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생명윤리 관련 일일언론동향 [9월 17일]

숨진이의 뇌 냉동보관 인간불멸의 실험시작됐다;  생존율 1%”23주 조산아 포기하지 않은 부모;  지난해 실제 개인정보 유출 확인된 건수는 6


숨진이의 뇌 냉동보관 인간불멸의 실험시작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3죽음을 초월하려는 희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201323세 나이에 숨진 여성 킴 스워지를 사례로 들면서 미국에서 생겨난 새로운 흐름을 보도했음. 20131월 교아세포종 뇌종양으로 숨진 스워지는 곧바로 애리조나 스코츠데일에 위치한 앨코 생명연장 재단으로 옮겨졌고, 스워지의 뇌는 영하 184도의 컨테이너에 보관됐음. 스워지가 이 같은 시도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최근 신경과학계에서 뇌를 보관하고, 이를 전산화하는 작업에 대한 연구가 활기차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일부 신경과학자들은 뇌의 뉴런(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지도를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고, 기억과 정체성을 코드화할 수 있다고 믿고 있음. 하지만 첫 번째 단계인 뇌 신경망 보존부터가 쉽지 않으며 뇌 신경망 도식을 시각화하는 작업도 어려움. 윤리적으로도 NYT인간의 마음을 완벽하게 복제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게 과연 원래 인간의 자기 인식과 같은 것일지는 전혀 알 수 없다고 전했음.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91701031730116001

 

생존율 1%”23주 조산아 포기하지 않은 부모

영국인 20세 여성 세이디 크래츨리는 지난 18, 임신 236일째, 영국 법률상 낙태가 금지되는 24주가 되기 단 하루 전날 갑작스러운 진통이 왔고 태아가 세상에 나오려고 했음. 의사들에 따르면 아기가 출산 과정을 이겨내고 생존할 확률은 단 1%의 불과했음. 젊은 엄마 세이디는 아이를 포기할 수는 없었고 세이디의 딸 케이시-로즈 크래츨리는 99%의 확률을 이겨내고 세상의 빛을 보게 됐음. 아이의 몸무게는 0.5, 키는 27.4에 불과했으며 아기의 폐는 너무 작고 덜 발달돼 스스로 숨을 쉴 수조차 없었음. 1%의 확률로 살아남은 기적의 아이였지만 여전히 그녀의 생존율은 25%에 불과했음. 11주가 지나서야 아이는 인공호흡장치에서 벗어났고 현재, 아기는 일반적인 신생아의 몸무게인 8이 됐고 키도 56까지 자랐음. 의사들은 앞으로 그녀가 뇌성마비 증세를 보이거나 시력 혹은 청각을 잃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하고 있으나 이들은 예외적이라 할 정도로 빨리 태어난 조산아들 역시 살아남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어 자신들의 이야기를 공개했다고 밝혔음.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917601011

 

지난해 실제 개인정보 유출 확인된 건수는 6

행정자치부는 세계일보가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후인 20119월부터 올해 6월까지 유출사고 60건 중 31건이 개인정보보호 범정부 TF’의 전방위 실태조사 기간인 지난해 2~7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고 보도한 내용에 대해 유출신고 시점과 실제 유출시점의 차이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음. 2014년에 행자부에 개인정보 유출이 신고된 40건 중 실제 2014년에 유출 확인된 건수는 6건이라고 설명했음. 지난해 유출신고 40건 중 실제 유출 확인된 건은 6, 2014년 이전에 유출된 건은 32, 유출시점 확인불명은 2건이었음.

http://www.korea.kr/policy/actuallyView.do?newsId=148800806&call_from=naver_news

첨부파일
이미지 9.19.뇌냉동보관.jpg (40.4KB / 다운로드  101)
한글 생명윤리_관련_일일언론동향(9월17일).hwp (15.0KB / 다운로드  112)