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7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박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4512466 |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http://www.riss.kr/link?id=T14512466
저자 : 박주호
형태사항 : vii, 182 p. ; 26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인규참고문헌: p. 108-114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2017. 2
발행국 : 전라북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7
주제어 : 이상심리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들이 겪는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자살관념을 감소시키고 자살을 예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대상자들에게 실험한 후 그 효과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4월부터 2016년 11월까지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후 효과검증까지 총 8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내용은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전체 및 회기별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생명윤리위원회(IRB)에 심의 및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타당성 검증 실시 후 1차 보완 및 수정을 하였다. 사전검사 실시 후 자살고위험군 분류 및 연구대상자 15명을 선정하여 예비처치군을 대상으로 예비프로그램 5회기 실시 후 2차 보완 및 수정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단계에서는 실험처치군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5회기 진행하고 실험처치군과 무처치통제군에 대한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최면상담 사례기술 및 프로그램 실행평가의 설문응답 결과를 통한 1차 효과성 검증 및 결과 도출과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여 비교 분석한 후 2차 효과성 검증 및 결과를 도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통계분석을 이용하였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군의 각 변인들에 대한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우울(CES-D)척도는 평균 25.80점 감소하였고 한국형 성격평가질문지(PAI)의 불안(ANX)척도는 평균 24.20점 감소, 불안관련 장애(ARD-T, 외상 후 스트레스)척도는 평균 31.00점 감소, 우울(DEP)척도는 평균 27.80점 감소, 자살관념(SUI)척도는 평균 27.60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처치통제군에 대한 각 변인들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처치군을 대상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을 종료한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그로부터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처치군의 우울척도(CES-D), 불안(ANX), 불안관련 장애(ARD-T,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DEP), 자살관념(SUI)의 변인들에서 모두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자살 6
가. 자살의 정의 6
나. 자살행동의 이해 8
다. 자살행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 11
2. 최면상담 15
가. 최면의 개념 15
나. 최면치료와 최면상담 16
다. 최면상담의 개발과 효과 17
라. 최면상태의 특징 20
마. 최면활용분야 24
바. 최면의 안정성 26
사. 최면유도의 원리와 유도과정 28
III.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32
1.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32
2. 최면상담 예비프로그램 구성 34
3. 예비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48
4. 예비처치군 선정 및 예비프로그램 실시 50
가. 예비연구대상자 모집 및 선정 50
나. 자살예방 최면상담 예비프로그램 실시 51
다. 예비처치군 프로그램 실행 효과분석 53
5.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결과 57
IV.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70
1. 연구대상 70
가. 연구대상자 모집 71
나. 연구대상자 선정기준 및 특성 71
2. 연구절차 73
가.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운영 73
나. 연구기간 및 장소 74
다. 측정도구 74
3. 자료의 분석 및 처리 77
가. 효과성 분석의 통계적 접근방법 77
4. 연구 결과 79
가.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의 동질성 검증 79
나.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 사전 - 사후검사 비교 분석 82
다.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 각 변인별 사전 - 사후검사 비교 84
라. 실험처치군 사후 - 추후검사 비교 분석 89
마. 실험처치군 프로그램 평가결과 92
바. 상담회기 질적 분석 94
Ⅴ. 요약 및 논의 103
참고문헌 108
ABSTRACT 115
부 록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