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89 건
총 3,189 건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17일]
□ 시행 2년 ‘연명의료결정법’, 개선 요구 거세 〇 시행 2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개정 요구가 많음.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은 ‘부족한 환자결정권’과 ‘환자의 정확한 의사 확인 방안’ 등으로 연명의료결정법의 핵심사항이 대부분임. 더불어민주당 원혜영‧맹성규, 바른미래당 김상화 의원과 (사)한국여성변호사회는 17일 오후 국회에서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개선방안’ 토론회를 개최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2281 * 관련 기사: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424 http://medigatenews.com/news/3692550374 https://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48454 □ '도약 유전자' 트랜스포존, 잠금장치 풀리는 이유 규명 〇 트랜스포존(transposon)은 염색...
2019.09.20 조회수 25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16일]
□ 남해군 보건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발길 이어져 〇 남해군 보건소가 지난달 5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업무를 시작한 이후, 관련 등록을 위한 군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음. 군 보건소에 따르면 이달 10일 기준 56명이 등록을 완료했으며, 상담 문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k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485 □ 세계 3위 유니콘 보유한 영국 스타트업의 무기는 ‘AI’ 〇 최근 세계 3위 유니콘 스타트업 보유 국인 영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눈길이 쏠리고 있음. 비결로 인공지능(AI)이 꼽힘. 영국 정부가 적극 나서 민관 협력을 이끌고 AI 기술 개발을 지원한 것이 배경으로 분석됨 * 기사원문 보기: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15/2019091500475.html □ 세계최고 AI전문가 매년 100명 초청 〇 일본 정부의 국가 AI...
2019.09.20 조회수 189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11일]
□ 뜨거운 논란 치매 안락사…세계 추세와 국내 현황은? 〇 치매환자 안락사를 두고 세계적으로 찬반이 나눠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네덜란드에서 중증치매환자를 안락사한 의사가 기소되면서 논란이 재차 가열되고 있음. 치매환자가 안락사 직전 철회 의사를 표현했지만, 의사가 환자의 진심을 확인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안락사를 그대로 진행했다는 이유. * 기사원문 보기: https://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7 □ 제주대, 세계 최초 치매 유전자 지닌 복제돼지 생산 성공 〇 지난 2016년 알츠하이머 치매 유전자를 갖고 태어난 복제 돼지. 당시 세계에서 처음으로 인간의 치매 유전자 3종류를 발현시키며 국내 특허를 받았음. 최근 미국에서까지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음. 3가지 유전자의 돼지 체세포 이동기술부터 치매 돼지에 대한 유전자분석과 결과를 공인받은 것. * 기사원문 보기: h...
2019.09.12 조회수 16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10일]
□ 의료기관 잔여 검체, 인체유래물은행 제공 가능 〇 의료기관에서 서면고지 후 거부의사 표시가 없으면 잔여검체를 인체유래물은행에 제공하는 절차가 마련됨, 그동안 치료 및 진단목적으로 채취된 후 폐기되던 인체유래물 잔여검체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확대될 전망.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47204&thread=22r01 □ 한국여성변호사회, 17일 '연명치료 중단 입법 개선' 토론회 〇 한국여성변호사회(회장 조현욱)는 1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고령화 사회의 법정책 토론회-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염. 김천수 성균관대 로스쿨 교수가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을, 윤영호 서울대 의대 교수가 '연명의료결정법과 웰다잉 정책'을 주제로 발표. * 기...
2019.09.12 조회수 15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9일]
□ AI로 의료기록 보고 VR로 병문안…LGU+, ‘5G 병원’ 연다 〇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5G 기반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병원’을 염. LG유플러스는 을지재단과 ‘5G 스마트 병원’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10일 밝힘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9100955340933 □ 돼지에 ‘치매 유발 유전자’ 복제 성공…제주대 연구팀, 미 특허 〇 인간에게 치매를 유발하는 알츠하이머성 질환 유전자 세 가지를 돼지에 복제하는 생산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돼 치매 연구를 선도할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됐음. 치매 원인 규명과 신약개발에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을 끌고 있음. 농촌진흥청과 제주대학교는 세계 처음으로 ‘세 개의 인간 치매 유발 유전자...
