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년 : | 2017 |
---|---|
구분 : | 국내학술지 |
학술지명 : | 학위논문(석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
관련링크 : | http://www.riss.kr/link?id=T14556717 |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to use case management service for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저자 | 오승은 |
발행사항 | 강릉 :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 지도교수: 김근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2017. 8 |
발행국 | 강원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자살시도자,사례관리 서비스,Andersen 모형 |
소장기관 | 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242001) |
초록 |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 ; ;연구목적: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13년간 1위로 우울 및 자살과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자살시도자들의 재시도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짐에 따라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적인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자료를 Andersen 모형에 적용하여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율을 높이고 자살률 경감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2009년 3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Y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004명의 자료를 분석한 이자차료 연구이다. ;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살관련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살관련 특성에 따른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이, 위기-구조 가능도, 자살의도 척도에 따른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차이는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Andersen 모형에 근거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 선행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 요인을 투입한 4단계에서는 건강보험 유형에서 의료급여 등 기타 대상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국민건강보험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비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4.92배(p=.042), 자살의도 척도(Suicidal Intent Scale;SIS)에서는 점수가 1 높아질수록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0.92배(Β=-.079, p=.012), 과거 자살시도력 유무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비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1.91배(p=.047), 유서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가 비동의군에 속할 확률이 5.84배(p=.020)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 의도 영향요인으로는 건강보험 유형, 자살의도 척도(Suicidal Intent Scale;SIS), 과거 자살시도력, 유서이다. 사례관리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동의율이 높은 의료급여 등 기타 대상자, 자살의도 척도 점수가 낮은 대상자, 과거 자살시도력이 있거나 유서가 있는 대상자의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반면 동의율이 낮은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자살의도 척도 점수가 높은 대상자, 과거 자살시도력이 없거나 유서가 없는 대상자들의 사례관리 서비스 동의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모색하여 효율적인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적용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