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22318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저자

    박광호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희철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 컴퓨터공학과 인간 컴퓨터 인터페이스 2014. 2

  • 발행국

    경상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초록 (Abstract)
    • 현대사회 의료 서비스는 수요자를 중심으로 하는 예방적 건강관리 차원의 능동적 서비스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른 생체신호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은 생체신호...
  • 현대사회 의료 서비스는 수요자를 중심으로 하는 예방적 건강관리 차원의 능동적 서비스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른 생체신호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은 생체신호의 분석 및 처리, 실시간 응답, 생체데이터의 저장 등의 기술이 접목되어야 한다. 생체신호란 사람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대하여 측정하는 순간의 값을 의미하며, 수집되는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체온, 혈압 등과 같이 단순한 특징값들을 가지는 데이터와 심전도, 호흡과 같이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선형구조를 가진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분류의 데이터들을 저장함에 있어 특징값을 갖는 생체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저장에 적합한 데이터형을 띄지만 선형구조의 생체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에 맞지 않는 데이터 형과 양이다. 따라서 선형구조의 생체데이터는 일반 데이터가 아닌 빅데이터로 분류하여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분석, 통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빅데이터의 기술은 텍스트마이닝이며,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 언어 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이것은 데이터값의 가공없이 분석, 통계에 사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생체신호 자체는 가공되지 않은 선형구조의 원데이터이며, 분석 가능한 데이터가 아니다. 따라서 생체신호는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특징값들을 추출하고 유효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분석 가능한 데이터로 가공해야 한다.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플랫폼으로서는 하둡이 있으며 일정기간 축척되어진 배치(batch)형태의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다. 하둡은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에는 부족한 면이 있으며 서비스 차원의 생체데이터 처리에 옳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체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를 분석, 서비스하기 위한 하둡 플랫폼을 확장한다. 이것은 생체신호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표준화된 생체데이터의 표현인 HL7 기반 표준문서 포맷 변환을 위한 변환엔진, 생체데이터를 분석하는 맵/리듀스 그리고 개방형 표준 플랫폼인 서비스 플랫폼(SOA)을 포함한다. 적용사례에서는 초당 약 60Hz의 가속도 신호를 계측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서 신호를 수신받아 생체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서 사용성과 효용성을 검증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빅데이터와 생체데이터
  • A. 기존의 연구
  • B. 빅데이터
  • C. 하둡 플랫폼의 특징
  • D. 생체신호의 특징
  • E. 빅데이터로서의 생체신호
  • Ⅲ.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A. 특징값 추출 알고리즘
  • B. 생체데이터 표현을 위한 변환엔진
  • C. HL7기반의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맵/리듀스 구조
  • D.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SOA)
  • Ⅳ. 적용 사례
  • A. 가속신호의 획득 및 저장
  • B. 특징값 추출 알고리즘
  • C. 변환 엔진
  • D. 맵/리듀스의 구현
  • E. 서비스 모듈
  • F. 서비스 사례
  • Ⅴ. 향후 계획
  • Ⅵ. 결론
  • Ⅶ.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368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2367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2366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위한 생체 신호 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석훈 2016  142
236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계 데이터셋 추출 기법 / 박다정 2017  165
2364 9 보건의료 경제성을 고려한 CEP 기반의 의료기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미진 2016  192
2363 9 보건의료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을 통한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박예슬 2017  56
2362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사례 및 연구 / 박요셉 2015  273
2361 9 보건의료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대욱 2012  72
2360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235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7
2358 9 보건의료 의료 정보 추출을 위한 TF-IDF 기반의 연관규칙 분석 시스템 / 박호식 2016  166
» 9 보건의료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박광호 2014  161
2356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2355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50
2354 18 인체실험 진통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주정흔 외 2016  165
2353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2352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김현진 2017  145
2351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정윤수 2017  62
2350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2015  67
2349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