2019.09.12 조회수 2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6일]
□ 의료 분야 인공지능 발병 예측도 가능 〇 지난 2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9 스마트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특별 강연자로 나선 서준범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장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 시스템의 성공 요인으로 기술 외에도 개인정보 활용과 같은 데이터 개방의 필요성을 강조함.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D%98%EB%A3%8C-%EB%B6%84%EC%95%BC-%EC%9D%B8%EA%B3%B5%EC%A7%80%EB%8A%A5-%EB%B0%9C%EB%B3%91-%EC%98%88%EC%B8%A1%EB%8F%84-%EA%B0%80%EB%8A%A5 * 관련기사: https://www.kidd.co.kr/news/210898 □ AI, 기술 개발 집중하다가 사회 문제 놓친다 〇 여기저기서 인공지능(AI)을 외치지만, 여전히 AI를 바라보는 시각이 단편적이라는 지적이 나옴. 현재의 AI 개발 방향이 고도 산업화를 위한 생산성과 효율성의 극대화 측면에서만 다뤄지고, 인간 보호 즉, 사회 시스...
2019.09.09 조회수 138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5일]
□ "죽은 냥이 다시 살려주세요" … 중국에 무슨일이? 〇 중국의 사업가 황유씨(22)는 지난 1월 키우던 고양이 '마늘'이를 잃고 슬픔에 빠져 복제를 진행하기로 결정. 그는 요로 감염으로 2살 마늘이가 죽자 조심스럽게 싸서 냉장고에 보관한 뒤 베이징의 애완동물 복제업체 시노진에 맡겼음.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에서 최근 이런 수요에 부응하는 애완동물 복제사업이 확대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90513251950875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〇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함. (9.6~9.26) 의료기관이 서면고지 후 거부의사 표시 없으면 잔여검체를 인체유래물은행에 제공하는 절차 규정임. * 기사원문 보기: https://go.seoul.co.kr/news/prnewsV...
2019.09.09 조회수 244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4일]
□ 국가간 ‘규제 하모니’, 의약품 접근성 제고 대안으로 ‘급부상’ 〇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혁신의약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질환의 2/3는 적절한 예방이나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에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등 다양한 기전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제약업계의 R&D 투자가 확대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8896 □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심포지엄 개최 〇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는 18일 서울대학교병원 임상 제1강의실에서 ‘방치된 현실 그리고 변화의 목소리’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함.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소아청소년과 김민선 교수가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의 지난 1년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해, 다양한 ...
2019.09.09 조회수 10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3일]
□ 정부 추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법적 근거 확보 ‘잰걸음’ 〇 정부가 추진 중인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의 법적 근거 확보가 늦어지고 있음.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통과가 지연되고 있음.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질병관리본부 4개 공공기관에서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분석·활용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골자임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medigatenews.com/news/1819585388 □ 미국 DTC 유전자검사 활성화서 우리가 배울 점은? 〇 소비자가 자신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하고 중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지만, 건강검진과 병원 방문을 포함해 전통적인 건강관리 평가를 대체할 수 없다는 주의사항은 한계로 지적됨. 이는 국...
2019.09.08 조회수 453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2일]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 노인복지관 추가 추진 〇 노인세대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인복지관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 포함시키는 방안이 추진됨. 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1878 * 관련 기사: https://www.medigatenews.com/news/1108158198 □ 연명의료법 시행에 따른 영향력 분석 착수 〇 시행 1년 7개월이 된 연명의료결정법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야기되고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연구가 진행됨.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연명의료결정제도 유관 법률조사 및 분석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연...
