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81 건
총 3,181 건
[12월 22일] '낙태 합법화'된 캔자스주서 낙태 원격진료 시작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낙태 합법화'된 캔자스주서 낙태 원격진료 시작 미국의 비영리 여성지원단체이자 낙태 클리닉을 운영하는 플랜드페어런트후드가 최근 낙태가 합법화된 캔자스주에서 낙태 원격 진료 상담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플랜드페어런트후드는 캔자스주 남부에 있는 위치타 지역 클리닉을 찾는 낙태 희망자들에게 원격 진료 상담을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 유전체 분석 단 2시간만에…암 표적치료 효율 높인다 국내 연구팀이 약 2~3일 걸리던 유전체 분석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빠른 시간 내에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하고 표적치료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남진우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암 전장유전체에서 2시간 이내 유전체 구조 변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
2022.12.22 조회수 69
[12월 21일] 세계 최초로 영아 심장기형 치료에 성공한 제대혈 줄기세포 시술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세계 최초로 영아 심장기형 치료에 성공한 제대혈 줄기세포 시술 영국의 한 심장 전문의가 "세계 최초로 태반 줄기세포를 활용해 아기의 생명을 구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고, BBC가 보도했다. 영국 ‘브리스틀 심장병원(Bristol Heart Institute)’ 마시모 카푸토(Massimo Caputo)교수는 아기 핀리(Finley)의 심장 결함을 고치기 위해 첨단 시술에 해당하는 줄기세포 '비계(인공지지대, scaffolding)' 방식을 적용했다. □ 비대면 진료 도입 내년 본격화...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 보건의료데이터 활성화, 비대면 진료 제도화 등에 시동을 건다. 또한 2025년까지 한국판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가 조성된다. 정부는 21일 범부처 합동 2023년 경제정책방향과 신성장 4.0 추진전략을 확정, 발표했다. 이중 보건의료 관련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정부는 경제 ...
2022.12.21 조회수 69
[12월 20일] "사회적 입원 줄이려면 관련 인센티브 강화해야"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사회적 입원 줄이려면 관련 인센티브 강화해야" 초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의료적 필요가 아닌 돌봄을 위한 '사회적 입원'을 줄이기 위해선 지자체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병원에 공통으로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혜진 부연구위원은 19일 발간한 보건복지포럼에 기고한 ‘노인돌봄 재정 지원 정책의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향후 과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 올해 온라인 불법 의약품 판매·광고 2만1천건 접속차단 오픈마켓이나 소셜미디어 채팅, 중고거래 플랫폼 등 온라인에서 불법으로 유통되는 의약품 판매 및 광고 등에 민관 합동 점검 결과 2만1천52건이 적발돼 접속 차단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상 의약품 판매·광고를 점검해 2만1천52건을 적발하고 접속차단과 ...
2022.12.20 조회수 75
[12월 19일] "팬데믹으로 확인된 의료자원 분배 문제, 사회적 합의 중요"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팬데믹으로 확인된 의료자원 분배 문제, 사회적 합의 중요" 코로나19 팬데믹처럼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의료자원이 공정하게 분배되려면 의료전달체계 개선과 더불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16일 서울 글로벌센터에서 주최한 제7차 국가생명윤리포럼 ‘공중보건 위기, 부족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과제’에서는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의료자원 분배 방안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들이 쏟아졌다. □ 낙태 '찬성 51.1% : 반대 48.9%'…국민 가치관 조사, 찬반 '팽팽' 우리 국민의 낙태 허용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 비율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발표된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
2022.12.19 조회수 91
[12월 16일]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안전성 조사에 실제 환자정보 활용가능"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안전성 조사에 실제 환자정보 활용가능"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코로나19 백신을 만든 제약사가 시판 후 조사에서 실제 병·의원으로부터 수집한 환자 정보인 '실제사용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 장기 기증 절차 간소화 3법 대표 발의 국회 교육위원회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은 장기 등 기증자의 의무기록 열람과 발급 절차 개선을 위한 관련 3법을 대표발의했다. '의료법', '장기등의 이식에 관한 법률', '인체조직 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기증 절차를 간소화한다는 계획이다. □ 심장질환 치료용 유도심근세포 생산 기술 개발 연세대는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조승우 교수 연구팀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박훈준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난...
