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84 건
총 3,184 건
[9월 30일] 산부인과학회 "비혼여성 시험관시술 불가" 입장 고수 등
□ 산부인과학회 "비혼여성 시험관시술 불가" 입장 고수 대한산부인과학회가 국가인권위원회 권고에도 비혼여성에게 시험관시술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인권위는 '보조생식술 윤리지침'을 개정하라는 권고를 산부인과학회가 수용하지 않았다고 30일 밝혔다. 이 지침은 '체외수정시술은 원칙적으로 부부(사실혼 포함) 관계에서 시행돼야 한다'고 명시해 비혼여성을 상대로 한 시험관시술을 차단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30054100004?input=1195m □ 최근 2년간 코로나 후유증 진료환자 5만 4000명 최근 2년간 코로나19 확진 후 후유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가 약 5만 4000명을 넘으며, 코로나 후유증 환자들을 위한 한국형 치료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후유...
2022.09.30 조회수 142
[9월 29일] "동결 난자, 출산 성공률 높지 않아" 등
□ "동결 난자, 출산 성공률 높지 않아" 난자를 채취해 동결 보존했다가 해동해 체외수정을 통해 자궁에 이식, 임신한 경우 출산 성공률이 그리 높지는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대학 난임 치료 센터(Fertility Center)의 제임스 그리포 박사 연구팀은 동결 난자를 이용한 출산 성공률은 전체적으로 약 39%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8일 보도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9058000009?input=1195m □ 기저질환 없어도 중증 코로나19 위험 높은 사람은? 기저 질환이 없어도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는 사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렸을 때 중증으로 악화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혈액과 면역 세포를 형성하는 골수 줄기 세포 중 후천적 유전자 변이가 있는 ‘클론성조혈증(Clonal hematopoiesis of indete...
2022.09.29 조회수 114
[9월 28일] "동결 배아 이식, 임신 고혈압 위험↑"
□ "동결 배아 이식, 임신 고혈압 위험↑" 체외수정(IVF: in vitro fertilisation) 후 동결 보존한 배아를 해동해 자궁에 이식하면 임신성 고혈압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중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임신성 고혈압의 15~25%는 단백뇨가 나타나면서 자간전증으로 이어진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8066200009?input=1195m □ 태국, 낙태 규제 추가 완화…임신 20주까지 허용 태국이 낙태 관련 규제를 추가로 완화해 임신 20주까지는 낙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28일 방콕포스트와 타이PBS 방송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여성들이 임신 20주까지는 합법적으로 낙태를 할 수 있게 규정을 바꿨다. 이는 26일 왕실 관보에 게재됐으며 1개월 후인 다음 달 26일부터 적용된다. - 기사: http...
2022.09.28 조회수 109
[9월 27일] 피부암 관여 DNA 손상 복구 단백질 작용 규명 등
□ IBS, 피부암 관여 DNA 손상 복구 단백질 작용 규명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유전체항상성연구단의 올란도 쉐러(Orlando D. Schärer)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세포 내 색소건피증 단백질 A(XPA)와 복제 단백질 A(RPA)의 상호작용이 뉴클리오티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NER) 과정에서 DNA를 복구하는 단백질 집합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927_0002028128&cID=10807&pID=10800 □ '복합 경구 피임약, 정맥 혈전 색전증 위험↑" 과체중 또는 비만 여성이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 섞인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면 정맥 혈전 색전증(VTE: venous thromboembolism)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맥 혈전 색전증은 심부 정맥 혈전증(DVT: deep vein thrombosis)과 폐...
2022.09.27 조회수 119
[9월 26일] 존엄한 죽음 위해선 조력자살 논의 아닌 완화의료 강화 필요 등
□ 존엄한 죽음 위해선 조력자살 논의 아닌 완화의료 강화 필요 ‘조력존엄사법’이 발의된 가운데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위해서는 의사조력자살 논의가 아닌 완화의료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이명아 교수는 지난 24일 가톨릭대 마리아홀에서 열린 ‘2022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추계연수강좌’에서 이같이 말했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7454 □ 서울대-베이징대 공동연구팀, 유전체 희귀변이 연관성 분석 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이승근 교수 연구팀이 중국 베이징대학교 연구팀과 빠르고 정확한 유전체 희귀 변이 연관성 분석 방법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본 연구는 유전체 연구 분야 저널 'Nature Genetics'에 게재 승인받았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926_...
