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4 |
---|---|
구분 : | 국내학술지 |
학술지명 :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보고서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A102633380 |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초록[abstracts]
[□ 서론
: 보건의료 안전분야의 신뢰할만한 선택정보가 부족하고 안전관리체계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무차별적인 정보노출로 국민안전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안전문제 발생으로 개인적 혹은 사회적 비용 지출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인 정보탐색을 통한 조기경보체계 마련과 유관기관 간 관련 정보의 유기적 연계에 의한 정책 협력이 가능하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 연구방법
: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활용을 위한 시범주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 이하 SNS) 분석을 활용하여 사회적 관심도가 높은 안전이슈를 선정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안전문제에 대해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안전문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가능한 지표를 파악하였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더하여 안전문제에 대한 분석문건을 작성하였다.
SNS 분석은 주요 인터넷 포탈의 언론뉴스와 블로그, 커뮤니티, SNS, 보건 및 의료관련 5새 주요 인터넷신문을 수집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안전이슈 선정을 위해 2012.7.1. 부터 2013.6.30.까지 1년간 `의료 부작용`, `병원 부작용`, `의료사고`가 포함된 문장을 수집한 후 문장 내 단어분석을 통하여 상위 빈도어를 추출하였다. 이중 부작용과 관련한 문제가 큰 핵심단어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각 핵심단어별로 광고 및 스팸성 게시물은 제외하였다.
다음으로, 각 핵심단어별 연관용어를 얻기 위하여 정제된 원문을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명사, 형용사, 동사 단위로 추출하여, 추출된 연관용어를 빈도에 따라 재정리 하였다.
마지막으로, 게시물의 긍·부정을 통해 일반대중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감성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원문을 문장으로 분리하여 형태소 분석을 시행하였고, 분석된 형태소와 감성사전, 주체사전을 비교하였다. 감성주체 비교 후 문장 내 감성주체, 감성용어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 긍정(+)과 부정(-)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 연구결과
Ⅰ. 보건의료 안전 이슈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모델 제안
본 연구를 통해 1) 현황분석 및 예측, 2) 장단기적 문제점 인식 및 보고, 3) Pre-research 수행, 4) 연구 수행 및 이슈페이퍼 발행의 단계를 거치는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 모델을 제안하였다. 현재까지 환자안전과 관련한 보건의료 안전 분야의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미흡하고, 환자안전에 대한 조사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건의료 안전 분야의 문제점이나 활동의 규모 및 심각성에 대한 파악이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현재 활용한 가능한 자원을 통하여 극복하고자 SNS 분석을 통한 사회적 관심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문제의 임상적 지표나 기수행되었던 연구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내용을 종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문건 형태로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까지 포함하는 모델을 고안하였다.
Ⅱ. SNS 분석을 통한 보건의료 안전문제 도출
개발한 시범 모델에 근거하여 예비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SNS분석을 통하여 보건의료 안전문제 중 높은 빈도로 검색 또는 언급되고 있는 양악수술과 시력교정술을 핵심주제어로 선정하여 해당주제의 긍·부정어의 추이, 일별 검색어 건수의 변화 추이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분석해야 어떠한 측면의 안전성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였고, 역학 지표를 통해서는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관련 질병부담 및 역학적 심각성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SNS에서 무분별하게 공유되고 있는 의료시술과 관련된 정보는 의무기록조사 외에는 현황 파악이 불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전문가 의견을 추가하여 안전과 관련해야 할 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보건의료분야의 안전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를 산출하고 해당 주제에 대하여 임상 및 학문적으로 근거자료를 수집하여 안전성을 판단하는 관리모형의 제안에 그 의의가 있다.
현재 가용한 자원을 활용하여 감시할 수 있는 보건의료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제를 통해 건강이상 징후 또는 안전관련 징후에 대하여 사전에 경보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델은 향후 모니터링 시스템이 예방중심의 활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SNS를 분석하여 보건의료 안전이슈와 관련된 키워드의 동향이나 연관키워드 및 문서를 제공하고, 해당 이슈에 대한 관심도, 인식 상태, 주요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실마리정보를 통한 사전예방이 가능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는 데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표지]
[목차]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문]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목적
[2. 선행연구 및 현황]
2.1. 국외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현황
2.3. 국내 사례 조사
[3. 연구방법]
3.1.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3.2. 시범적용
[4. 연구결과]
4.1.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4.2.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시범 적용
[5. 고찰]
5.1. 연구결과 요약
5.2. 연구의 의의
5.3. 연구의 한계
5.4. 후속연구 제안
[6. 결론 및 정책제언]
[7.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