2022.12.15 조회수 61
[12월 15일] 영국, 희귀 유전병 진단 위해 신생아 유전자 검사 나서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영국, 희귀 유전병 진단 위해 신생아 유전자 검사 나서 영국에서 내년부터 2년간 부모의 동의를 구한 경우에 한해 매년 신생아 10만 명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 분석(WGS)’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영국의 BBC와 가디언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를 통해 약 200여 개의 희귀 유전 장애를 진단하는 대신 관련 유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이를 둘러싼 윤리적 논란도 예상된다. □ 헌혈자 구해와야 하는 백혈병 환자들, 인권위 진정서 제출 한국백혈병환우회는 15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권위에 보건복지부 장관, 대한적십자사 총재, 대한산업보건협회장이 혈소판 지정헌혈 문제에 신속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백혈병환우회는 관련 내용이 담긴 진정서를 이날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
2022.12.15 조회수 70
[12월 14일] 암컷만 부화되는 신기술 개발 등
□ 암컷만 부화되는 신기술 개발 이스라엘 연구진이 암탉 유전자를 편집해 수컷 배아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영국 BBC가 보도했다. BBC는 텔아비브의 볼카니연구소 출신으로 이번 연구를 주도한 유발 시나몬 박사의 말을 인용해, 이번 기술 개발로 매년 수십억 마리의 수컷 병아리가 도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1214059700009?input=1195m □ 작년에만 3천378명이 '쓸쓸한 죽음'…고독사 첫 실태조사 보건복지부는 지난 5년(2017∼2021년)의 고독사 발생 현황과 특징을 조사해 13일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혼자 살다 쓸쓸히 세상을 떠나 뒤늦게 발견된 이들이 지난해에만 3천378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마다 9%가량씩 늘어난 것으로, 50∼60대 남성 사망자가 특히 많았다. - 기사: https://...
2022.12.14 조회수 77
[12월 13일] 모녀 두 마리만 남은 북부흰코뿔소 멸종 문턱서 실낱 희망 등
□ 모녀 두 마리만 남은 북부흰코뿔소 멸종 문턱서 실낱 희망 독일 '라이프니츠 동물원 및 야생 동물연구소'(IZW)에 따르면 일본 오사카대학의 하야시 마사후미 연구원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북부흰코뿔소의 피부조직에서 배양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s)에서 난자와 정자로 발전할 '원시생식세포와 같은 세포'(PGCLCs)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를 통해 발표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1212061600009?input=1195m □ 원하는대로 세포 붙이는 '세포 접착제' 개발...장기 재생 등에 활용 기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 샌프란시스코대학 연구진은 특정한 세포에 의도한 방식대로 결합, 보다 복잡한 다세포체를 형성하게 하는 맞춤형 접착 분자를 가진 세포를 만들어냈다. - 기사: https://zdnet.co.kr/view/?n...
2022.12.13 조회수 61
[12월 12일] 불치 T세포 백혈병 환자에 첫 DNA 편집 치료 등
□ 불치 T세포 백혈병 환자에 첫 DNA 편집 치료 기존 치료법이 듣지 않는 T세포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소아 환자에게 처음으로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유전자 치료법이 시행됐다. 치료를 받은 환자는 반년째 질환이 재발하지 않고 있다. 더 이상 치료가 어려워진 소아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법으로 자리잡을지 주목된다. - 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522 □ 뇌사 판정 기준 새로 정해야…미국서 논의 진행중 유족들이 뇌사 판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미국에서 의사와 법률가들이 뇌사판정 권고 지침을 다시 논의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뇌사 판정 인정 권고가 변경되면 장기 기증에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12_0002120022&cID=10101&pID=10100 □ 상임위 상정된 조력존엄사법...
2022.12.12 조회수 75
[12월 9일] 장기 기증자 가족 불편 줄이고 속도 높이는 법안 추진
□ 장기 기증자 가족 불편 줄이고 속도 높이는 법안 추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뇌사자의 장기 및 인체조직(이하 ‘장기 등’) 기증을 결정한 기증자 가족의 불편을 줄이고, 장기 등의 기증절차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안 일부개정법률안’, ‘인체조직 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 8일 대표발의했다. - 기사: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0146588499 □ "CAR-T세포, 세포공학의 한 사례에 불과하다" "살아있는 세포가 치료제의 빌딩 블록으로 사용되는 생명공학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 그 중 CAR-T세포 기술은 급성장하는 세포 공학(Cell engineering)의 한 예에 불과하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김무웅 연구원은 지난 8일 Science의 '세포 공학' 특집을 정리...