2022.09.26 조회수 152
[9월 23일] "조기진단·치료로 자폐증상 평생 완화 가능해"…쥐 실험으로 확인 등
□ "조기진단·치료로 자폐증상 평생 완화 가능해"…쥐 실험으로 확인 유년기에 자폐를 조기 진단하고 집중적인 약물 치료를 하면 자폐 증상을 평생 완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을 맡고 있는 김은준 KAIST 석좌교수 연구팀은 자폐 조기 진단과 유년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논문 2편을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 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6343 □ 서울대 연구팀, 국제연구팀과 신체활동 관련 유전적 배경 발견 서울대 박태성 교수 연구팀이 전 세계 51개 연구팀과 함께 신체 활동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를 확인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수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본 연구는 학술지 'Nature Genet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922_0002023385&cID=10201&pID=10200 □ ...
2022.09.23 조회수 135
[9월 22일] '내 정보 내가 쓴다'는 환자 VS '우리도 권리 있다'는 의료계…해법은?
□ '내 정보 내가 쓴다'는 환자 VS '우리도 권리 있다'는 의료계…해법은? 정부가 마이 헬스웨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의료데이터에 대한 의료인·의료기관의 권리 규정 문제를 풀지 못하면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가 22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의료 마이데이터 법제 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은 현재 시범사업 단계인 마이 헬스웨이 제도의 법적 쟁점을 다루며 이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7368 □ 간이식 환자 면역에 영향 주는 장내 미생물총 첫 규명 간 이식은 말기 간 질환자가 간 기능을 정상화하기 위한 최선의 치료 방법이다. 간 이식은 새로 이식 받은 간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수술만큼 중요하고 이 때문에 면역력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 간을 이식...
2022.09.22 조회수 134
[9월 21일] 단일세포유전체 기법 활용한 오토파지 新 조절인자 최초 발견 등
□ 코로나19 사망률 높이는 유전자 찾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사망률을 높이는 특정 유전자가 발견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유니스트)은 생명과학과 이상준 교수가 미국 세인트 쥬드 아동 연구병원 연구진과 함께 진행한 연구결과, 선천 면역 센서로 알려진 ‘ZBP1’ 유전자가 사이토카인(Cytokine) 폭풍을 유도해 코로나19 환자의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7306 □ "낙태하면 교도소 보낸다"…루이지애나 법안 추진 CNN은 20일(현지시간) 루이지애나주 입법자 위원회(committee of state lawmakers)에서 모든 남성 공화당 의원이 법안에 찬성표를 던지면서 낙태 여성에게 살인죄를 물을 수 있는 법안이 현실에 가까워졌다고 보도했다. 법안이 통과되면 성폭행은 물론 산모 생명을 ...
2022.09.21 조회수 137
[9월 20일] 심장질환과 알츠하이머 치매 연관 유전자 입증 등
□ 심장질환과 알츠하이머 치매 연관 유전자 입증 국내 연구진이 심장질환자에게서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유전자를 발견했다. 연구진은 두 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ADIPOQ’를 지목했다. 20일 가천대 길병원에 따르면 가천대 길병원 조성범 가천의생명융합연구원 교수와 백효정 KISTI 선임연구원은 100만명 이상의 국내외 건강보험 자료와 방대한 빅데이터 및 실험을 통해 심장질환자에서 높은 알츠하이머 치매 유병률의 원인인 ‘ADIPOQ’ 유전자를 발견했다. - 기사: https://www.fnnews.com/news/202209201259536973 □ 학계‧소비자‧산업계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한목소리내지만… 학계‧소비자‧업계가 한목소리로 보건의료데이터 적극 확용을 위한 정부 지원과 정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참여 의료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2022.09.20 조회수 119
[9월 19일] 美 웨스트버지니아주, 대법원판결 후 두번째로 낙태금지법 입법 등
□ 美 웨스트버지니아주, 대법원판결 후 두번째로 낙태금지법 입법 보수 성향의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가 인디애나에 이어 두 번째로 낙태 금지법 시행에 들어갔다. 16일(현지시간) AP 등 외신에 따르면 공화당 소속인 짐 저스티스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는 이날 강간 등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낙태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해 공포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17003200071?input=1195m □ “안락사, 존엄사 등 중구난방…조력존엄사법 앞서 용어부터 정립“ ‘조력존엄사법’ 제정이 발의돼 안락사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안락사의 사회적 논의에 앞서 안락사, 존엄사 등 혼재돼 있는 용어부터 정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울의대 내과학교실 허대석 명예교수는 대한의사협회가 16일 주최한 ‘안락사 논쟁의 전제 조건’ 특강에서 &ldquo...
