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26 건
총 1,826 건
유전자 편집 논의의 중심에 있는 ‘동물 복지’
※ 기사 [Animal Welfare Belongs At Heart Of Gene Editing Discussion] https://scienceblog.com/527016/animal-welfare-belongs-at-heart-of-gene-editing-discussion/ ※ 관련 보고서 [Genome editing and farmed animal breeding: social and ethical issues] https://www.nuffieldbioethics.org/publications/genome-editing-and-farmed-animals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Nuffield Council on Bioethics)는 오늘 발간된 새로운 보고서인 '게놈 편집과 가축 사육: 사회적, 윤리적 문제(‘Genome editing and farmed animal breeding: social and ethical issues’)에서 ‘동물 복지’를 정부가 농업과 식량 생산 분야에서 새로운 번식 기술을 승인하는 계획의 중심에 둘 것을 요구하고 있다. 너필드 생명윤리위원회는 유전자 편집이 농업에 실질적인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
생명윤리 2021.12.09 조회수 416
코로나19 백신접종과 장기이식의 윤리 - 한때 드물었던 COVID-19 환자에 대한 폐 이식이 빠르게 ...
※ 기사 [Once rare, lung transplants for COVID-19 patients are rising quickly] https://www.npr.org/2021/11/28/1058988220/once-rare-lung-transplants-for-covid-19-patients-are-rising-quickly 미국 장기 공유 연합 네트워크(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이하 UNOS)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미국 폐 이식 10건 중 1건은 COVID-19 환자에게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COVID-19 백신 접종을 하지 않기로 선택한 사람들에게 부족한 자원을 배분하는 윤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UNOS의 최고 의료 책임자인 David Klassen(데이비드 클레센)은 “그러한 사례(COVID-19 환자에게 폐 이식을 하는 사례)는 꾸준히 축적되고 있으므로, 그것은 매우 현실적인 일”이라고 말한다. "만약 더 많은 폐를 이식할 수 있다면, 나는 그러한 사례가 더 많을 것이라고 본다”고 그는 말한다. COVID와 관...
장기 및 인체조직 2021.12.03 조회수 413
우크라이나 클리닉이 아기에 대한 블랙프라이데이 할인을 제공함에 따라 일어난 온라인상에서의 분노
※ 기사 [Internet outrage as Ukraine clinic offers Black Friday discounts on babies] https://www.wionews.com/trending/internet-outrage-as-ukraine-clinic-offers-black-friday-discounts-on-babies-431545 우크라이나 불임 클리닉인 BioTexCom이 아기에 대한 블랙프라이데이 할인을 제공하자 온라인상에서는 분노가 일고 있다. 이 불임 클리닉은 11월 15일부터 11월 26일까지 3%의 할인을 제공한다. 클리닉의 웹사이트에서는 “서두르세요. 아기를 가질 수 있는 꿈을 이루세요!”라고 소개하고 있다. 클리닉은 또 트위터(Twitter)를 통해 다음과 같이 광고했다: “불임 클리닉에서 제공하는 2021년 최고의 블랙프라이데이! 아기를 가질 수 있는 꿈을 이루기 위해 서두르세요!” 대리모 및 출산 패키지에 대한 블랙프라이데이 할인 행사 소식에 대해 분노의 반응이 뒤따랐다. 이러한 제안(클리닉...
보조생식 및 출산 2021.11.26 조회수 371
DTC 유전자 검사로 위험에 처한 개인 민감정보
※ 기사 [Protect sensitive individual data at risk from DTC genetic tests] https://www.ama-assn.org/delivering-care/patient-support-advocacy/protect-sensitive-individual-data-risk-dtc-genetic-tests DNA 검사를 위한 가정용 키트는 소비자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위험을 가지고 있다. AMA(미국의사협회)는 급성장하고 있는 이 (유전자 검사)시장을 통제하기 위해 새로운 개인정보보호 기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한다. 2021년 11월 AMA 특별회의에서 채택된 AMA 이사회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 검사(DTC)의 사용은 지난 10년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약 1억 명이 검사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의사들은 개인 민감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정장치가 마련되도록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한다. 노인의학전문의이자 AMA 이사인 Thomas J. Madejski ...