2022.12.09 조회수 78
[12월 8일] 호스피스 ‘대기 현황’ 종합적 파악 방안 추진 등
□ 호스피스 ‘대기 현황’ 종합적 파악 방안 추진 호스피스 대기와 관련된 전국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이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인제근 의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8일 밝혔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0340 □ 한미 합성생물학 연구협력… 공동 컨퍼런스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미 양국의 합성생물학 기술개발 협력 및 네트워크 강화 등 연구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제1회 한·미 합성생물학 공동 컨퍼런스’를 8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08_0002116388&cID=10406&pID=13100 □ 경기보건환경연구원, 코로나19 변이 자체 분석 시스...
2022.12.08 조회수 89
[12월 7일] 성확정 동시 정자동결…생식능력 보존 등
□ 성확정 동시 정자동결…생식능력 보존 강동성심병원이 트랜스여성(출생 시 남성이었으나 여성 성체성을 가짐)의 성확정수술에서 정자를 채취한 후 동결해 생식능력을 보존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에는 트랜스여성 환자가 성확정수술 전 호르몬요법을 일정 기간 중단한 상태에서 정자를 보존했으나, 성확정수술과 동시에 정자를 동결한 경우는 국내 처음이다. - 기사: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413 □ 인니, 혼외 성관계·동거 시 처벌…형법 개정안 국회 통과 6일 안타라 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인도네시아 의회는 외도를 범죄로 규정하고 낙태 금지와 대통령 모욕 시 처벌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형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낙태도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성폭행에 의한 임신이거나 의료법에 따라 태아가 12주 미만일 경우 산모의 건강 등을 고려해 낙태가 가능...
2022.12.07 조회수 72
[12월 6일] "암세포 억제효과"…실용화 가능성 높은 펩타이드 개발 등
□ "암세포 억제효과"…실용화 가능성 높은 펩타이드 개발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담수에서 분리된 방선균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암세포 생장 억제에 효과가 있는 물질(펩타이드) 5종을 최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04_0002110521&cID=10201&pID=10200 □ 총리실 앞에 대형 신생아 사진…몰타 수천명 낙태 반대 시위 카톨릭의 나라 몰타에서 정부가 낙태 금지법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개정을 추진하자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몰타 일간지 타임스오브몰타에 따르면 4일 오후(현지시간) 몰타 수도 발레타에서 수천 명의 시민이 거리로 나와 가두 행진에 나섰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1205145000109?input=1195m □ 간질환 치료제가 코로나19 침투 막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포티오스 삼파지오티스 박...
2022.12.06 조회수 71
[12월 5일] 인간 근육보다 17배 강한 ‘헤라클레스 인공 근육’ 국내서 개발 등
□ 유전성 혈관부종에 유전자 편집 치료제 크리스퍼 캐스나인(CRISPR/Cas9) 유전자 편집 치료제 'NTLA-2002'가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HAE)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소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11월 10~14일 미국 루이빌에서 열린 미국알레르기천식면역학회(ACAAI 2022)에서 공개됐다. - 기사: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684 □ 인간 근육보다 17배 강한 ‘헤라클레스 인공 근육’ 국내서 개발 현재까지 과학계에 보고된 것들 중 인간 근육과 가장 유사하면서 최대 17배 강한 힘을 보이는 ‘헤라클레스 인공 근육’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팀 등은 공동 연구를 통해 그래핀-액정 복합섬유를 이용한 새로운 인공 근육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 기사: htt...
2022.12.05 조회수 91
[12월 2일] 최대 4가지 바이러스 40분 만에 동시 진단 기기 개발
□ '뇌혈관 주위 공간확장' 심할수록 알츠하이머 진행 빨라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관찰되는 '뇌혈관 주위 공간 확장' 정도가 심할수록 인지기능 악화 속도가 빠르다는 사실이 새롭게 규명됐다. 상계백병원 신경과 정승호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된 20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1201083700017?section=lifestyle/health □ 최대 4가지 바이러스 40분 만에 동시 진단 기기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최대 4가지 바이러스를 동시에 최대 40분 만에 검사할 수 있는 유전자증폭(PCR) 기기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기기는 한 번의 바이오 표본 채취로 코로나19를 포함해 독감, 호흡기 질환 등 다양한 감염병을 동시에 구분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 기사: https:...