2022.09.19 조회수 137
[9월 16일] 구글·페이스북, ‘낙태·임신’ 검색까지 다 보고 있다 등
□ 구글·페이스북, ‘낙태·임신’ 검색까지 다 보고 있다 세계 최대 플랫폼 업체인 구글과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가 개인정보 불법 수집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10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하지만 여전히 플랫폼 업체들이 적법한 동의 없이 광고 제공 이외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여부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사: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9/15/F63YFU4ICBCOXCNZMZI62UVZRQ/?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위험 선택 행동 따른 유전자 발현 차이 최초 규명 질적으로 서로 다른 위험 선호도를 보이는 그룹 간에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뇌 조직의 유전자 발현에서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는 중독질환에 취약한 의사결정 장애의 유전적 차이를 이해하는 데 ...
2022.09.16 조회수 150
[9월 15일] 스위스, 불임치료 위한 난자 기증 허용 법안 통과 등
□ 스위스, 불임치료 위한 난자 기증 허용 법안 통과 스위스에서 불임 여성이 난자 기증을 받는 것을 허용하는 법안이 의회를 통과했다. 스위스 연방 상원은 13일(현지시간) 난자를 기증받는 방식의 불임 치료를 허용하는 법안을 표결 끝에 처리했다. 이 법안은 앞서 지난 3월 하원에서도 통과됐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14144200088?input=1195m □ "중국, 티베트 주민 유전자 정보 수집…통제와 탄압 우려" 중국 당국이 오래 탄압을 이어온 시짱자치구(티베트)에서 주민을 대상으로 유전자 정보(DNA)를 수집하고 있다고 미국 매체 악시오스가 연구단체 보고서를 인용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소인 시티즌랩은 중국 정부 발표와 관련 문서, 보고서 등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100개 출처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보고서로 발표했다. - 기사: https://www.yna.co....
2022.09.15 조회수 139
[9월 14일] '누벨바그 거장' 고다르 사인은 조력자살…佛, 합법화 논의 돌입 등
□ '누벨바그 거장' 고다르 사인은 조력자살…佛, 합법화 논의 돌입 1960년대 프랑스 영화계의 누벨바그(Nouvelle Vague·'새로운 물결') 사조를 이끈 거장 장뤼크 고다르의 사인이 '조력자살'(assisted suicide)로 확인됐다고 AFP통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고다르 별세 당일인 이날 홈페이지에 성명을 내고 이른바 '죽음을 선택할 권리'에 대한 국가 차원의 토론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14052800009?input=1195m □ "임신중단 원하면 태아 심장 소리 듣고 와라"... 헝가리에 거센 비판 헝가리에서는 임신중단(낙태)을 원하는 여성들이 태아의 심장박동을 '강제로' 들어야 한다. 산도르 핀테르 헝가리 내무부 장관이 승인한 법안 따르면, 의료진은 임신중단을 원하는 ...
2022.09.14 조회수 128
[9월 13일] “혈액검사로 암 조기 발견, 미 임상서 일부 효과” 등
□ “혈액검사로 암 조기 발견, 미 임상서 일부 효과” 혈액검사로 각종 암을 초기에 발견하는 진단 기법이 임상시험에서 일부 효과를 보였다고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뉴욕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연구진은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에서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레일이 개발한 새 암 진단 기법의 임상시험 결과를 공개했다. - 기사: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9121857001 □ 난임 부부에 희소식...정자를 난자로 끌어들이는 단백질 발견 난임으로 고민하는 환자들이 해마다 늘어가는 가운데 해외 과학자들이 정자를 난자로 끌어당기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정자와 난자의 착상을 돕는 이 단백질은 난임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셰필드대 연구팀은 정자를 난자로 끌어들여 융합하도록 돕는...
2022.09.13 조회수 116
[9월 8일] 국내 첫 자궁이식 수술 시도돼...전세계 성공 사례 드물어
□ 국내 첫 자궁이식 수술 시도돼...전세계 성공 사례 드물어 세계적으로 시행 사례가 많지 않은 자궁이식 수술이 한국에서도 처음 시도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병원에서 자궁이식 시술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술의 최종 성공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다. 7일 병원계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자궁이식팀은 지난 7월 말 국내 첫 자궁이식술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 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6176 □ 고령의 퇴행성관절염환자도 줄기세포치료로 ‘삶의 질↑’ 노년기 감수해야 할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가 퇴행성관절염이다. 퇴행성관절염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손상된 연골을 재생시키는 것인데 환자 나이가 많거나 병변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연골재생이 쉽지 않아 기존의 치료방법들로는 제한이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정형외과 의료진이 줄기세포치...
