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6 |
---|---|
구분 : | 학위논문 |
학술지명 : |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임상전문간호학과 (석사)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4059582 |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저자 양진희
형태사항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신성례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임상전문간호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삼육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이누미야 요시유키(2002)가 개발한 총 67문항으로 구성된 죽음 인식 도구, Paloutzian & Ellison(1982)이 개발한 영적 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를 최상순(1990)이 번역하고 이화인과 최화숙(2003)이 수정, 보완한 20문항의 영적 안녕 도구, 이연옥(2004)이 개발한 42문항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에 있는 노인요양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1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연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각 노인요양병원의 허락을 받아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상자에게 2015년 7월 16일부터 2015년 8월 1일 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은 문항평균 7점 만점에 평균 4.30점으로 생명존중의지가 평균 4.6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죽음의 부정적 의미가 평균 4.59점, 죽음의 긍정적 의미는 평균 4.54점, 죽음 불안은 평균 3.77점, 죽음 관여도가 평균 3.47점으로 가장 낮았다. 영적 안녕은 문항평균 5점 만점에 평균 3.40점이었으며, 실존적 안녕이 평균 3.53점으로 높았고, 종교적 안녕이 평균 3.27점으로 낮았다.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문항평균 5점 만점에 평균 3.84점으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이 평균 3.95점,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이 평균 3.93점, 업무량 과중은 평균 3.92점,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평균 3.92점,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은 평균 3.91점,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은 평균 3.79점,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이 평균 3.59점이었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종교,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하위영역인 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은 총 임상경력에서,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은 종교에서, 업무량 과중은 총 임상경력에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은 요양병원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점수가 평균보다 높으면 ‘상’그룹으로 평균보다 낮으면 ‘하’그룹으로 구분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죽음 인식과 영적 안녕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상’인 그룹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하’인 그룹보다 생명존중의지, 영적 안녕,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이 높게 나타났다. 4.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을 ‘상’, ‘하’ 그룹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종교적 안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존중의지와 영적 안녕감이 높은 간호사들에게는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주요 용어 :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