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저자[authors] 박정연
- 발행사항 대전 :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 뷰티건강관리학과 대체의학전공 2017.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대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소장기관[Holding] 대전대학교 도서관 (225002)
초록[abstracts]
논문요약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그 주관적인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을 통해 호스피스 자원봉사들에게 어떠한 지지와 심리 체계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죽음을 다루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 돌봄과 자원봉사 활동의 심리적 이해를 위한 본 연구에서의 연구 질문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자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을 바탕으로 한 Giorgi(1985)의 연구방법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그대로 드러내 주고, 하나의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갖게 된 것을 기술하는 데 유용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현상의 본질적인 모습과 의미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D시와 G시에 거주하며 호스피스 병동에서 자원봉사자로서 활동을 한 지 만 3년이 넘은 자로 현재까지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는 호스피스 봉사자이다. 표집방법은 질적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의도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 기간은 2016년 12월 말부터 2017년 3월 말까지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총 6명이었다. 자료에 대한 수집 방법은 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를 하는 목적에 대한 설명을 한 후 동의하에 모두 녹취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시간은 60-120분까지 진행하였고, 면담의 횟수는 2-3회까지 진행하였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 중 지오르기의 ‘기술적 현상학’에 구체적인 단계들을 제시하고 분석하고 ‘괄호 치기’를 통하여 현상학적 환원을 통하여 ‘전체적 인식’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파악하였고, ‘의미단위의 구분’에서는 연구 참여자 6명에 의해 진술된 내용으로부터 208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학문적 용어로 변형하기’를 통하여 본 연구자가 앞의 단계에서 구분해 놓은 208의 의미단위들을 학문적 용어로 변형해 나갔다. 마지막으로 ‘변형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기’ 단계를 통하여 연구자는 학문적 용어로 변형된 의미단위들로부터 구성요소들을 이끌어내었다. 최종적으로 하위 구성요소로는 30개를 도출하여 총 10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구성요소들을 그 하위 구성요소와 함께 제시하면 <용서와 화해의 호스피스: 호스피스 교육과 실습, 죽음에 대해 알고 싶고 혼자 보내는 사람을 도와야겠다고 마음먹음, 호스피스를 죽음의 집으로 아는 것에 안타까움, 용서와 화해의 기회가 주어지고 통증 조절이 되는 호스피스>,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 피해만 주고 갚지 못해 미안해하는 환자, 고통 속의 환자와 보호자가 안타까워 안아주고 싶음, 죽음을 못 받아들이는 모습에 무섭고 안타까움, 거부하면 내 일을 못하고 가는 것 같아 허전하고 안타까움>, <존경하지 않는 부부: 존경하지 않는 부부를 보며 그러지 말아야겠다고 느낌, 평생 마음을 닫은 채로 살아온 것이 안타까움, 나를 지지해 주는 소중한 가족>, <사랑하는 마음으로 도와주니 마음을 열게 됨: 사랑의 대화로 용서하고 화해하는 모습에 보람을 느낌, 마음을 열기 시작하는 환자,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 화해하도록 도와줌, 외롭지 않게 기도드리며 마지막 여정을 도와줌>, <인생선배의 죽음을 통해 삶을 배움: 빈자리를 보며 마음의 찬바람에 무기력해짐, 인생선배의 길을 통해 죽음을 준비하게 됨>, <완화의료도우미 제도가 생긴 뒤로 보호자의 심리를 더 잘 알게 됨: 완화의료도우미 제도가 생긴 뒤로 보호자를 잘 알게 됨, 만신창이가 된 보호자를 위로하고 지켜줘야 함,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니 이해가 됨>,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봉사: 보람과 감사를 느끼게 되는 자원봉사, 내가 베푼다고 생각했는데 얻어가는 게 더 많음, 내 삶에 젖어 있는 자원봉사, 고마워하는 보호자로 인해 기쁘고 행복함>, <봉사 후 달라진 내가 뿌듯하고 오늘의 소중함을 알게 됨: 오늘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달라진 내가 뿌듯함>, <감사기도 속의 더 큰 감사: 감사 기도드리며 봉사함, 더 행복하고 더 감사드리게 됨, 역겨운 냄새가 기도를 하면 사라짐>, <심리치료사의 필요성: 떠나보냄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필요한 심리치료사, 마음의 먼지를 털어낼 수 있어 선물 받은 느낌> 등이다. 자원봉사자들의 경험의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경험의 구조를 시간적 맥락 속에서의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제공함과 동시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독특한 경험적 측면들을 보여주었다. 