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89 건
총 3,189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4일]
□ 질병세포만 찾아 치료하는 '유전자가위시스템(CRISPR-Cas9)' 개발 국내 공동연구진이 질병세포에서만 핵 내 유전자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전자가위시스템(CRISPR/Cas9)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포 내 마이크로RNA가 특정 서열을 인식해 절단한다는 특성을 활용, 질병세포에서 과발현되는 마이크로RNA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링커를 연결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설계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14_0001906674&cID=10807&pID=10800 □ 이스라엘 연구팀, 면역 B세포 이용해 HIV 항체 개발 이스라엘 연구팀이 체내 면역세포 유전자를 조작해 만든 항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항체를 동물시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B세포 조작을 통해 향후 HIV 등 감염질환에 대한 항체뿐 아니라 암이나 자가면역질환 등 비감염성질환 치료에도 확...
2022.06.14 조회수 23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3일]
□ "성염색체 이상 남성, 당뇨병 등 일반 질병 위험↑" 성염색체 이상을 지닌 남성은 500명에 한 명꼴이며 당뇨병, 동맥경화, 혈전 등 일반적인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이 성염색체가 정상인 남성들보다 상당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13027800009?input=1195m □ 포르투갈, 대통령 2번 거부에도 '안락사 합법화' 또 추진… 포르투갈 의회가 두 차례의 대통령 거부권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안을 다시 통과시켰다. 법으로 제정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 것으로 보이지만, 다시 안락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는 모양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9일(현지시간) 포르투갈 국회는 '특정 조건에서 의료 보조 사망을 합법화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707559 □ 열악한 실험쥐 사육환경이 '엉터리' 연구 ...
2022.06.13 조회수 17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10일]
□ "의료데이터, 관건은 규제와 활용의 균형"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주한덴마크대사관은 지난 8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2년 보건의료 빅데이터 미래포럼'을 열었다. “법은 기술보다 느리다. 관건은 규제와 활용을 어떻게 적절하게 균형시키느냐다.” 주한덴마크대사관 랜디 멍크 보건의료 참사관의 말이다. - 기사: https://zdnet.co.kr/view/?no=20220610131925 □ "품위있게 죽고 싶다" 130만 명이 선택했지만…아직 갈 길 먼 '웰다잉' 2018년 2월 연명의료 결정제도가 시행된지 4년 3개월 여 동안 130만 8938명이 '사전 연명의료 의향서'를 썼다. 건강할 때 연명치료 거부에 관한 본인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일종의 서약서다. - 기사: https://www.sedaily.com/NewsView/2676GWUWFF - 관련 일일언론동향("남은 삶 무의미"…국민 76%, 안락사 입법화 찬성): http://www.nibp...
2022.06.10 조회수 21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9일]
□ '약물대사 기능 개선 인공 장기유사체 개발…"대량 증식 가능"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충남대 김상겸 교수 연구팀과 함께 약물대사 기능이 개선된 간 독성평가용 오가노이드(인공 장기유사체) 모델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오가노이드 배양 기술은 기존 기술보다 제작·배양 방법이 간단하고 장기간 배양, 대량 증식, 동결·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9075900063?input=1195m □ 獨 “장기기증자 유가족-수혜자 소통 허용하라” 여론에 찬반논쟁 ‘팽팽’ 독일 뉴스전문채널 ntv는 5일(현지시간) 장기 기증자의 가족 ·친지로 구성된 단체 ‘기증자 가족 네트워크(NSF)’가 전날 열린 장기기증의 날 행사에서 사후 장기 기증자 가족과 수혜자간의 접촉을 엄격하게 막는 ...
2022.06.09 조회수 19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8일]
□ '암세포 체외배양' 치료제 반응 미리 예측…'미세유체칩'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체외 배양해 항암 치료제 반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미세유체 칩'을 개발했다. 기존 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난치암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704778 □ 만성골수성 백혈병치료제 슈펙트, 효과있다…울산대병원 국내 연구진이 만성기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알려진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의 다발골수종 약효 효과를 분석,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 슈펙트는 RPMI-8226, MM.1S, U266B1 및 IM-9 세포 등 다양한 다발골수종 세포주에서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고 증식을 억제했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08_0001900543&cID=10814&pID=10800 □ 코로나19 예방용 항체...
