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6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건축공학과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4136737 |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권역응급의료센터 환자분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Standard for Infection Prevention in Emergency Medical Center:Focusing on the triage i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http://www.riss.kr/link?id=T14136737
• 저자 : 김중기
• 형태사항 : ⅵ, 109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서현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건축공학과 건축공학전공 2016. 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응급의료센터, 환자분류소, 감염병
2015년 메르스 바이러스 사태때 응급실에서 감염된 환자는 89명이였다. 이중 메르스 14번 환자가 과밀화가 상위권인 특정 병원 응급실에서 3일간 장기간 체류하면서 84명의 감염전파가 발생된 것은 응급실 과밀화와 응급실 감염병 전파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응급실에서 입원한 환자보다 내원환자 및 체류자, 보호자 등이 더 비중이 높게 감염된 것은 비응급환자구역이 응급환자구역 보다 더 과밀화 되었거나 더 감염 전파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응급실의 환자분류소는 최초로 환자를 진료, 분류하는 공간으로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특성에 맞는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응급실의 병원감염 예방을 위해 응급실에서 가장 이용의 빈도가 높은 환자분류소를 중심으로 국내외 시설기준 및 외국 병원 시설기준·사례 분석과 의료진의 인터뷰를 통해 감염예방에 필요한 시설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응급실의 과밀화지수가 상위권인 병원 중 권역응급의료센터에 지정된 병원을 대상으로 감염환자가 이용하는 공간과 동선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응급실 환자분류소의 시설기준은 감염환자분류소를 별도로 설치하여 감염환자와 일반환자의 응급실 출입 동선을 분리하고, 환자분류소와 응급환자 구역 및 진단검사구역 등 진료구역별로 서로 동선이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한 설계 및 레이아웃이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감염환자 환자분류소에는 환자·보호자·의료진 간의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동선계획 및 공간배치 계획이 필요하고, 환자분류소에 격리실을 배치함으로서 감염환자 및 감염병의사환자가 내원 시 즉시 격리조치가 가능한 구조의 설계를 함으로서 응급실에서의 감염환자 이동 동선의 최소화 및 물리적인 차단을 위한 건축계획을 통해 감염병 전파 차단이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응급의료센터의 환자분류 과정 중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 기준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감염예방을 위한 응급의료시설의 건축계획 및 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3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흐름 5
제2장 응급의료·감염병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7
제1절 응급의료의 개념과 정의 7
제2절 응급의료체계 8
1. 응급의료체계 발전과정 8
2. 응급의료체계 현황 10
3. 응급의료기관의 분류 11
4. 응급의료시설 내원환자 통계현황 12
제3절 응급의료기관의 중증도 분류 15
1. 환자분류소의 개념 15
2. 응급환자 분류도구 17
제4절 감염병 20
1. 감염병 정의 20
2. 감염병의 생성과 전파 23
3. 감염병 발생현황 26
제5절 병원 감염병 발생사례 29
1. 2015년 메르스 바이러스 발생현황 29
2. 응급실 메르스 바이러스 발생현황 33
3. 병원의 메르스 환자 대응 상황 및 문제점 34
제6절 선행연구 고찰 35
제7절 소결 39
제3장 응급의료시설 시설기준 분석 40
제1절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시설기준 40
제2절 외국 병원 응급실 시설기준 및 병원 사례 44
1. 외국 병원 응급실 시설기준(환자분류 중심으로) 45
2. 외국 병원 응급실 사례 조사 50
제3절 의료진 인터뷰 분석 54
제4절 소결 58
제4장 조사대상센터 분석 59
제1절 SNU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60
제2절 SNUB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64
제3절 CMC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68
제4절 WSC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72
제5절 PNU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76
제6절 소결 80
제5장 결론 83
참고문헌 87
부록 1 89
부록 2 102
Abstract 106
감사의 글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