개인정보보호 2021.11.19 조회수 607
안락사에 대한 입장을 발표한 Anscombe Bioethics Center
※ 기사 [Anscombe Bioethics Centre releases position papers on euthanasia] https://bioedge.org/end-of-life-issues/euthanasia/anscombe-bioethics-centre-releases-position-papers-on-euthanasia/ 영국의 Anscombe Bioethics Center는 합법화된 안락사와 조력자살에 대한 전 세계의 논쟁에서 중요한 문제들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수의 보고서를 제공했다. 이 센터는 생애말기 돌봄에 대해 가톨릭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아주 잘 연구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다음은 안락사에 대한 세 가지 최신 입장을 발표한 내용이다. 1. 논쟁 중인 용어 정의: 안락사와 완곡한 표현 David Albert Jones는 정확성을 요구한다. 그 단어들은 인생의 의도적인 종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이다. 안락사와 조력자살 외에도 VE(자발적 안락사), NVE(비자발적 안락사), PAS(의사조력자살), EAS(안락사 또는 조력자살)...
연명의료 및 죽음 2021.11.10 조회수 721
의사조력자살(PAS)과 자율성 신화 : 조력자살의 사례에서, 환자들은 정말로 합리적인 자율성을 가...
※ 기사 [Physician-Assisted Suicide and the Autonomy Myth] https://www.psychiatrictimes.com/view/physician-assisted-suicide-and-the-autonomy-myth 이 논문은 의사조력자살이 환자의 자율성을 구체화한 것이라는 너무나도 보편적인 믿음에 도전했다. 사실, 우리는 반대로 주장해 왔다. 의사조력자살의 전체 프로세스는 모든 결정을 승인(또는 거부)해야 하는 강력한 타인의 권위에 결정적으로 의존한다. 훨씬 더 핵심적으로, 우리는 진정한 합리적 자율성과 진정한 자발성이 흔히 표준 인지 기반 평가 도구로는 놓칠 수 있는 미묘한 인지적, 감정적 요인에 의해 약화된다고 주장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 질환에 대한 DSM-5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는 환자들은 절망감 또는 사기저하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합리적인 자율성과 진정한 자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현행 의사조력자살 법령은 환자를 ...
연명의료 및 죽음 2021.11.05 조회수 692
의사들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 뇌사자 여성에게 돼지의 신장(kidney)을 이식했다. 이것은 과연...
※ 기사 [Surgeons tested a pig kidney on a brain dead woman on a ventilator. Was that ethical?] https://nationalpost.com/health/the-unique-and-complex-ethical-challenges-of-testing-animal-organs-on-people-who-are-brain-dead 9월 말의 어느 토요일, 뉴욕대 랑곤 헬스 외과 의사들은 뇌사한 여성의 다리를 절개하고, 돼지 신장을 그녀의 혈관에 부착하여 유전자 변형 돼지를 인간의 장기 공급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향으로의 엄청난 진전을 의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의사들은 유전공학적으로 조작된 돼지에서 신장을 채취하고, 인간에게 초급성(hyper-acute) 거부반응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유전자를 제거했다. 가족들의 동의하에 뇌사한 여성은 의사들이 초급성 거부반응의 끔찍한 징후를 지켜보는 54시간 동안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었다. 반면, 신장은 정상적인 인간의 신장처럼 기능했다고 보고되었다. ...
장기 및 인체조직 2021.10.29 조회수 470
이미 시작된 배아 대상 다유전자성 선별검사(polygenic screening), 과연 윤리적인가?
※ 기사 [Polygenic screening of embryos is here, but is it ethical?]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1/oct/17/polygenic-screening-of-embryos-is-here-but-is-it-ethical 체외수정 배아의 유전자 검사는 착상 전 유전자 검사(PGD)라고 하는데, 이 자체는 그리 새로운 것은 아니다. 영국에서는 인간수정 및 배아관리청(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uthority, HFEA)이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 및 테이색스 병(Tay-Sachs disease)**을 포함한 약 500개의 질병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 변이를 찾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염소 수송을 담당하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신체의 여러 기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선천성 질병 **중추신경계가 붕괴되어 경련성 발작을 일으키고 시각이나 청각을 잃게 되는 병 착상 전 유전자 검사(PGD)로 선별된 질병은 대부분 단일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일어나는데, ...