2022.12.01 조회수 73
[12월 1일] 전문가들 원격의료 논의 범위 확장 ‘한 목소리’ 등
□ 전문가들 원격의료 논의 범위 확장 ‘한 목소리’ 빅데이터와 AI·5G·화상회의 등 기술적으로 발전이 이뤄지며 적은 비용으로 화상진료 등 비대면 진료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원격의료에 대한 논의의 범위가 확장돼야 한다는데 전문가들이 한목소리를 냈다. 기사: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6140 □ 국민 3명 중 1명 걸린다는 대사증후군, 예측지표 늘었다 대사증후군을 예측할 수 있는 생체 지표의 폭이 넓어졌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용제·손다혜 교수팀은 ‘대사증후군의 새로운 지표’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종합한 종설 논문을 발표했다. - 기사: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344 □ 알츠하이머 신약, 인지감퇴 늦추는 효과…부작용은 논란 알츠하이머병 신약이 인지기능 감퇴를 늦...
2022.12.01 조회수 72
[11월 30일] 소아 백혈병 조혈모세포 이식 후 ‘폐 합병증’ 원인 규명 등
□ 소아 백혈병 조혈모세포 이식 후 ‘폐 합병증’ 원인 규명 국내 연구진이 소아 백혈병 환자에게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할 수 있는 ‘폐 합병증’의 원인을 규명해 주목된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이혜진 교수 등 연구팀은 최근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기사: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6031 □ '장기기증’ 인식 달라졌지만 …전문가 "충동적 선택은 금물" 뇌사 판정을 받은 장병이 장기를 기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장기기증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뜻밖의 사건 사고로 인해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을때 확인할 점이 있다. 트라우마를 겪거나 정신적으로 약해진 상태라면 미래에 반추 또는 후회할 수 있는 '충동적 결정'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기사: http://www.mkhealth.co.kr/news/...
2022.11.30 조회수 68
[11월 29일] 단일 배아 대사진단 측정법 개발 등
□ 단일 배아 대사진단 측정법 개발 계명대는 의과대학 의용공학과 허윤석 교수팀이 단일 배아(Single Embryo) 진단을 위한 단일 기질(Single Substrate) 기반 형광 측정분석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28_0002103192&cID=10810&pID=10800 □ 소아청소년 희귀 뇌종양, 수술 예후 예측 지표 발견 국내 의료진이 예후가 좋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 빈번하게 재발하는 희귀 뇌종양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DNET)’의 재발 위험과 관련된 영상검사 지표를 발견해 예후를 예측할 길이 열렸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29_0002104023&cID=10201&pID=10200 □ 코로나19 이후 실업·우울증 여성이 더 심각··· 사회·경제지표 첫 공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성이 남성보다 실업 증가와...
2022.11.29 조회수 74
[11월 28일] ‘조력사법’ 우려하는 현장…“살리려 의사 됐는데” 감정 부담 지적 등
□ ‘조력사법’ 우려하는 현장…“살리려 의사 됐는데” 감정 부담 지적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가 의사의 도움을 받아 삶과 죽음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조력존엄사법안’이 발의된 가운데 의료 현장에서는 우려가 쏟아졌다. 조력존엄사법안 시행 주체가 되는 의료진의 감정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전무하다는 지적과 함께 해당 법안을 사회에서 요구하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고 사회적으로 충분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9686 □ 코로나 파괴 인공효소 만드는 '합성생물학' 혁신 '눈앞' 영국 과학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인공 효소를 만들었다. 알렉산더 테일러 영국 케임브리지대 치료면역학 및 전염병연구소 연구...
2022.11.28 조회수 92
[11월 25일] 프랑스, 헌법에 낙태권 명시 추진…좌파·중도 지지로 하원 통과 등
□ 프랑스, 헌법에 낙태권 명시 추진…좌파·중도 지지로 하원 통과 프랑스 헌법에 여성의 낙태할 권리 명시를 추진하는 헌법개정안이 24일(현지시간) 하원을 통과했다. 좌파 연합 '뉘프'(Nupes)가 발의한 개정안은 중도 성향 범여권 정당연합 '앙상블'의 지지를 받아 찬성 337, 반대 32표로 하원 문턱을 넘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1125006200081?input=1195m □ 美 조지아주 대법원, 임신 6주 이후 낙태 금지법 복원 미국 조지아주 대법원이 논란이 된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금지하는 법을 부활시켰다.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조지아주 대법원은 이날 주정부가 제출한 긴급 청원서와 관련해 지난주 나온 하급 법원의 판결을 검토하는 동안 이를 보류할 것이라고 명령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24_0002098532&cID=10101&...
2022.11.25 조회수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