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26 건
총 1,826 건
외래 원격 진료(비대면 진료)의 항생제 처방 및 관리
#기사: Antibiotic prescribing and stewardship in outpatient telemedicine 새로운 연구 보고*에 따르면 외래 원격 진료* 환경에서 항생제 사용은 최소 28%가 불필요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초과 비용을 발생시키고, 약물 부작용과 항생제 내성의 원인이 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이하 CDC)는 항생제 관리 체계를 개발하여 항생제가 분명한 이점을 제공할 때에만 처방하도록 하는 등 항생제 사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CDC의 연구진은 외래 원격 진료에서 항생제 사용 및 항생제 관리에 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연구진은 “항생제가 대면 외래 환자 진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온 환경에서 항생제 관리 체계를 적용한 결과, 외래 환자의 원격 진료에서 항생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 Antibiotic Stewardship in Outpa...
보건의료 2023.11.10 조회수 648
美 20년 만에 처음으로 영아 사망률 증가
#기사: Infant mortality rate increases 3% in 2022, rising for 1st time in 2 decades: CDC 참고자료1: Infant mortality rates 참고자료2: Infant mortality statistics from the 2002 period: linked birth/infant death data set 참고자료3: Supreme Court overturns Roe v. Wade in landmark case on abortion rights 참고자료4: Maternal care deserts overlap with lack of abortion access, analysis shows 참고자료5: Doctors face tough decision to leave states with abortion bans 새로운 연방정부가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이하 CDC)의 국립생명통계센터(National Center for Vital Statistics)에서 수집한 출생 및 영유아 사망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는 20년 만에 처음으로 영유아 사망률*이 증가했습니다. ∎영유아 사망률은 ...
보조생식 및 출산 2023.11.03 조회수 1012
'14일 인간 배아 연구 규칙'의 기간 연장
#기사: Public Backs Extension of 14-Day Human Embryo Research Rule #참고1: Should scientists be allowed to grow human embryos in a dish beyond 14 days? Is it scientifically important or morally wrong? #참고2: UK Scientists Advocate for 28-day Embryo Research Limit, Signal Advances in Infertility and Birth Defect Treatments #참고3: Public backs controversial UK scientists’ proposal to extend 14-day limit on human embryo testing 2023년 10월 25일 수요일, 영국에서 HDBI(Human Developmental Biology Initiative)의 일환으로 열린 ‘인간 배아 연구에 관한 공개 토론’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토론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가했으며 ‘14일 인간 배아 연구 규칙(이하 14일 규칙)* 검토’와 ‘규칙의 타당성 검증’, ‘출산 및 건강 증진에 대한 지...
과학기술발전 2023.10.27 조회수 1589
코로나 장기 후유증, 세로토닌 고갈시켜...‘브레인 포그’의 잠재적 원인
#기사: Serotonin levels are depleted in long Covid patients, study says, pointing to a potential cause for ‘brain fog’ #참고1: Serotonin reduction in post-acute sequelae of viral infection #참고2: Researchers offer hypothesis for long COVID brain fog #참고3: Mystery solved: New study offers hope for long Covid patients suffering from brain fog or memory loss #참고4: Long COVID, ‘Long Cold’: What to Know About Post-Acute Infection Syndromes #참고5: What Do We Know About Long COVID? (미국국립보건원 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등장한 이후 코로나19의 미스터리를 추적해왔다면, 인터페론*과 세로토닌*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맞서 싸운 ‘전투원’의 단서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
보건의료 2023.10.20 조회수 4251
유전자 편집 돼지 신장 이식 후 2년간 생존한 원숭이
#기사1: Monkey survives for two years after gene-edited pig-kidney transplant #기사2: Monkey survives for two years with pig kidney in ‘extraordinary milestone’ #참고1: Design and testing of a humanized porcine donor for xenotransplantation #참고2: Will pigs solve the organ crisis? The future of animal-to-human transplants #참고3: Clinical trials for pig-to-human organ transplants inch closer #참고4: 유전자 변형 돼지 심장을 두 번째로 사람에 이식 #참고5: Quest to use CRISPR against disease gains ground 유전자 변형 소형 돼지로부터 신장을 이식받은 원숭이는 2년 이상 생존하였는데, 이는 종간 장기이식 사례 중에서 가장 길게 생존한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 연구는 ‘이종이식’을 이용하여, 인간 장기 부족 사태를 완화하려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갈 ...