2022.06.08 조회수 20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7일]
□ 인제대 연구진, 전신 면역 손상없이 장기 염증 제어 치료법 개발 인제대학교는 의과대학 서수길 교수팀이 전신 면역 손상 없이 점막 장기의 면역 병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새로운 염증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서 교수팀은 이번에 염증 조절과 조직 치유에 핵심 역할을 하는 '아릴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의 새로운 염증 제어 기전을 밝혀내, 전신 면역 약화 없이 폐, 장기조직의 GVHD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면역조절 AHR 작용제'를 개발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7056400052?input=1195m □ 임신중절 엄격 제한한 폴란드, 이번엔 '임신 등록제' 정책으로 논란 AP통신은 6일(현지시간) 폴란드 정부가 임신 등록제로 여성들의 임신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려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담 니에지에스키 보건부 장관은 지난 3일 알레르기, 혈...
2022.06.07 조회수 18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3일]
□ 美의료팀, 환자 조직 이용 3D프린팅 귀 이식 성공 미국 의료팀이 환자 본인의 조직을 활용한 3차원(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인간의 귀를 재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2일(현지시간) 소이증을 앓고 있는 20대 여성이 자신의 세포로 만든 3D프린팅 귀를 이식 받았다고 보도했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701772 □ 낙태죄 폐지됐지만 대체입법도, 의료현장도 준비 안됐다 낙태죄가 폐지되면서 임신중절의약품 도입 논의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정작 의료 현장이 준비가 안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순천향대서울병원 산부인과 오정원 교수는 2일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가 개최한 ‘낙태죄 효력상실 이후 의료적 측면에서 본 현실’ 세미나에서 낙태죄 폐지 이후 상황에 대한 의료계 내부 논의가 부족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
2022.06.03 조회수 19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6월 2일]
□ 3일간 기계로 회복시킨 간을 다른 환자 몸에 이식했더니… 스위스 과학자들이 손상된 간을 사흘 간 기계장치에서 회복시키고 환자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간은 몸 밖에서 섭씨 4도로 12시간까지만 보관할 수 있었다. 이번 결과는 환자에게 이식할 수 있는 간의 숫자를 크게 늘리는 효과를 거둬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사: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6/01/IH3UD3N2FJCZFFX3AQ2MSU3CDA/?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중국 연구진 "세계 최초 돼지 복제 전면 자동화 성공" 중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인간이 개입하지 않는 전면 자동 시스템을 통해 돼지 복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난카이대학 인공지능(AI)대 연구진은 로봇으로 모든 복제 과정을 진행한 7마...
2022.06.02 조회수 17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1일]
□ 살아있는 사람 장기 적출‧이식 허용연령 ‘19세’로 상향 추진 미성년자의 건강권과 자기결정권 보호를 위해 살아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 적출과 이식 허용 연령을 16세에서 19세로 상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장기 적출‧이식 허용연령을 16세에서 19세로 상향조정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3592 □ ASCO 등 임상시험 참가 다양성 개선 촉구 FDA에 이어 미국종양학회(ASCO)와 지역암센터협회(ACCC)도 임상시험 참가자에 대한 다양성을 개선시키도록 최근 촉구하고 나섰다. ASCO·ACCC는 그동안 암 연구에 참여가 부족했던 소수 인종 및 민족의 참가율을 높이기 위해 6대 전략 가이드를 ...
2022.05.31 조회수 16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30일]
□ 한국서도 알랭 들롱처럼 '안락사' 가능?…'존엄사법' 발의 눈앞 '세계 최고의 미남'으로 불렸던 프랑스 배우 알랭 들롱(사진)이 안락사를 결정했다는 소식이 지난 3월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국내외에서 화제가 됐다. 알랭 들롱은 자신이 세상을 떠날 순간을 정하면 임종을 지켜봐 달라고 아들에게 부탁했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환자 본인이 원하면 의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력 존엄사법'이 국회 발의를 앞두고 있다. - 기사: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05300837i □ 보건의료연구원 "신속항원검사 민감도 떨어져…권고 안 해" 최근 코로나19 유병률이 떨어진 만큼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확진 인정을 권고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의학계 권고가 나왔다. 보건복지부 산하의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의연)과 대한의...
