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26 건
총 1,826 건
美 대법원 임신중지약 심리에서 중요 사항
#기사: US supreme court abortion pill hearing: key takeaways #참고1: How FDA’s regulations around mifepristone have changed #참고2: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v. ALLIANCE FOR HIPPOCRATIC MEDICINE #참고3: 18 USC 1461: Mailing obscene or crime-inciting matter #참고4: Conscience and Religious Nondiscrimination 미국 대법관들이 약물에 통한 임신중지 가능성을 재편하고 미국 식품의약품청(이하 FDA)의 권위를 훼손할 수 있는 이번 사건*에서 임신중지를 반대하는 의사 집단의 주장에 대해 회의적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텍사스 연방판사는 임신중지를 반대하는 의사 단체가 FDA를 상대로 제기한 미페프리스톤(임신중지약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품) 의 안전성에 대한 소송을 심리하는 동안 FDA가 이 약의 승인을 취소하는 가처분 명령을 내림. 미국 정부는 위 명령에 이의를...
낙태 2024.03.29 조회수 254
세계 출산율은 앞으로 수십 년 안에 급락할 것, 새로운 보고서 발표
#기사: Global fertility rates to plunge in decades ahead, new report says #참고1: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참고2: Dramatic declines in global fertility rates set to transform global population patterns by 2100 #참고3: World population likely to shrink after mid-century, forecasting major shifts in global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은 1950년 4.84명에서 2021년 2.23명으로 감소했으며, 2100년까지 1.59명로 계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는 평균 자녀 수를 의미 이번 연구의 책임 저자이자 워싱턴 대학의 건강측정 및 평가연구소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이하 IHME) 이사인 Christopher Murray 박사는 이러한 변화에는 여성의 교육 및 취업 기회 증가, 피임 및 생식 건강...
보조생식 및 출산 2024.03.22 조회수 1832
마크롱, 5월 프랑스 의회에 제출할 조력 사망 법령안 발표
#기사: Macron announces assisted dying bill to go before French parliament in May #참고: Sondage Ifop - Le regard des Français sur la fin de vie et sur la convention citoyenne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2017년 대선 공약 중 하나였던 임종 돌봄에 대한 법령 개정을 위해 무작위로 사람들을 선정하여 협의체를 구성했고 거기에서 나온 권고에 따라 조력 사망(assisted dying)에 관한 법령안이 올해 5월 프랑스 의회에 제출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주말 리버레이션(Libération)과 가톨릭 신문 라 크루아(La Croix)와의 인터뷰에서 이 법안은 “새로운 권리나 자유를 창출하려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요건하에 죽음에 대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랑스 완화의료 및 치료 협회 회장인 Claire Fourcade 박사는 마크...
연명의료 및 죽음 2024.03.14 조회수 297
최초로 양수에서 생성된 태아 세포 오가노이드에 대한 새로운 연구 보고
#기사: In a first, fetal cell organoids generated from amniotic fluid, new study reports #참고: Single-cell guided prenatal derivation of primary fetal epithelial organoids from human amniotic and tracheal fluids 태아가 성장함에 따라 태아의 몸은 양수, 즉 산모가 생산한 영양분, 호르몬, 항체가 들어 있는 따뜻하고 염분이 있는 물로 채워집니다. 그리고 그 체액 속에서 태아는 끊임없이 세포를 벗겨내거나 배출하는데, 이 세포에는 유전 물질이 담겨있습니다. 의사는 양수에서 이것을 추출하여 질병 징후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임신 기간 중 태아의 문제나 염색체 이상을 알아보기 위해 산모의 양수를 채취하는 검사를 양수 검사라고 한다. 양수에는 태아의 조직과 DNA가 포함되어 있어 양수를 채취하여 유전적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
과학기술발전 2024.03.08 조회수 435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아이들을 소중히 여겼던 선사시대
#기사: Burials Reveal Prehistoric Cultures Value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참고: Cases of trisomy 21 and trisomy 18 among historic and prehistoric individuals discovered from ancient DNA 우리 모두는 선사시대 인간이 동물이 하는 것처럼 장애가 있는 아이를 버렸다는 말을 전문가로부터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이런 생각이 잘못되었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연구자들은 다운증후군같이 유전적으로 추적가능한 증후군의 증거를 찾기 위해 10,000명의 고대 인간 DNA를 검사했습니다. 네이처(Nature)에 실린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연구 결과 21번 상염색체 이상(다운증후군) 6건과 18번 상염색체 이상(에드워즈 증후군) 1건에 대한 명확한 유전적 증거를 찾았습니다. 이 모든 사례는 유아 또는 분만 전후 아기 매장지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명 그 당...