과학기술발전 2023.10.13 조회수 750
mRNA COVID 백신 개발자들, 202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기사1. Scientists behind mRNA COVID Vaccines Win 2023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기사2. mRNA COVID vaccines saved lives and won a Nobel — what's next for the technology? #참고1. An mRNA Pioneer Discusses How Her Work Led to the COVID Vaccines #참고2. Messenger RNA Therapies Are Finally Fulfilling Their Promise #참고3. the 2023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참고4. Suppression of RNA recognition by Toll-like receptors: the impact of nucleoside modification and the evolutionary origin of RNA #참고5. Modified uridines are the key to a successful message 2023년 올해의 노벨 생리의학상은 팬데믹의 잠재우고 수백만 명을 구한 혁신적인 의료 기술인 COVID에 대한 mRNA 백신 개발자들에게 수여됩니다. Katalin Karikó와 Drew Weissman은 백...
과학기술발전 2023.10.05 조회수 3342
유전자 변형 돼지 심장을 두 번째로 사람에 이식
#기사1. Genetically altered pig heart transplanted into a human for the second time #참고1. After a flurry of firsts, xenotransplantation is suddenly back in the spotlight #참고2. Lessons Learned from First Genetically-Modified Pig Heart into Human Patient #참고3. Three ethical issues around pig heart transplants #참고4. '유전자 조작 돼지심장' 이식 성공했다..美연구팀 "58세 환자 회복 중" #참고5. KoNIBP 생명윤리 언론동향 브리프 No.8 #참고6. 돼지 심장 이식을 둘러싼 세 가지 윤리적 문제 메릴랜드 대학 메디컬 센터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이하 UMMC)의 의료팀은 이종 이식에 대한 새로운 테스트에서 역사상 두 번째로 유전자 조작 돼지의 심장을 인간에게 이식했다고 발표했다. 외과 의사들은 수요일에 합병증 없이 8시간 동안 수술을 수행했다. 금요일 오후 ...
과학기술발전 2023.09.27 조회수 762
FDA 고문들, 인간 아기를 위한 ‘인공 자궁’의 미래에 대해 논의한다
#기사1. FDA advisers discuss future of ‘artificial womb’ for human infants #기사2. Human trials of artificial wombs could start soon. Here’s what you need to know #참고1. Preterm birth (세계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참고2. Preterm Birth (미국질병통제예방청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 #참고3. An extra-uterine system to physiologically support the extreme premature lamb #참고4. Animal Model, ECMO Technology Used to Help Develop Innovative Artificial Placenta #참고5. Artificial placenta and womb technology: Past, current, andfuture challenges towards clinical translation #참고6. Artificial womb EVE Therapy #참고7. Achieving sustained extrauterine life: Challenges of an artificial placenta in fetal pigs as a ...
보조생식 및 출산 2023.09.22 조회수 2825
키메라 돼지 배아에서 인간화 신장 배양
#기사1. Humanized Kidney Development Described In Chimeric Pig Embryos #참고1. Generation of a humanized mesonephros in pig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ia embryo complementation #참고2. Human–animal chimeras: ethical issues about farming chimeric animals bearing human organs #참고3. Growing a Kidney Inside a Pig Using your own DNA: The Ethics of ‘Chimera Organs’ 중국과학원(China Academy of Sciences)이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화된(humanized)" 신장 형성 전 단계(pre kidney)를 포함하는 돼지 배아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Generation of a humanized mesonephros in pig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via embryo complementation」 그것은 키메라* 배아 접근법으로 전환하여 인간 유도 만능 줄기 세포 (iPSCs)*를 신장...
과학기술발전 2023.09.15 조회수 1126
인도 Kumbh Mela의 항생제 남용에 대한 우려
#기사1. Kumbh Mela: Worry at antibiotics overuse at India's Kumbh Mela #참고1. India facing a pandemic of antibiotics-resistant superbugs #참고2. 'White fungus': Drug-resistant fungal infections pose threat to India patients #참고3. Millions are dying from drug-resistant infections, global report says #참고4. India facing a pandemic of antibiotics-resistant superbugs #참고5. Global burden of bacterial antimicrobial resistance in 2019: a systematic analysis □ 저항성 슈퍼버그*의 대유행에 직면한 인도 하버드 대학교와 유니세프의 패밀리 남아시아 연구소(Family South Asia Institute)와 락시미 미탈(Lakshmi Mittal)의 지원을 받는 미국에 기반을 둔 연구자들은 힌두교 축제이자 세계 최대 종교 모임인 인도의 쿰브 멜라(Kumbh Mela)에 설치된 진료소에서 호흡기 감염 ...