2019.09.08 조회수 10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30일]
□ '5㎜ 미니 뇌' 만들어 뇌치료 혁신… 치매 실험비용 99% 줄였다 〇 뇌 오가노이드, 즉 '몸 밖에 있는 살아 있는 뇌'를 만들어 뇌에 직접 실험할 수 있게 만듦. 바이오 기술이 발달하며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되돌렸다가 다시 특정 세포로 자라게 하는 기술도 빠르게 진전해 가능해진 일. 미국 보스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김두연 교수팀의 경우엔 단백질 젤에 줄기세포를 섞어 뇌 신경세포와 뉴런 등을 몸 밖에서 만들어냄.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31/2019083100164.html □ AI시대 한국 미래 의료는 어떤 모습일까…연세대서 학술 세미나 열려 〇 인공지능(AI)시대를 맞아 한국 미래 의료는 어떤 모습일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학술 세미나가 지난 29일 연세대 세브란스 암병원에서 열렸음.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
2019.09.08 조회수 10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9일]
□ 키메라 기술로 장기이식 가능할까? 〇 키메라(chimera)를 과학자들이 차용하여 유전자가 다른 세포로 구성된 특이한 생물을 지칭하는 말로 ‘키메라’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 ‘가디언’ 지에 따르면 최근 과학자들을 통해 키메라를 만드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중. 그러나 새로운 키메라 출현으로 생태계 혼란을 유발한다는 우려와 함께 윤리적 논란이 가열되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82%A4%EB%A9%94%EB%9D%BC-%EA%B8%B0%EC%88%A0%EB%A1%9C-%EC%9E%A5%EA%B8%B0%EC%9D%B4%EC%8B%9D-%EA%B0%80%EB%8A%A5%ED%95%A0%EA%B9%8C □ 공과금·건강보험료 연체자, 비연체자보다 자살 시도 18배 〇 공과금이나 건강보험료를 연체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자살을 많이 생각하고 실제 시도도 훨씬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음. 논문에 따르면 최...
2019.09.08 조회수 8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8일]
□ ‘줄기세포 치료’ 아직 갈 길 멀다 〇 모든 줄기세포 치료가 효과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줄기세포 치료 후 환자의 통증이 완화됐다고 판단하는 의사의 수가 생각보다 적고, 그나마 효과를 볼 수 있는 적응증을 가진 환자를 찾기 어렵다는 것에 많은 전문의들이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825/97110962/1 □ 전 세계 장기이식률 10%···형질전환 돼지 이종장기 개발 〇 기자간담회에서는 제넨바이오 김성주 대표이사와 사외이사인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박정규 단장이 첨단 재생의료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종장기 분야와 제넨바이오의 사업에 대해 소개하고, 올해 진행될 이종이식 관련 임상 계획을 소개. * 기사원문 보기: https://healthtapa.com/archives/11147 * 관련 기사: http://biz.newdaily...
2019.09.08 조회수 9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6일]
□ 교통사고 후 장기 기증하고 세상 떠난 美 10세 소녀 〇 미국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10세 소녀가 수십 명의 환자들에게 장기를 기증하고 세상을 떠났음.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ABC 방송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프란신 살라자(10)는 지난 7일 그녀의 어머니 한나 살라자의 차를 타고 하교하던 길에 교통사고를 당했음. 프란신의 가족들은 아이가 죽음을 앞두고 있음을 받아들이고 장기를 기증하기로 결정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3641365&code=61131511&sid1=all □ 노인인구 83% 존엄사 찬성…서울시, 웰다잉 문화 실태조사 〇 2017년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은 평화롭고 존엄한 죽음을 추구하는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 서울시도 이에 맞춰 웰다잉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실태조사를 추진하기로 ...
2019.09.08 조회수 80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7일]
□ 성체줄기세포와 miRNA 활용한 심근경색 치료법 개발 〇 황기철 가톨릭관동대 바이오융합연구원장은 26일 “몸속 지방에서 분리한 성체줄기세포와 혈액 속 마이크로리보핵산(miRNA)을 활용해 심근경색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했다”며 “사람에게서 나온 물질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실제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음. 줄기세포 치료를 환자에게 활용하기 위해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도 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9082684941 □ 규제 풀리는 유전자가위 활용... 난치성 질환 치료 길 연다 〇 유전자치료 연구의 핵심 기술인 '유전자가위'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음. 26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전자치료 연구대상 질환을 사실상 없애고 모든 우수한 유전자치료를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돼, 유전자가위 기술을...
