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기타서명 |
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primary care patients |
저자 |
이정아 |
발행사항 |
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
형태사항 |
iv, 41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명 |
부록 수록,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지도교수: 김영식,참고문헌 : p. 36-3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2 |
발행국 |
울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수면,수면질,당뇨병,위험요인 |
소장기관 |
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
초록 |
연구 배경 : 수면은 건강 증진에
중요한 부분이며, 수면 장애는 신체 및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 장애는 사망률을 증가시키고 주요한 질환들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스웨덴, 미국 등에서는 코호트 연구에서 수면 장애가 있으면 당뇨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일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서도 수면 유도 장애 및 수면 유지 장애의 빈도가 높을수록 당뇨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로 짧은 수면시간과 제2형 당뇨병의 관련성을 살펴 본 연구는
있으나 코호트로 진행된 연구는 없었다. 또한 대다수의 이전 연구들은 수면 시간과 당뇨병의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들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로 주관적 수면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한
척도와 당뇨병 발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9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전국 22개 병원 가정의학과에 내원한 자들을 대상으로 코호트의 기본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부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040명이 코호트에 등록하였으며, 코호트 구축 당시 당뇨병으로 진단받지 않은
대상자들 중 2013년 8월까지 추적관찰을 1회 이상 진행한 사람들 56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기 기입식 설문 및 문진으로
연구 대상자의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수면질은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절단점은 5점으로 분석하였다. 당뇨병의 발생은 의무기록
검토로 질병발생 유무의 기록과 추적 관찰에서 가장 가까운 시점에 측정한 공복혈당을 기록하여, 의무기록 상으로 추적 관찰 시에 당뇨병의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혈당 강하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또는 측정한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 발생하였다고
보았다. 당뇨병 발생의 상대 위험도 산출을 위해서 콕스 비례위험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 21.0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의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0세로 60세 이상이 41.6%였으며, 평균 체질량지수는 24.1kg/m2으로
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경우가 34.1%였다. 총 추적관찰기간은 1,401인년(person-years)였으며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2.5년이었다. 수면질에 따른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분석하였을 때, 수면질이 낮은 경우에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다. 이는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소득 수준, 당뇨병의 가족력을 보정한 후에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RR 2.80, 95% CI 1.12-7.03).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RR 1.15, 95% CI 1.00-1.31),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을 때 (RR 2.55, 95% CI
1.10-5.96) 당뇨병의 발생 위험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 낮은 수면질은 당뇨병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서, 이는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소득수준 및 당뇨병의 가족력에 독립적으로 당뇨병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로 수면질 향상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등의 평가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목차 |
요약 i
그림목차 iv
서론 1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자료의 수집 6
3. 연구 자료의 분석 9
연구 결과 12
1. 연구 대상의 기본 특성 12
2. 당뇨병의 발생률 14
3. 각 요인에 따른 당뇨병 발생률 및 상대 위험도 15
4. 수면질 및 수면 시간에 따른 당뇨병 발생률 및 위험도 17
5. 다변량 분석에서의 수면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도 21
고찰 24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24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27
결론 35
참고문헌 36
부록 39
영문요약 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