2022.05.30 조회수 20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7일]
□ 美 민주당, 구글에 '사용자 위치 데이터' 수집 중단 촉구 미국 민주당과 무소속 상·하원 의원들이 구글을 향해 위치 데이터 수집·보유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개인 정보가 낙태를 단속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는 이유다. - 기사: https://zdnet.co.kr/view/?no=20220525091518 □ 한계 극복했다...'암세포 파괴' 새 치료법 최신 항암 기술인 카티(CAR-T)는 우리 몸의 면역 세포를 이용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 치료제이다. 그러나 혈액암 등에서 탁월한 효과를 입증했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재발이 발생한다. 기존의 카티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때 표적으로 삼는 암세포 표면의 특정 물질인 CD-19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엔 암세포 표면의 두 가지 물질을 표적으로 삼는 카티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기사: https://www.ytn.co...
2022.05.27 조회수 196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6일]
□ "10명 중 7명 안락사 찬성, 죽음에도 자기결정권"…불붙는 '웰다잉' 논의 국내에서도 이른바 '웰다잉' 논의가 활발하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이 안락사 입법화에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개개인이 어떤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할지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할 권리가 보호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25_0001885437&cID=10201&pID=10200 □ “인체유래 폐기물 재활용, 윤리적 환경 먼저 개선해야” 태반을 제외한 의료폐기물의 재활용을 금지하고, 연구용으로만 일부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폐지방·폐치아를 의생명산업에 활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 기사: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23817 - 관련 보고서: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
2022.05.26 조회수 1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5일]
□ '말기 신부전 동반' 난치성 혈액질환자 신장이식 성공 국내 의료진이 말기 신부전을 동반한 30대 난치성 혈액질환자를 대상으로 신장이식에 성공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과 가톨릭혈액병원 진료팀은 지난달 13일 난치성 혈액질환을 앓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 김모(32)씨가 어머니로부터 신장을 이식받고 안정적으로 건강을 회복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25_0001884512&cID=10201&pID=10200 □ 임상시험도 '디지털' 전환… 병원 안가고 집에서 비대면 진료를 필두로 한 헬스케어 분야 '디지털(Digital)' 전환 논의가 임상시험 분야에서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주요 의약 선진국에서는 병원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기존 방식 대신 집에서 상태를 기록하는 재택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기...
2022.05.25 조회수 12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4일]
□ "남은 삶 무의미"…국민 76%, 안락사 입법화 찬성 우리나라 국민의 76.3%가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 입법화에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팀은 지난해 3월부터 4월까지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4일 밝혔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24_0001882568&cID=10201&pID=10200 - 논문: https://www.mdpi.com/1660-4601/19/9/5183 □ '낙태 금지' 성과 거둔 美 보수파 다음 표적은 '인종 할당제' 낙태 금지라는 염원 달성을 눈앞에 둔 미국의 보수파들이 다음 목표로 대학의 소수인종 우대입학 정책인 '어퍼머티브 액션'을 설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급 인사들이 이끄는 보수...
2022.05.24 조회수 14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3일]
□ 비난보다 '고민'이 먼저…"제도 사각지대 해소해야" 23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21대 국회 들어 급증하는 영아 유기 사건을 방지한다는 취지로 보호출산특별법 등이 발의돼 있다. 보호출산특별법은 임산부가 자신의 신원을 드러내지 않고 의료기관에서 출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골자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20_0001879539&cID=10201&pID=10200 □ KAIST, 생체 조직 내 여러 바이오마커 동시 탐지하는 고성능 기술 개발 기존 기술 대비 5배 이상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특수한 시약이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암의 정확한 진단 및 항암제 개발, 새로운 단백질 마커 발굴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사: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2133402815 □...
