이식하는 것을 찬성하는 전문가 등의 여론이 높다는 당국의 보고서가 나왔기 때문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158210 □ 동결 피부서 분리한 줄기세포로 복제돼지 첫 생산 〇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노규진 교수팀은 장기간 동결 보존한 돼지피부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해 복제돼지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음. 장기간 동결된 돼지피부를 이용한 복제연구가 성공돼 향후, 사람의 줄기세포 치료와 멸종 및 멸종위기종 복원, 재생 연구 등이 한층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http://news.heraldco...
2013.03.21 조회수 3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