과학기술발전 2021.10.22 조회수 703
독일의 COVID-19 감염병에 대한 윤리적 통찰: 유럽에서 회복력 있는 보건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기 ...
※ 기사 [Ethical insights from the COVID-19 pandemic in Germany: considerations for building resilient healthcare systems in Europe]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epe/article/PIIS2666-7762(21)00190-3/fulltext 팬데믹 발생 직후부터 의료인의 역할, 의무, 부담을 둘러싼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중요한 교훈은 윤리가 보건의료 시스템의 필수적인 고려사항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보건의료 시스템 안에서 주요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다음의 네 가지 사항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1. 희소한 자원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한다. 회복력 있는 보건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경험을 통해 예상할 수 있는 희소 자원 분배 문제와, 쉽게 예측할 수 없는 분배 문제 모두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COVID-19 동안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
의료윤리 2021.10.15 조회수 452
[CDC 권고] COVID-19로 인한 중증 질환, 사망 및 부정적인 임신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임산부 대...
※ 기사 [COVID-19 Vaccination for Pregnant People to Prevent Serious Illness, Death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from COVID-19] https://emergency.cdc.gov/han/2021/han00453.asp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이하 CDC)는 현재 임신 중이거나, 최근에 임신한 사람(수유 중인 사람 포함), 현재 임신을 계획 중인 사람, 또는 향후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COVID-19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CDC는 임신 전이나 임신 중에 COVID-19 백신을 접종하는 것에 대한 이익(benefits)이 알려져 있거나 혹은 잠재적인 위험(risks) 보다 높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2021년 9월 27일 기준으로 22,000명 이상의 입원 환자 및 161명의 사망자를 포함하여 125,000명 이상의 COVID-19 양성 판정 사례가 임산부에서 보고 되었다. 2021년 8월에...
보건의료 2021.10.07 조회수 422
거센 반발 속에 자폐증 유전학 프로젝트 중단
※ 기사 [High-profile autism genetics project paused amid backlash]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1-02602-7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자폐증)에 대한 영국의 대규모 유전학 연구가 자폐 커뮤니티(autism community)와 연구 목표에 대해 적절하게 협의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따라 잠정 중단되었다. 이 연구에 대한 또 다른 우려에는 자폐증을 '치료'하거나 근절하려는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데이터가 오용될 수 있다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Spectrum 10K’ 프로젝트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자폐증 연구 센터(Autism Research Centre, 이하 ARC) 이사인 Simon Baron-Cohen이 주도하는 연구이다. Wellcom(런던에 본부를 둔 생물의학 기금 자선 단체)이 후원하는 이 프로젝트는 300만 파운드(원화 약 49억원)에 달하는 프로젝트로 영국 내 최대 규모의 자폐증...
인간대상연구 2021.09.30 조회수 570
FTC, 건강 앱(health app)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한 가드레일(guardrail)로 10년된 규칙 부활
※ 기사 [FTC resurrects a decade-old rule as a guardrail on the health app explosion] https://www.theverge.com/2021/9/22/22688497/ftc-health-app-privacy-transparency-data ※ Health Breach Notification Rule https://www.ftc.gov/system/files/documents/public_statements/1596364/statement_of_the_commission_on_breaches_by_health_apps_and_other_connected_devices.pdf 지난주 미국 FTC(Federal Trade Commission, 연방거래위원회)는 정책성명을 통해 건강 앱(health app)은 사용자에게 데이터 유출에 대해 알려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막대한 벌금이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렇듯 기업에게 투명성(transparency)을 요구하는 규칙은 제정된 지 10년이 되었지만, 이전에는 잘 시행되지 않았다. FTC가 최근에 발표한 이 새로운 규칙은 건강 앱 분야에 뛰어들고 있는 많은 기업들에 대한 경고로 작용한...
