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약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4742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기타서명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ew drug projects and decision-making methods by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MCDA)
저자이상영
발행사항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형태사항159 p. : 삽화, 표 ; 30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이의경,참고문헌 : p. 130-140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약학과 2017. 8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신약개발,다기준의사결정(MCDA),AHP,가중치분석
소장기관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241026),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시험관, 동물, 인체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주요 의사결정 시점마다 향후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에서의 가치를 예측하여 자원의 투입을 결정한다. 이처럼 장기간동안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기술적 완성도 또는 재정적 관점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의사결정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신약개발의 초기단계에는 수집된 자료가 부족하여 주로 직관에 의존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만 연구 개발이 진행되면서 여러 분야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적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직관적 의사결정과 분석적 의사결정의 상호보완을 통해서 의사결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을 이용하여 신약개발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선정하고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으로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통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적 의사결정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신약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개발단계별 가중치 차이를 분석하고 평가기준의 가중치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자의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MCDA 방법론을 이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5R framework를 바탕으로 신약과제의 평가기준을 수립하기 위하여 상위평가기준 5개, 하위평가기준 15개를 선정하여 계층화하였다. 또한 AHP 방법으로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여 개발단계 및 평가자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신약개발과정에 있어서 최초 평가자인 제약기업의 신약개발담당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때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 CR)이 0.2이하인 응답자로부터 산출된 가중치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개발단계에 따른 가중치의 차이와 평가자의 특성에 대한 요인으로서 담당업무, 업무경력 및 신약개발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Mann-Whitney U, Kruskal-Wallis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효응답자로부터 산출된 과제선정단계에서 상위평가기준의 가중치는 타겟(0.24), 상업성(0.24), 안전성(0.20), 피험자(0.19), 목표장기(0.12)의 순서이었지만 임상진입 단계에서는 안전성(0.34), 피험자(0.22), 상업성(0.20), 목표장기(0.13), 타겟(0.12) 순으로 나타났고 이중 타겟(p=0.000)과 안전성(p=0.000)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발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위평가기준의 가중치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자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분석을 한 결과 담당업무, 신약개발 경험 및 업무경력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 중인 신약과제를 대상으로 MCDA 방법을 이용한 사례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하위평가기준을 평가하여 점수화(Scoring)한 결과를 AHP 방법으로 산출된 가중치로 보정한 종합가치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실제의 의사결정 결과와 동일함이 후향적으로 입증되어 신약개발 과정의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으로서 MCDA 방법론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임상진입과 같은 의사결정 단계에서는 평가기준의 분석적 해석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제2장 이론적 고찰 7
  1. 신약개발 전략 7
  2. 의사결정방식 14
  3.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 16
  4. AHP의 이론 및 가중치 산출 22
  5. 선행문헌의 고찰 28
 
제3장 연구방법 35
  1. 신약개발과정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개요 35
  2. 평가기준의 선정 37
  3. AHP 방법을 이용한 가중치 평가 설문조사 44
  4. 개발단계 및 평가자의 특성에 대한 가중치 분석 47
  5. MCDA를 이용한 사례연구 50
  6. MCDA를 이용한 사례연구 결과 분석 52
  7. 연구윤리 53
 
 
제4장 연구결과 54
  1. AHP 설문지 응답자 분석 54
  2. AHP 방법을 이용한 가중치 산출 결과 56
  3. 평가자의 특성에 대한 가중치 분석 74
  4. MCDA를 이용한 사례연구 101
 
제5장 고찰 및 결론 119
  1.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120
  2. 연구의 제한점 127
  3. 결론 128
 
참고문헌 130
부록 1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94
2828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402
2826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63
282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23
282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40
2823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85
2822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6
2821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410
282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819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81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81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5
281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5
2815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39
2814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66
2813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2812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2811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9
2810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2016  682
2809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