2022.09.08 조회수 228
[9월 7일] 미 "독감처럼 코로나19 백신도 매년 접종 가능성" 등
□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루게릭병으로 더 많이 알려진 '근 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수의근(의지대로 움직이는 근육)을 제어하는 뉴런(신경세포)이 소멸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이다. 불치병에 가까운 ALS의 진행을 획기적으로 늦추는 실험적 치료법이 개발됐다. 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아교세포와 이 유형의 교세포가 만드는 신경 영양 인자를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06156000009?input=1195m □ 미 "독감처럼 코로나19 백신도 매년 접종 가능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독감 백신처럼 매년 접종해야 할 수 있다고 미국 보건 당국이 6일(현지시간) 밝혔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극적인 다른 변이의 출연이 없는 한 코로나...
2022.09.07 조회수 163
[9월 6일] 오미크론 변이 유행 시 한국만 초과 사망 증가…이유는? 등
□ 오미크론 변이 유행 시 한국만 초과 사망 증가…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 시 초과 사망자 수가 증가한 나라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며 이는 임시방편으로 대응하기 급급했던 중환자 진료체계에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6846 □ 피부암 흑색종, 최적 조직검사 위치 제시…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서울성모병원 연구진이 치사율이 높은 피부암인 흑색종의 조기진단을 보조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조직 생검 부위 추천 시스템을 개발해 이 내용이 국제 학술지에 수록되었다고 병원측이 5일 밝혔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793610 □ 수도권·대도시 소아과 골라갈 때 지방은 선택권 없어 지역주민이 태어날 때부터 여생을 마무리할 때까지 이용하는 의료자원 지역격차가 여전히 극...
2022.09.06 조회수 141
[9월 5일] 장기이식 못 받아 하루 6.8명 사망…"국민 기증 참여 절실” 등
□ 장기이식 못 받아 하루 6.8명 사망…"국민 기증 참여 절실” 하루 6.8명이 장기이식을 받지 못해 숨을 거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간 뇌사장기기증자가 500명에 불과한 반면, 이식대기자는 4만 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국민들의 장기기증 참여 확대가 시급하다. - 기사: https://zdnet.co.kr/view/?no=20220902120919 □ 임신중지 금지 엄격한 텍사스… "성폭행 피해자 사후피임약 복용" 미국 텍사스주가 엄격한 임신중지(낙태) 금지법을 시행하면서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주지사가 성폭행 피해자들에게 원치 않는 임신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응급피임약(사후피임약) 복용을 권장하고 나섰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임신중지 이슈가 쟁점 중 하나로 부상하면서 민주당 지지층 결집 양상을 보이자 ‘플랜B’를 알리려는 시도로 해석되지만,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은 좀처럼 그치지 않는 ...
2022.09.05 조회수 177
[9월 2일] "동결 배아로 태어난 아이, 암 위험↑" 등
□ "동결 배아로 태어난 아이, 암 위험↑" 체외에서 수정된 배아를 동결 보관했다가 나중 해동해 자궁에 이식해 태어난 아이는 다른 보조 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보다 암 발생 위험이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예테보리(Gothenburg) 대학 의대 산부인과 전문의 노나 사르기시안 교수 연구팀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태어난 아이들 794만4천248명의 의료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일 보도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02054600009?input=1195m □ KAIST, 국제 공동연구로 헌팅턴병 새 치료법 제시 KAIST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연구팀은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방법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헌팅턴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을 ...
2022.09.02 조회수 187
[9월 1일] 연명의료제도 5년…‘윤리위 설치·의료진 교육’ 등 여전히 미비 등
□ 연명의료제도 5년…‘윤리위 설치·의료진 교육’ 등 여전히 미비 연명의료결정제도가 국내 도입된 지 5년이 지났지만 연명의료 중단 결정 시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설치, 의료진 교육 등 여전히 미비점이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과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은 31일 오후 국회에서 ‘시행 5주년 연명의료결정제도, 이대로 좋은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6712 □ 낙태: 왜 일본 여성들은 파트너 동의 없으면 '임신중단' 의약품 처방 못 받나 미국에선 여전히 '로 대 웨이드' 판결 번복으로 인한 격렬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와중에 일본에서도 소위 '의학적인 낙태 유도' 합법화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 고위 관료는 지난 5월 국회에서 영국의 ...
2022.09.01 조회수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