생명윤리 2024.02.29 조회수 443
美 앨라배마 냉동 배아 판결 후, 난임 치료에 미칠 영향
#기사: Warnings of the impact of fertility treatments in Alabama rush in after frozen embryo ruling #참고: SUPREME COURT OF ALABAMA OCTOBER TERM, SC-2022-0515; SC-2022-0579 앨라배마 대법원은 냉동 배아가 앨라배마주(州)법에 따라 아이(children)로 간주 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비평가들은 이 결정이 주(州)에서 이루어지는 난임 치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판결은 난임 클리닉에서 사고로 냉동 배아를 잃은 세 쌍의 부부가 제기한 사건에서* 내려졌습니다. 판사는 앨라배마주 헌법의 낙태 금지 문구를 인용하면서, 1872년에 제정된 「부모가 미성년 자녀의 사망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허용」한 주법은 "모든 태어나지 않은 아이들(Unborn children)에게 적용된다, 그 아이들이 어디에 있든지"라고 판결했습니다. *사건의 배경: 세 쌍의 부부는 시험관 아기 시술을 위하여 ...
보조생식 및 출산 2024.02.23 조회수 473
美, 올해 더 많은 주에서 의사 조력 자살(medically assisted death)을 허용하는 법안 제정을 고려
#기사: More states are considering bills allowing medically assisted death this year #참고1: DEATH WITH DIGNITY #참고2: Aggregating 23 years of data on medical aid in dying in the United States 올해 19개 주 의회에서 의사들이 말기 환자에게 생명을 끊는 약을 처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제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입법 배경: 의료계의 지속적인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의사 조력 자살 관련 정책 논의는 개인적인 일화, 이를 허용한 주의 경험, 그리고 일부는 팬데믹을 겪으면서 태도가 변화함에 따라 새롭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의사 조력 자살 입법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 시술이 죽음에 존엄성을 더한다고 말하지만, 이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것이 환자를 살리는 것을 책임으로 하는 의사의 본분과 상충하며 더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게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연명의료 및 죽음 2024.02.16 조회수 812
프랑스, 낙태권 합헌화 추진
#기사: France on-track to constitutionalize abortion rights #참고1: 낙태 허용 요건과 프랑스, 독일, 일본 입법례 #참고2: 프랑스에서 기본권의 헌법적 보장 프랑스 국회가 낙태권을 헌법에 명시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역사적인 법안*을 통과시켰다. * 마크롱(Emmanuel Macron) 정부는 헌법 제34조에 "여성이 낙태에 대한 자유(freedom)**를 행사할 수 있는 조건을 법이 결정하며, 이는 보장된다" 라는 내용을 명시하는 개헌안 초안을 2024년 월 16일(현지시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제출 **지난 2022년 11월 마크롱 대통령은 낙태할 ‘권리’를 헌법에 명시한 개정안을 마련하였으나, 보수적인 상원 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낙태할 권리’와 ‘낙태할 자유’사이에서 정부가 마련한 절충안 화요일 프랑스 의회 하원 표결에서 493명의 의원이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고 30명이 반대...
낙태 2024.02.08 조회수 476
인간 피험자에게 뇌 칩(brain chip)을 이식하다
#기사: Musk’s Neuralink implants brain chip in its first human subject #참고1: UN: Brain chips must respect human rights #참고2: Ethics of neurotechnology 뇌 칩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첫 번째 살아있는 인간 피험자에게 뇌 칩(brain chip)장치를 이식했다고 회사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소셜 미디어에서 밝혔습니다. 뇌에서 움직임을 계획하는 부분에 이식되는 이 장치는 사람의 신경 활동을 해석하도록 설계되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를 생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뉴럴링크는 말합니다. 이 장치는 현재 임상 시험 중이며, 특정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일명 루게릭병) 또는 척수 손상으로 인해 사지 마비 증상을 겪고 있는 일부 개인들을 대상으로 모집 중인 것으로 모집 안내서에 나와 있습니다. 머스크는 처음에는 팔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잃은 사...
과학기술발전 2024.02.02 조회수 1149
편견, 불평등, 프라이버시 침해 해결 - AI 윤리 및 거버넌스에 대한 새로운 WHO 지침 발표
#기사: https://healthpolicy-watch.news/tackling-bias-inequality-lack-of-privacy-new-who-guidelines-on-ai-ethics-and-governance-are-released/ #참고1: WHO releases AI ethics and governance guidance for large multi-modal models #참고2: Ethics and govern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ealth: Guidance on large multi-modal models #참고3: Ethics and govern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health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는 의료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생성형 AI의 일종인 대규모 멀티모달 모델(Large Multimodal Models, 이하 LMM)*에서 인공지능(AI)의 윤리 및 거버넌스에 대한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LMM이란? LMM은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다른 형태의 데이터도 학습하고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임. 거대언어모델(L...