2022.05.23 조회수 10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20일]
□ 호주 모든 주에서 '자발적 안락사' 조건부 허용 호주에서 뉴사우스웨일스(NSW) 주의회가 조건부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모든 주에서 안락사가 합법화됐다고 dpa통신·가디언 등이 19일 보도했다. 법안은 스스로 결정할 정신적 능력을 지닌 18세 이상 호주 시민이나 거주자가 죽음을 앞뒀거나 참을 수 없는 고통을 주는 불치병을 앓으면 스스로 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 기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756766&plink=ORI&cooper=NAVER □ 낙태죄 폐지 3년이나 지나도 임신중절약 "허가 NO" 낙태죄 폐지와 맞물려 도입이 기대됐던 임신중절약 미페프리스톤(성분명) 품목허가가 관련 법령정비 전 사실상 불가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임신중절약으로 사용되는 미페프리스톤은 법령개정 전 식약처 허가...
2022.05.20 조회수 17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9일]
□ 1형 당뇨병 세포 이식 치료, 거부반응 없이 가능하다 1형 당뇨병 환자에게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할 때 거부 반응을 피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 전략이 개발됐다. 미국 하버드의대의 최대 교육병원인 매사추세츠 제너럴 호스피털(MGH) 과학자들이 주도한 이 연구 결과는 13일(현지 시각)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논문으로 게재되었으며, 하버드의대 연구진은 현재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시험 계획을 검토중이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7149600009?input=1195m □ 코로나 백신 접종 후 감염 시 중증 억제 원리 밝혔다 국내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도 중증을 막는 면역반응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이 되더라도 중증으로 진행하지 않는 면역 원리를 ...
2022.05.19 조회수 11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8일]
□ 코로나 타고 급증한 '비대면 진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 2020년 2월부터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가 논란이 되고 있다. 병원에 가지 않아도 처방전을 받고 약까지 배송 받을 수 있다 보니, 비대면 진료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이 30여 개나 생겼다. - 기사: https://www.dailian.co.kr/news/view/1114578/?sc=Naver □ 스페인, '유럽 최초' 月 3일 생리휴가 도입 정부안으로 확정·낙태권도 강화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좌파 성향의 스페인 사회노동자당(PSOE)·포데모스 연립정부는 생리 기간 여성 근로자에게 정부 지원으로 유급 휴가를 주는 법안 초안을 확정했다. 이번 법안은 공청회, 내각 검토를 거쳐 하원 표결에 들어간다. - 기사: https://www.news1.kr/articles/?4683677 □ “고독사하면…” ...
2022.05.18 조회수 12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7일]
□ "4000원짜리 검사 놓쳐" 희귀병 발견 못해…英서 개선도 지지부진 영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질병을 놓친 바람에 한 아이가 첫돌을 맞이하기 전 세상을 떠났다. 이를 계기로 영국 정부는 지난해 신생아 검사에 신기술을 도입할 것을 예고했으나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 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17_0001873674&cID=10101&pID=10100 □ 가짜뉴스: 인터넷에 떠도는 가짜 낙태법, 어떤 것들이 있나? 캠페인 단체인 디지털혐오대응센터(CDH)에 따르면, 전 세계 48개국에서 '낙태 방법'을 입력하면 구글 자동완성에 날달걀이나 소금물을 이용한 비효과적인 가정요법이 함께 뜨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자사 시스템이 이처럼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모두 포착하지는 못한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문제가 발생하면 집행팀에서 이를 검토하고 삭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 ...
2022.05.17 조회수 11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5월 16일]
□ 스위스, 자동 장기기증법 국민투표…생전거부 안하면 동의 간주 스위스가 명시적으로 거부하지 않은 모든 사망자를 자동으로 장기 기증자로 간주하는 법안에 대해 15일(현지시간) 국민투표를 한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살아있을 때 장기 기증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사망할 경우, 장기 기증에 동의한 것으로 보고 장기 기증 절차가 진행된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5038100009?input=1195m □ 로이터 "韓서 난자 냉동 증가…집값·과열 경쟁에 출산율 감소" 치솟는 집값과 경쟁 과열로 인한 막대한 사교육비, 출산-결혼을 한 세트로 보는 사회적 시선. 로이터 통신은 한국 여성들을 출산과 결혼으로부터 멀어지게끔 하는 요인을 분석하며 한국의 '난자 냉동' 현상에 주목했다. 로이터 통신은 난자를 냉동했거나 냉동할 계획이...
2022.05.16 조회수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