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Korean medical panel survey data
- 저자[authors] 이정민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 11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염영희<br>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1인 가구,신체활동,스트레스 삶의 질,한국의료패널,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분석,건강불평등
- 소장기관[Holdin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211052)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신체활동과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대한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신체활동과 스트레스의 발달궤적이 삶의 질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발달궤적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13년 까지 총 4년간 한국 의료패널 데이터에서 조사된 1인 가구 595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인 가구의 신체활동은 증가하는 발달궤적을 보였으며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감소하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2) 삶의 질의 발달궤적에 신체활동 및 스트레스 초기값과 변화율이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으로 신체활동의 초기값이 높으면 삶의 질 초기값이 높았으며 스트레스 초기값이 높으면 삶의 질 초기값이 낮았다.
3)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스트레스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결정요인은 계층인식, 성별, 교육 수준, 경제활동 및 소득분위였다. 구체적으로 계층인식은 신체활동 초기값과 스트레스 초기값에 영향을 주었고 성별은 신체활동 초기값에 영향을 주었다. 교육수준은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고 경제활동은 신체활동 초기값과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다. 소득분위는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증가와 스트레스 관리는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장기적인 영향을 주며 이러한 중재적 결정요인에 영향을 주는 교육 수준, 경제적 활동, 소득 등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지기반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강이란 개인이 변화 가능한 건강 행동 요인의 문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구조적 결정요인인 사회경제적 조건이란 광범위한 영역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형평성을 위한 정책은 사회의 특정 계층에 집중되거나 질환 및 건강 행위를 바꾸기 위한 보건의료 차원에 한정된 노력은 충분하지 않으며 폭넓은 사회정책으로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longitudinal relation among the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tress on quality of life trajectory. Also, longitudinal effect of social determinants on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for 595 single - person households surveyed in Korean medical panel data for four years from 2010 to 2013.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ctivity showed an increasing developmental trajectory. Stress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decreasing developmental trajectory.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affected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initial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stress, the lower the initial quality of life.
Third, The structural determinants affecting quality of lif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development trajectory were hierarchy recognition, gender,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income quintile. Specifically, hierarchical perception affected the initial values of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initial values, and gender affected the initial values of physical activity. The level of education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of stress and the economic activity affected the ini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rate of change of stress. The income quintile affected the rate of stress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a long-term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o this end,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on, economic activity, and income, which are social determinants.
Health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of individual's changeable health behavior factors but i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condition. Therefore, the policy for health equit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health care level to change the disease and health behavior, and it will need access to broad social policy.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건강불평등의 사회적 결정요인 모델 7
2. 건강불평등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하위 개념 9
3.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9
4.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 분석 24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26
1. 연구의 개념적 기틀 26
2. 연구 모형 28
Ⅳ. 연구방법 29
1. 연구 설계 29
2. 연구 대상 29
3. 측정도구 30
4. 자료 수집 33
5. 자료 분석 35
Ⅴ. 연구결과 43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3
2. 시점별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45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6
4. 시점별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변동경향 48
5. 시점별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발달궤적 53
6. 삶의 질 변화 예측을 위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59
Ⅵ. 논 의 69
1.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변화 궤적 69
2. 신체활동과 스트레스의 발달궤적이 삶의 질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71
3.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결정요인 73
4. 연구의 제한점 77
Ⅶ.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록 100
국문초록 108
Abstract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