보건의료 2023.09.08 조회수 647
올 가을 새로운 코로나 변이 등장 예고,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기사1. As COVID XBB cases decrease, new subvariants may emerge this fall. Here’s what to know #기사2. Who Should Get a COVID Booster This Fall? #기사3. Can COVID, Flu, and RSV Shots Be Given at the Same Time? #참고1. "감염력 커질 수 있다"…새 코로나 변이 '피롤라' 주목 □ 올 가을 새로운 코로나 변이 등장 예고,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가을이 곧 다가오고 대부분의 학교가 개학함에 따라 더 많은 사람들이 실내에 모이면서 코로나19가 다시 창궐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여름 XBB 및 XBB.1.5 변종이 급증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변이로 인한 감염이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새로운 변종이 출현할 여지가 있다고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의 감염 예방 의료 책임자인 Julie Trivedi 박사는 말했습니다. 새로운 변종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새로운 변종은...
보건의료 2023.09.01 조회수 807
항소심 법원의 낙태약 합법성 유지 판결, 그러나 중대한 제한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1.Appeals Court Upholds Legality of Abortion Pill but With Significant Restrictions 기사 2.Appeals court rules abortion pill can remain on market with restrictions 지난 수요일 제5 연방 항소법원은 미국 내에서 낙태약인 미페프리스톤 판매는 합법적이지만, 임신 후반기에 해당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우편으로 이를 발송하거나 원격 진료를 통해 환자에게 처방하는 것은 금지하도록 판시하였다. 이번 판결로 23년 전 미페프리스톤을 승인한 FDA의 결정은 유지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미페프리스톤의 제네릭 의약품들도* FDA 승인을 유지하게 되었다. *제네릭 의약품(generic drug): 신약 또는 국내에서 최초로 허가받은 원개발사 의약품과 주성분, 함량, 제형, 효능, 효과, 용법과 용량이 동일한 의약품으로서, 신약 또는 원...
낙태 2023.08.25 조회수 542
미국 내 의약품 부족 심각
※기사1. 1 in 3 U.S. hospitals severely affected by drug shortages, survey finds ※기사2. AAM White Paper Breaks Down Drug Shortage Crisis: Causes and Solutions ※기사3. SENIOR NEWS LINE: Learn how to get through drug shortages ※기사4. Public pharma is the best solution to the ongoing problem of drug shortages □ 미국 내 의약품 부족 현황 미국 내 약물부족 현황을 추적하는 단체인, 미국 의료 시스템 약사 협회가 발표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병원 약 3곳 중 1곳이 약물의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처방을 생략 또는 지연하거나, 환자에게 필요한 것보다 적게 처방했다고 말했습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거의 모든 병원은 환자 치료가 어떤 식으로든 의약품 부족으로 인한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습니다. 위 병원들의 약 3분의 2가 현재 약물 부족 상태를 "중간"에 해당한다고 분류했는데, 이는 약물 부...
보건의료 2023.08.18 조회수 627
의사가 HIPAA와 데이터 보안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것
※기사 1. What Doctors Wish You Knew About HIPAA and Data Security ※기사 2. Vendor Data Breach Impacts 1.7M Oregon Health Plan Members 체서피크 지역 정보 시스템의 법률고문 겸 최고 개인정보책임자이자 미국 여러지역에서 비영리 건강 정보 교환을 하는 니콜 스위니가 말한다. “대중은 소비자가 생성한 데이터가 보호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지 못할 수도 있다. 우리가 각자 자신의 정보로 하는 것들은 안전하지 않다. 연방정부는 건강 데이터 그 자체를 규제하지 않는다.” 새로운 웨어러블 측정기들? 본인 스스로 자신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HIPAA의 보장을 받을 수 없다. 온 가족을 보호하십시오 (전 국토안보부 고문이자 의사인) 크리스 피어슨은 "누군가 단 한 가지 정보만 얻을 수 있게 되면 그것으로 다른 개인정보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깨닫지 못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개인정보보호 2023.08.11 조회수 633
헨리에타 랙스(Henrietta Lacks) 합의, 의학계 인종차별 역사를 바로 세우는 데 진일보 평가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1. Henrietta Lacks settlement hailed by experts as step toward correcting medicine’s racist history ※기사 2. Henrietta Lacks's family settles lawsuit with biotech company that used her cells without consent ※기사 3. Immortal cells: Henrietta Lacks’ family settle lawsuit over HeLa tissue harvested in 1950s 헨리에타 랙스(Henrietta Lacks)의 103번째 생일날 그녀의 후손들은 그녀에게 작은 선물을 선사했다. 랙스의 후손들은 2021년 70년 전 랙스의 동의 없이 채취한 세포를 계속 판매해서 이익을 얻은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을 상대로 소를 제기했고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지난 화요일 발표했다. □ 헨리에타 랙스(Henrietta Lacks) 소송 개요 랙스(Henrietta Lacks)의 후손들은 2021년 써모 피셔 사이언티...