개인정보보호 2021.09.24 조회수 356
쥐의 만능줄기세포에서 개발된 기능성 정자
※ 기사 [Functional sperm developed from mouse pluripotent stem cells] https://www.bionews.org.uk/page_159026 ※ 논문 원문 [Complete Meiosis from Embryonic Stem Cell-Derived Germ Cells In Vitro] https://www.cell.com/cell-stem-cell/fulltext/S1934-5909(16)00018-7?_returnURL=https%3A%2F%2Flinkinghub.elsevier.com%2Fretrieve%2Fpii%2FS1934590916000187%3Fshowall%3Dtrue 일본 연구자들이 쥐의 만능배아줄기세포에서 생식 가능한 자손으로 발달하는 기능성 정자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원시생식세포와 같은 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정자 형성 과정(spermatogenesis, 감수분열에 의하여 정자가 형성되는 과정)을 거쳐 생존 및 생식이 가능한 정자로의 뚜렷한 발달 단계를 재현하였다. 일본 교토에 있는 ASHBi (Institute for the Advanced Study of Human Biology) 연구소의 ...
과학기술발전 2021.09.17 조회수 364
영국, 냉동 난자 등 보존 기간 연장
※ 기사 [Storage Limits On Frozen Eggs And Sperm May Be Changing. Here's Why] https://www.huffingtonpost.co.uk/entry/egg-freezing-limit-could-be-extended-to-55-years-heres-why-it-matters_uk_6135d4d4e4b05f53edaa2d79 지금까지 영국에서는 여성이 자신의 난자를 냉동 보관하기로 결정했다고 해도 10년 동안만 보관할 수 있었지만, 이 기간이 곧 연장될 예정이다. 영국 정부가 제안한 계획에 따라서 난자, 정자 및 배아의 보존 기간이 최장 55년으로 연장될 전망인데, 이를 통해 자녀를 가질 계획이 있는 사람들의 권리가 폭넓게 보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행 제도에서는 난자 등을 10년까지만 냉동 보관할 수 있어 이 기간 안에 인공 수정 시술을 받지 못하면 폐기해야 했다. 유일하게 암 환자의 경우에만 냉동 난자를 최장 55년까지 보관할 수 있었다. 의사들은 보존 기간을 상황에 관계없이 모든 ...
보조생식 및 출산 2021.09.09 조회수 539
치매 환자를 돌보는 의사를 위한 새로운 윤리 기준
※ 기사 [New Ethics Standards For Docs Who Care for People With Dementia] https://www.forbes.com/sites/howardgleckman/2021/08/19/new-ethics-standards-for-docs-who-care-for-people-with-dementia/?sh=7140efd5418e ※ 지침 [Ethical Considerations in Dementia Diagnosis and Care] https://n.neurology.org/content/neurology/97/2/80.full.pdf 미국 신경과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윤리위원회는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을 돌보기 위한 지침을 업데이트 했다. 이 지침은 의사가 치매 환자를 치료하는 방식에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지침은 의사가 환자의 자율성과 가족 간병인의 핵심 역할을 인식해야 될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의사가 치료 방법을 논의할 때 독립성(independence)과 위험 요소(risk) 사이의 균형을 맞춰야 할 필요성을 요구한다. 36,000명의 신경과 의사와 신경과학...
의료윤리 2021.09.03 조회수 573
COVID-19 백신을 접종한 환자를 먼저 치료하는 것이 공정한가?
※ 기사 [Would It Be Fair to Treat Vaccinated Covid Patients First?] https://www.wired.com/story/would-it-be-fair-to-treat-vaccinated-covid-patients-first/#intcid=recommendations_right-rail-personalized-popularity-experiment_a6d79d14-01eb-4f16-9cad-6bbc0110fe45_popular-1hr-window-15-min-refresh 지난주 댈러스 모닝 뉴스(The Dallas Morning News)에 따르면, 일부 텍사스 병원(Texas hospitals)이 진료 방식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진행 중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COVID-19 환자의 백신 접종 상태를 고려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가? COVID-19 중증 환자로 가득 차고 병상과 간호사가 부족한 중환자실(ICU)에서, (다른 모든 조건은 동일할 때) 의사는 백신 접종을 한 환자를 먼저 치료해야 할까, 혹은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환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치료해야 할까? 전 세계...