호스피스라는 곳이 죽음을 생각하게 하는 두려움과 불안을 주는 곳이 아니라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동안 사랑하는 사람과 용서와 화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하는 곳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 내용에서 나온 완화의료도우미 제도의 도입으로 영적 돌봄과 환자의 보호자를 더 잘 보살피게 되었음을 제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완화의료도우미의 호스피스 돌봄 경험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경험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완화의료도우미 제도의 도입이 확대되어가는 현시점에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환자와 보호자에게 영적 돌봄을 비롯한 다른 영역에서 어떻게 더 빨리 환자와 보호자에게 래포 형성을 하는 다양한 조건과 교육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므로 호스피스는 죽음의 집, 임종 집이 아닌 사랑하는 사람과 화해하고 용서하며 아름답게 인생을 완성할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죽음이 임박한 호스피스 환자와 보호자에게는 물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에게도 심리치료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것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 호스피스 , 심리치료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 현상학적 연구, 완화의료도우미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요약 ⅶ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4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4
1) 연구의 의의 4
2) 연구의 한계 5
제2장 이론적 배경 6
1. ‘호스피스’에 대한 개념 정의 6
2.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이해 9
3.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에 대한 이해 12
4. 질적 연구방법의 철학적 기반 18
5.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20
제3장 연구방법 24
1. 표집 및 분석방법 24
1) 연구 참여자의 표집 과정 및 연구 참여자의 특성 24
2)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 과정 29
(1) 자료수집 방법 29
(2) 자료 분석 30
(3) 연구자의 준비 31
2.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 질문 구성 32
3.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34
4. 질적 연구의 엄격성 확보 방법 35
제4장 연구결과 37
1. 구성요소의 도출과정 37
2. 경험의 구성요소들 50
1) 용서와 화해의 호스피스 50
(1) 호스피스 교육과 실습 51
(2) 죽음에 대해 알고 싶고 혼자 보내는 사람을 도와야겠다고 마음먹음 52
(3) 호스피스를 죽음의 집으로 아는 것에 안타까움 53
(4) 용서와 화해의 기회가 주어지고 통증 조절이 되는 호스피스 54
2)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 56
(1) 피해만 주고 갚지 못해 미안 해 하는 환자 56
(2) 고통 속의 환자와 보호자가 안타까워 안아주고 싶음 57
(3) 죽음을 못 받아들이는 모습에 무섭고 안타까움 59
(4) 거부하면 내 일을 못하고 가는 것 같아 허전하고 안타까움 61
3) 존경하지 않는 부부 62
(1) 존경하지 않는 부부를 보며 그러지 말아야겠다고 느낌 63
(2) 평생 마음을 닫은 채로 살아온 것이 안타까움 64
(3) 나를 지지해 주는 소중한 가족 66
4) 사랑하는 마음으로 도와주니 마음을 열게 됨 67
(1) 사랑의 대화로 용서하고 화해하는 모습에 보람을 느낌 68
(2) 마음을 열기 시작하는 환자 69
(3)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 화해하도록 도와줌 71
(4) 외롭지 않게 기도드리며 마지막 여정을 도와줌 73
5) 인생선배의 죽음을 통해 삶을 배움 76
(1) 빈자리를 보며 마음의 찬바람에 무기력해짐 77
(2) 인생선배의 길을 통해 죽음을 준비하게 됨 78
6) 완화의료도우미 제도가 생긴 뒤로 보호자의 심리를 더 잘 알게 됨 80
(1) 완화의료도우미 제도가 생긴 뒤로 보호자를 잘 알게 됨 80
(2) 만신창이가 된 보호자를 위로하고 지켜줘야 함 82
(3)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니 이해가 됨 83
7)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봉사 85
(1) 보람과 감사를 느끼게 되는 자원봉사 85
(2) 내가 베푼다고 생각했는데 얻어가는 게 더 많음 87
(3) 내 삶에 젖어 있는 자원봉사 89
(4) 고마워하는 보호자로 인해 기쁘고 행복함 90
8) 봉사 후 달라진 내가 뿌듯하고 오늘의 소중함을 알게 됨 92
(1) 오늘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달라진 내가 뿌듯함 93
9) 감사기도 속의 더 큰 감사 95
(1) 감사 기도드리며 봉사함 95
(2) 더 행복하고 더 감사드리게 됨 97
(3) 역겨운 냄새가 기도를 하면 사라짐 98
10) 심리치료사의 필요성 100
(1) 떠나보냄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필요한 심리치료사 101
(2) 마음의 먼지를 털어낼 수 있어 선물 받은 느낌 103
3. 경험의 구조 105
4.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대한 전체적 맥락 108
제5장 논의 111
제6장 결론 및 제언 126
1. 결론 126
2. 연구의 함의 131
3. 제언 132
참 고 문 헌 134
부 록 141
ABSTRACT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