과학기술발전 2024.01.26 조회수 650
제대혈 저장(Cord blood banking),은 제대혈을 제공한 아기들이 그로 인해 어떤 대가를 치르는지 ...
#기사: Cord blood banking sounds like a great idea — until you realize what it costs babies #참고1: Boy Is Saved by Umbilical Blood of Sister #참고2: Waiting to Clamp Umbilical Cord May Save Preemies' Lives 아기 혈액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는 놀라운 치유력과 재생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다른 많은 유형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으며 빈혈부터 암에 이르는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미래 일어날 수 있는 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제대혈을 저장해 두는 것보다 태어나는 즉시 제대혈을 사용하는 것이 아이에게 더 많은 이점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제대혈에 대한 관심은 1988년 희귀유전병을 앓고 있던 5세 소년이 갓 태어난 여동생의 제대혈을 이용하여 치료받은 후 완치된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45억 달러를 초과할 것...
생명윤리 2024.01.19 조회수 1529
태아 조직에서 성장한 최초의 뇌 오가노이드
#기사: First brain organoids grown from fetal tissue offer window on development #참고1: Human fetal brain self-organizes into long-term expanding organoids #참고2: Organoids: a systematic review of ethical issues 태어날 때 인간 아기의 뇌에는 가장 많은 뉴런*이 들어 있습니다. 이 복잡한 뇌가 자궁에서 어떻게 발달하는지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인간 태아의 뇌 조직에서 오가노이드(organoids)**라고 불리는 작은 뇌 모양의 구조를 성장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뇌의 실제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발달 장애나 뇌종양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되었다는 전망입다. *뉴런(neuron)이란? 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구조적, 기능적인 기본 단위이다. 전기적, 화학적 신호가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를 통해 전달되고 이러한 연결의 집합적인 활동을 통해 감각, 운동, 사고 등의 복잡한...
과학기술발전 2024.01.12 조회수 1178
62세 호주여성, 사망한 남편의 정자 추출에 대한 법원의 허가를 받다
#기사: WA woman, 62, granted court permission to have dead husband's sperm extracted #참고: Perth woman wins right to take dead partner's frozen sperm to ACT in bid to have his child 61세의 이 사건 남성은 2023년 12월 17일 아침 서호주에 있는 부부의 집에서 갑자기 사망했고, 아내는 바로 다음 날 저녁 "긴급" 심리에서 대법원에 사망한 남편의 정자를 채취하여 아기를 임신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습니다. 판사는 이 여성에게 퍼스 시체 안치소에 안치되어 있는 사망한 남편의 정자 조직을 적출할 수 있도록 허가하였습니다. 해당 법원은 이 판결에서 2013년 낚시 여행에서 29세 딸이 익사하고 2019년 30세 아들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후 이 부부가 수년 동안 아이를 갖고자 노력해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62세의 아내는 난임 전문가로부터 아이를 갖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다는 소견을 받았지...
보조생식 및 출산 2024.01.05 조회수 588
美 2024년 낙태약 판결의 운명은
#기사: The fight for abortion rights: what to know going into 2024 #참고1: 생명윤리 언론동향 브리프 No.10 #참고2: US abortion pill access in doubt after Texas judge suspends approval #참고3: US appeals court upholds restrictions on abortion pill access #참고4: Abortion is back at the supreme court: what is the mifepristone case about? 미국 연방대법원이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은 지 1년이 넘었지만*, 이 획기적인 판결의 붕괴로 인한 여파는 아직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은 내년에 대통령 선거와 또 다른 주요 대법원 판결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2024년도 다사다난한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낙태를 둘러싼 논쟁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과 2024년에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로 대 웨이드((Roe v. Wade, 1973년) 판결로 인하여 미국에서 ‘...
낙태 2023.12.29 조회수 735
원치 않는 잔여 냉동 배아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계속되는 논쟁
#기사: What to do with unwanted frozen embryos: The debate continues #참고1: Options for What to Do With Extra Frozen Embryos After IVF #참고2: Nation's fertility clinics struggle with a growing number of abandoned embryos #참고3: UK scientists can’t wait to get their hands on thousands of frozen human embryos #참고4: Overview of HFEA public consultation on law reform 2023 미국 전역에 실험실에는 수백만 개의 냉동 배아가 보관되어 있고, 그중 상당수는 25년 이상 보관되고 있습니다. 수년 전 배아를 생성한 오직 3% 미만의 사람들만이 배아를 폐기할 때, 이 배아를 과학 연구에 사용하는 것에 동의했습니다. 현재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예비 부모의 동의에도 불구하고 버려진 냉동 배아를 연구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배아가 언제 "버려진" 것으로 간주 되...