보건의료 2021.08.27 조회수 363
COVID-19 관련 의료종사자에 대한 치명적인 정신건강 피해에 대한 추가 증거
※ 기사 [More Evidence of COVID's Crushing Mental-Health Toll on Healthcare Workers]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956585 ※ 관련 국내 기사 [장기유행 속 보건인력 코로나블루 심각…10명 중 3명 '우울위험군'(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10817073751530?input=1195m COVID-19 팬더믹은 의료종사자들, 특히 응급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심리적 타격을 입혔다는 사실이 새로운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모건 볼링(Morgan Bowling) 박사는 미국 응급의학회(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ACEP)의 COVID-19 관련 연구 포럼에서 "훈련 수준과 관계없이 의사(physicians)와 실무간호사(mid-level practitioners, 이하 MLPs)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하 PTSD) 및 하위 PTSD를 암시하는 증상을 보인다"고 보고했다. 볼링 박사는 Newark Beth Israel Medical...
보건의료 2021.08.20 조회수 393
미국, 12세 미만 어린이 대상 코로나19 백신 승인 패스트 트랙(fast-track) 촉구
※ 기사 [US urged to fast-track vaccine approval for children under 12 as cases rise]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1/aug/10/us-covid-vaccine-children-under-12-cases ※ 관련 보고서 [Children and COVID-19: State-Level Data Report] https://services.aap.org/en/pages/2019-novel-coronavirus-covid-19-infections/children-and-covid-19-state-level-data-report ※ 관련 기사 : 3-month-old on ventilator; New Orleans doctor says unvaccinated adults cause COVID spread among kids https://www.wdsu.com/article/new-orleans-louisiana-children-sick-covid-19-unvaccianted-adults-responsible/37259391 미국에서 델타 변종 확산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어린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문가들은 연방 정부에 12세 미만 어린이에 대한 백신을 패스트 트랙으로 처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미...
보건의료 2021.08.13 조회수 447
연구 참여 대상자에게 ‘부수적 발견(incidental findings, IF)’을 알리는 것에 대한 뜨거운 논란
※ 기사 [Controversy flares over informing research subjects about ‘incidental’ genetic findings] https://www.science.org/content/article/controversy-flares-over-informing-research-subjects-about-incidental-genetic-findings ※ 부수적 발견(Incidental Findings)의 정의 분류 체계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ovsea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24413&menuNo=200043&pageIndex=682 암이나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는 그러한 ‘부수적 발견(incidental findings, 이하 ‘IF’로 약함)’*에 대한 수십 년간의 논쟁은 많은 연구 참여자들이 처음에는 IF를 거부했지만 그들의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립보건원(NIH)의 생명윤리학자들이 발표한 후 다시 논쟁이 되고 있다.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발표된 ...
인간대상연구 2021.08.06 조회수 556
일부 사람들이 코로나19 백신접종을 주저하는 이유
※ 기사 [Why some people don't want a Covid-19 vaccine] https://www.bbc.com/future/article/20210720-the-complexities-of-vaccine-hesitancy ※ 국제통화기금(IMF)의 보고서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P/Issues/2021/05/06/Who-Doesnt-Want-to-be-Vaccinated-Determinants-of-Vaccine-Hesitancy-During-COVID-19-50244 IMF 보고서 (Who Doesn’t Want to be Vaccinated Determinants of Vaccine Hesitancy During COVID-19).pdf 의심의 여지없이, 코로나19 백신이 생명을 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백신접종을 주저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인구의 약 10-20%가, 일본은 50%가량이, 프랑스는 60%에 이르는 사람들이 백신 접종을 주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SNS상에서 설전(舌戰)을 일으키고 있으며, 많은 온라인 논평가들은 백신을...
기타 2021.07.30 조회수 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