인체유래물 2023.08.04 조회수 725
마음을 읽는 기계가 출시될 예정이다 — 이를 어떻게 통제할 수 있을까요?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1. Mind-reading machines are coming — how can we keep them in check? ※기사 2. Chile: Pioneering the protection of neurorights 과학적 진보는 마음 읽기와 같은 공상 과학 개념을 빠르게 현실로 만들고 있다. 이에 윤리학자들은 기존에 인권 법령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뇌 판독 기술을 어떻게 규제할지 고민하고 있다. 지난 7월 13일 파리에서 신경과학자들, 윤리학자들, 각국 장관들이 UNESCO가 주최한 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Ethics of Neurotechnology)에서 이 주제에 대해 논의했다. 그들은 뇌와 직접 상호작용하여 그 활동을 모니터링하거나 변경시키는 "신경 기술(뇌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기술과 장치들)“에 대한 규제 관련 다음 단계를 논의했다. 이러한 기술은 전기적 기술이나 이미징 기술을 주로 사용하...
과학기술발전 2023.07.29 조회수 544
뇌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이 어떻게 삶의 끝을 정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1. What does ‘brain dead’ really mean? The battle over how science defines the end of life ※기사 2. 'Brain Death' at a crossroads 13세에 의식이 없고 자발적 호흡이 불가능하지만 첫 월경을 시작한 소녀가 있다. 그녀는 캘리포니아에서는 사망자로 간주되지만, 뉴저지에서는 살아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이것은 각 주의 사망시점이 불일치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이에 미국의 통일법위원회(ULC)*는 뇌사에 대한 의료 표준을 개정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임상의(臨床醫)들은 중환자실과 필수 장기 수급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통일법위원회(ULC): 1892년에 설립된 통일법위원회(ULC, 통일 주법에 관한 전국 위원 회의라고도 함)는 주 법의 중요한 영역에 명확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초당파적이고 잘 구상되고 잘 작성된 법률을 ...
연명의료 및 죽음 2023.07.21 조회수 2600
DNA에 이미지를 저장하는 '생물학적 카메라(Biological Camera)' 생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Scientists Create 'Biological Camera' That Stores Images in DNA ※ 기사 2. Researchers Have Created a Biological Camera That Stores Images onto DNA DNA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이라는 4개의 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유기체에 대한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분자다. DNA는 생물에 대한 포괄적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단순한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성이 새로운 컴퓨팅 시스템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잠재적 하드웨어 형태로서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의 합성생물학자인 Cheng Kai Lim이 이끄는 연구자들은 모든 생명체의 유전자 코드인 DNA에 이미지를 캡처하고 저장하는 "살아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만들었다. 연구진은 DNA가 이미지를 찍고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시퀀싱...
과학기술발전 2023.07.14 조회수 394
미국 텍사스 주 낙태법 시행 이후 출생율 증가, 그러나 여전한 의문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Study Finds Rise in Texas Births After Abortion Law. But Questions Remain. ※ 기사2. Under strict abortion law, Texas had nearly 10,000 more births than expected in last nine months of 2022, research suggests 최근 발표된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텍사스에서 임신 6주 이후 낙태를 예외 없이 금지하는 법률(Texas‘ Senate Bill 8, 2021)*이 제정 시행된 이후 출생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Texas‘ Senate Bill 8, 2021 https://capitol.texas.gov/tlodocs/87R/billtext/pdf/SB00008F.pdf 연구진은 새로운 법안 시행 이전 다른 주와 텍사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법률이 시행되지 않았다면, 텍사스의 가상 출생 추위와 실제 보고된 출생 수를 비교할 때 약 10,000명 정도 출생자 수 차이가 생기는 것으...
낙태 2023.07.07 조회수 426
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인공지능(Safety-first AI)이 의료 분야로 진출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Safety-first AI comes to health care ※ 기사2. A.I. May Someday Work Medical Miracles. For Now, It Helps Do Paperwork. ※ 기사3. Biotech begins human trials of drug desig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인공지능(Safety-first AI)이 의료 분야로 진출 기업들이 인공지능(AI)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빠르게 내놓는 가운데, 일부 비영리 단체와 안전에 초점을 둔 기업들은 의료와 같은 고위험 사용 사례에서 AI 사용에 더욱 유의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결함이 있는 AI는 의료 환경에서 환자의 생사와 관련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 제공자들이 AI 기술을 안전하게 구축, 구매,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AI 기반 생성 서비스의 폭발적인 증가로 올해 5월 세계보건기구(WHO)는 환자와 소비자에게 AI 기반 서비...
과학기술발전 2023.06.30 조회수 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