장기 및 인체조직 2023.12.22 조회수 1288
2024년 의학계를 변화시킬 11가지 임상 연구
#기사: 11 clinical trials that will shape medicine in 2024 #참고1: A Phase III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valuating the Malaria Vaccine Candidate R21/Matrix-M™ in African Children #참고2: 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유전 질환이다 #참고3: 주사 한 방으로 ‘유전자 편집’…평생 콜레스테롤 고민 끝낸다 Nature Medicine은 11명의 각 분야 주요 연구자들에게 유전자가위 및 HIV백신에서부터 폐암 및 응급 환자 분류를 위한 인공 지능 도구에 이르기까지 2024년 의학계를 변화시킬 임상 연구를 뽑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1.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편집 버브 테라퓨틱스의 유전체 의학 담당 부사장이자 브리검 여성병원의 심장 전문의인 아밋 케라(Amit Khera)는 ‘고(高) 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편집’을 꼽았습니다. 300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이형접합 가족성 ...
과학기술발전 2023.12.14 조회수 1672
혈액 질환 치료를 위한 크리스퍼 기반 유전자 치료법 최초 승인
#기사: First Approval Of A CRISPR-Based Gene Therapy #참고1 : UK IS FIRST NATION TO APPROVE CRISPR THERAPY FOR DISEASES #참고2: UK medicines regulator approves gene therapy for two blood disorders #참고3: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유전자 가위 설계기술 개발 #참고4: Prediction of efficiencies for diverse prime editing systems in multiple cell types #참고5: FDA considers first CRISPR gene editing treatment that may cure sickle cell 영국 의약품 및 건강 관리 제품 규제 기관(MHRA)은 세계 최초로 유전자가위를 기반으로 한겸상 적혈구 질환 및 수혈 의존성 β지중해 빈혈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안전성, 품질 및 효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12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했습니다. 이 치료법의 이름은 캐스게비(Casgevy)입니다. *캐스게비(Casgevy) 치료법이란? (UK IS FIRST NATION TO ...
보건의료 2023.12.08 조회수 997
새로운 크리스퍼 시스템(CRISPR systems)의 '보물 창고(Treasure trove)', 게놈 편집의 가능성을 ...
#기사: ‘Treasure trove’ of new CRISPR systems holds promise for genome editing #참고1: Uncovering the functional diversity of rare CRISPR-Cas systems with deep terascale clustering #참고2: Algorithm identifies 188 new CRISPR gene-editing systems #참고3: KoNIBP 생명윤리 언론동향 브리프 No.8 - ‘크리스퍼 유전자 치료법, 기술의 위험성과 한계 우선 고려해야’ □ 기사 본문 CRISPR-Cas9은 주로 DNA 편집 도구로 알려져 있지만, 그 본래 기능은 특정 미생물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데 도움을 주는 면역 체계 일부입니다. 최근 연구자들은 새로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백만 개의 유전체를 조사하고 새로운 희귀 유형의 CRISPR 시스템*을 찾아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최종적으로 유전체 편집 도구로 개조될 수 있습니다. * CRISPR 시스템이란? 단세포 박테리아와 고세균은 CRI...
과학기술발전 2023.12.01 조회수 1483
광범위한 '아시아계 미국인' 분류가 초래한 건강 격차
#기사: Invisible in the data: Broad ‘Asian American’ category obscures health disparities #참고자료1: Asian American doctors, overrepresented in medicine, are largely left out of leadership #참고자료2: How the first Native Hawaiian psychiatrist set a course for diversifying medicine #참고자료3: Black, Hispanic, and Asian Americans should be screened at lower BMI for diabetes, study says #참고자료4: ‘Falling through the cracks’: Why ADHD is under-diagnosed among Asian Americans □ 아시아계에 대한 과소 건강 집계 현황 아시아계 미국인은 지구 표면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50개 국가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100여 가지의 다른 언어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배경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미국 의료 연구와 공중보건에서...
보건의료 2023.11.24 조회수 528
원숭이 2마리의 세포가 섞인 ‘키메라 원숭이’의 탄생
#기사: Scientists create chimeric monkey with two sets of DNA 참고자료1: Live birth of chimeric monkey with high contribution from embryonic stem cells 참고자료2: Scientists made a mouse embryo that’s 4% human – the highest level of human cells in an animal yet 참고자료3: Scientists take ‘pioneering steps’ toward growing human kidneys in pigs참고자료4: Interspecies Chimerism with Mammalian Pluripotent Stem Cells 참고자료5: Nonhuman Primate Models in Biomedical Research: State of the Science and Future Needs 중국 연구팀이 원숭이 두 마리의 세포가 섞인 원숭이 키메라*를 탄생시켰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의학 연구와 멸종 위기에 처한 종 보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 공동 저자인 미겔 에스테반(Miguel Esteban) 박사는 원숭...
과학기술발전 2023.11.17 조회수 1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