2019.09.03 조회수 9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3일]
□ '멸종위기' 바나나, 유전자 가위가 구할 수 있을까 〇 바나나는 모두 유전자가 똑같은 복제물인 셈. 유전적 다양성이 없는 생물은 치명적인 질병 하나로 순식간에 멸종 위기를 맞음. 과학자들은 세계 곳곳에 있는 다양한 야생 바나나를 상품화하면 단일 품종, 대량 생산의 과오를 바로잡을 수 있다고 봄. 야생 바나나 중에는 여전히 씨를 가진 종류도 있음. 씨앗을 뿌려 키우면 꽃가루받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함. * 기사원문 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22/2019082200146.html □ 유전자가위 이용 유전자치료연구 문 열린다 〇 국내에서도 유전자가위 등 최신 유전자 교정 도구를 이용한 획기적 유전자 치료법을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임. 2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런 방향으로 유전자치료 연구를 할 수 있게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
2019.09.03 조회수 112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2일]
□ 유전자가위 포함 '新치료법' 노크 가능해질듯 〇 국내에서도 유전자가위 등 최신 유전자 교정 도구를 이용한 획기적 유전자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됨. 최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유전자치료 연구를 할 수 있게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생명윤리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동시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일규 의원이 관련 생명윤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46617 * 관련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190821144900017 □ 간병살인 등 극단 선택 막으려면…‘존엄한 죽음’ 공론화 서둘러야 〇 지금 시행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존엄한 죽음을 가능케 하는 것. 물론 연명의료결정법을 시행하면서 신뢰가 구축될 경우 한 걸음 더 나아간 의사조력자살...
2019.09.03 조회수 111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1일]
□ 유전성질환 1만개 넘는데, 22개만 배아연구 허용…"바이오산업 크겠나" 〇 인간 배아 연구 규제를 풀기로 했던 정부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감. 생명윤리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반대에 막혔기 때문.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희귀 난치병 치료를 위해 배아 연구를 장려하는 것과는 대조적.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일 “배아 연구 규제 완화 방안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회부하지 않기로 최근 결정했다”고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9082058501 □ 제넨바이오 ‘이종장기’ 연구 본격화…"올 하반기 돼지췌도 이식 임상 돌입" 〇 올해 경기도 평택에 연구센터 건립을 시작으로 이종 장기 이식 사업을 본격화한 제넨바이오 회사. 각막, 췌도 등 무균 돼지에서 키워낸 인간 장기를 장기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공급하는 국내 유일 사업 모델...
2019.09.03 조회수 95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20일]
□ 연명의료법 시행 1년6개월.. 여전히 혼란스러운 의료현장 〇 의사 A씨는 지난 1월 10년 정도 근무했던 요양병원을 떠남. 스스로를 인간 존엄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로 생각하며 환자에게 최선을 다해왔지만 폐렴에서 패혈증으로 악화된 환자들이 항생제마저 듣지 않아 서서히 죽어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자괴감을 떨쳐낼 수 없었기 때문. 영양공급을 중단할 수 없는 환자는 ‘살아서 죽음을 경험’하는 상태라고 표현. 살아있음을 강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연명의료법에 대해 헌법소원을 냄. * 기사원문 보기: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1412 * 관련 기사: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798 □ 규제 풀리는 `유전자가위` 활용… 난치성 질환 치료 길 연다 〇 유전자치료 연구의 핵심 기술인 '유전자가위'가 다시 한번 주목...
2019.09.03 조회수 97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8월 19일]
□ 한의사 전문약 사용 선언, “의료윤리 마비 행보” 〇 대한약사회가 한의사의 전문약 사용 선언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음.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는 19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수원지검의 불기소 처분을 이유로 한의사의 전문의약품 사용이 가능해졌다고 선언하고 전문의약품을 무허가 사용하겠다는 대한한의사협회의 의료윤리 마비 행보에 대해 깊은 유감과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음. * 기사원문 보기: http://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8762 □ ‘나치의 해부학’ 딜레마…악에서 나와 선하게 쓰인다면? 〇 인간을 불법 체포해 끔찍하게 목숨을 빼앗고 그 주검을 해부한 책이 의학적으론 매우 뛰어나 다른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오스트리아 빈대학의 해부학자 에두아르트 페른코프(1888~1955)는 열성 나치주의자였음. 그가 남긴 해부학 도감 <페른코프 아틀라스...
2019.09.03 조회수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